노스텔지어 Op.2
'''NOSTALGIA -ノスタルジア- Op.2'''[1]
1. 개요
[image]
'''音楽のない世界で.'''[2]
'''음악이 없는 세계로.'''[3]
- Op.2 캐치프레이즈
노스텔지어 시리즈의 정식 넘버링 2번째 작품으로 초대작의 확장판인 FORTE를 포함한다면 3번째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Op.2는 Opus[4] 2의 약자로 '오퍼스 투'로 읽는다.[5][6] 2018년 7월 10일에 노스텔지어 공식 트위터 계정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작의 로케이션 테스트 공지와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짤막한 정보가 공개되었고, 9월 26일 정식으로 가동 시작하였다.'''君の旋律が世界をひらく'''
'''너의 선율이 세계를 펼친다'''
- Op.2 POP 문구
대한민국에선 10월 10일 수요일에 심의 통과되었고 동시에 밀려있던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패치를 여러번 받아야 해서 사실상 11일부터 가동 시작한 것이나 다름없다.
2. 발매 전 정보
로케테스트 버전의 내용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고.
3. 전작으로부터의 인계요소
노스텔지어 FORTE에서 인계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인계되는 요소
- 악곡의 해금상태
- 악곡 스코어, 풀 콤보 달성 등의 마크
- 획득한 브로치[7]
- 인계되지 않는 요소
- 연주자명
- 연주횟수
- Grade
- 획득한 브로치의 효과
4. 변경점
4.1. 요금 체계
- FORTE 모드 이용시 추가 특전: FORTE 모드 사용시에만 획득되는 별무리(=여행의 기록 스탬프)가 있다. 기본적으로 1개, 향수의 계단에선 2개 획득 가능.
- 본작의 신요소인 연주회 모드 RECITAL과 단위인정 모드 EXAM은 3튠 고정 사양으로, 한국에서는 FORTE 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진입할 수 없다.
4.2. 해금 요소
4.2.1. STORY
이번 작에도 스토리 요소가 존재하며 고양이와 여행자가 각 섬을 여행한다는 콘셉트로 진행된다. 전작들처럼 영상도 나온다. 섬마다 배정된 악곡이 존재하여, 섬을 여행하며 여행의 기록(NOTEBOOK)을 채워나가고 악곡을 해금하는 방식..
[image]
플레이 요금을 지불하고 입장할 섬을 선택한 이후에는, 기존까지의 자유로운 플레이 모드 BASIC, 새로이 추가된 연주회 모드 RECITAL과 단위인정 모드 EXAM 셋 중 하나를 골라서 플레이할 수 있다. 단, 상술한대로 RECITAL과 EXAM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FORTE 모드의 이용이 필수이다. 섬 진행에 따른 여행의 기록 완성은 무슨 모드를 선택하더라도 가능하다.
섬의 목록, 해금악곡과 해금조건, 신모드인 RECITAL 모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가동 시점에서 전작들의 '노스텔지어(WAY OF NOSTALGIA)' 스테이지 해금악곡들은 전작에서 해금하지 않았다면 해금할 방법이 없었는데, 2018년 12월 25일 패치로 해당 악곡들을 해금할 수 있는 섬인 '향수의 계단(郷愁の階段)'이 추가되었다. 맵을 우측으로 넘기면 확인할 수 있다. 챕터 도달상황은 전작과 연동되지만 시작위치는 전부 0에서부터 시작한다.
4.2.2. MISSION BINGO
2018년 12월 25일 패치로 전작의 MISSION BINGO 시스템이 복각되어 전작에서 악곡을 해금하지 못한 경우라도 해금을 도전할 수 있게 되었다. 빙고 시트 달성상황은 모두 초기화되어있는 상태이지만, 당연히 전작에서 해금한 악곡은 해금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추가적으로 이번 작에서는 빙고 라인을 달성할 때마다 nos를 획득할 수 있다.
빙고 시트의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4.3. 검정모드 EXAM 신설과 Grade 부활
8th KAC의 결승 라운드에서 전작의 Grade 시스템의 부활과 검정모드 추가가 공지되었고, 2019년 2월 27일에 공식적으로 부활하였다. 11급까지는 전작처럼 Grd 상승만으로 급수가 올라가지만 그 이상의 급수(10급~)부터는 요구 그레이드를 모은 후 EXAM 모드에서 승급시험을 통과해야만 급수가 올라가고, EXAM을 통과하지 않으면 급수는 변동 없이 Grd 수치만 올라간다.
기본적으로 악곡 스코어로 급수를 평가하는 "베이직 검정"과 리사이틀 모드에서 얻은 심사위원 점수로 급수를 평가하는 "리사이틀 검정"으로 나뉘어져 있다. 리사이틀 모드를 할 때에는 기존의 베이직 급수 대신 리사이틀 급수가 표시되며, 리사이틀 모드에서는 베이직 그레이드와 리사이틀 그레이드를 동시에 올릴 수 있다. EXAM 도전시에는 일정량의 nos가 필요하다.
특별 검정인 "스페셜 검정"도 존재하는데, 이곳에서 8th KAC 결승 라운드의 과제곡들을 도전해볼 수 있다. 최종과제곡인 virkatoの主題によるperson09風超絶技巧変奏曲도 여기서 해금 가능.
부활 당시였던 2019년 2월 27일에는 5급까지의 검정만이 공개되어 있었다. 이후 4월 25일 업데이트로 3급까지의 검정이 추가로 업데이트되었다. 이후 9월 5일 업데이트로 1급과 2급이 추가되었다.
자세한 과제곡들과 통과 조건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고.
4.4. 새로운 난이도 'Real' 등장
전작의 최고 난이도인 Expert 채보에서도 모든 음이 대응되지 않았고, 미션 빙고 시트에서도 꾸준하게 "Expert '''이상'''의 난이도"를 지정하는 조건들이 나왔던지라 상위 혹은 번외격 난이도가 언젠가는 등장할 것으로 추측되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高難度に挑戦したい方はこちら'''
'''고난도에 도전하고 싶으신 분은 이쪽으로'''
- 'Real' 난이도는 정규난이도가 아닌 번외난이도로 취급되어 일부의 곡에만 존재한다. 단, 난이도순으로는 Expert의 상위 난도에 위치되어 있어, 미션 빙고의 'Expert 이상의 난이도'를 지정하는 조건의 경우 Real 채보를 연주해도 정상적으로 카운트된다.
- Real 난이도는 정규난이도의 12레벨 난이도 체계를 따르지 않고 별도의 숫자 난이도로 측정한다. 비마니위키나 이 문서의 경우 편의상 숫자 앞에 ◇를 붙여 따로 구분하고 있다. 가동 초기엔 정규 난이도와는 달리 각 음악의 Expert 채보에 대한 상대적인 지표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이후 Real 채보가 추가되고 3레벨이 추가되면서 그냥 11레벨 이상을 기준으로 잡는 별도의 난이도 표기라는 것이 밝혀졌다. 기존 난이도 표기에 대응하는 레벨은 숨겨져있지만 Real 채보도 미션빙고와 그레이드에 영향을 끼치므로 미션빙고의 조건, 그레이드 역계산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보통 ◇1은 9~11레벨, ◇2는 12레벨[9] , 3레벨은 12레벨 최상위로 사실상 13레벨 취급받는 헐화, ambages급이다. 실제로 ◇3의 경우 13레벨로 책정되어있다고 한다. 그러다가 12.5와 13.5레벨이 추가되어 더더욱 세분화 되었다.
- Real 난이도의 최대수치는 2019년 1월 기준으로 3이다. 로케테스트와 정식발매 시점에서는 2가 최대였으나, 10월 17일 업데이트로 월광소나타와 열정소나타의 Real 난이도가 3으로 승격되었고 이후 환상즉흥곡의 Real 채보 난이도가 3으로 등장했다.
- Real 채보의 플레이를 위해서는 Expert 채보의 A랭크 이상 클리어가 전제되고, nos를 소모해 1회 플레이 혹은 완전해금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로케테스트와 가동 초기에는 Real채보의 1회 플레이에는 250nos, 완전해금에는 7500nos가 소모되었으나 10월 17일 패치를 통해 악곡별로 소모되는 nos가 다르게 변화하였다. 해금에 필요한 nos는 다음과 같다.
- 일반 노트 폭이 최소 3칸[10] 이던 Expert와 달리, 2칸 노트도 등장한다. 몇몇 곡은 노트밀도가 Expert와 별 차이가 없는 대신 아예 2칸 노트만 나와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기도 한다.
- Real이라는 표기는 과거 키보드매니아에서 사용했던 난이도 명칭이기 때문에[11] , 키보드매니아를 떠올린 사람들이 많은 모양.
4.5. 명성
타이틀. 'xx한 피아니스트~'와 같이 접두명이 붙어 일차적으로 명성을 부여하고, 그 명성 안에서 세부적으로 다시 클래스가 나뉘어진다. 각 클래스별로 게이지가 존재하고, 게이지가 꽉 차면 다음 클래스로 넘어간다. 게이지가 차오르는 구체적인 상승량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발매 초기에는 전작의 Grade를 대체하는 실력 척도 시스템으로 여겨졌으나 코인 많이 부을 수록 누구나 상위 클래스에 도달할 수 있다는 특성상 실력 척도 역할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었고 이후 2019년 2월 Grade 시스템이 부활하며 현재는 그냥 큰 의미 없는 유저 타이틀 정도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명성의 배경색은 직전의 크레딧까지 선곡했던 악곡들의 카테고리 경향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4.6. 플레이 옵션 개선
[image]
기존의 배속, 판정타이밍 조정에 더불어 여러가지 다양한 옵션들이 추가되어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었으며, 노트와 관련된 옵션(배속, 노트크기 조절, 판정 타이밍 등) 설정시 화면에 어떤 식으로 변화하는지 직관적으로 볼 수 있고 옵션화면에서 즉석 테스트 플레이[12] 도 해볼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굉장히 증가했다.
[image]
전작과는 다르게 선곡 후 플레이 직전에 옵션 세팅 화면이 나오는 팝픈뮤직과 같은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 첫 플레이시에는 무조건 옵션화면으로 진입한다.
- 이후에는 악곡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화면에서 위의 사진과 같이 우측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한 네모 칸을 터치하여 체크 상태로 둔 다음 선곡버튼을 누르면 악곡 플레이 이전에 옵션화면이 등장한다.
- 체크 해제 상태에서는 옵션화면에 진입하지 않고 기존에 설정했던 옵션을 유지한 채로 그대로 악곡 플레이 화면으로 진입한다.
4.6.1. MAIN
4.6.2. VISUAL
로케테스트의 Orbit(현 Trajectory) 옵션 적용 영상으로 이 때는 정식버전의 Splash, Approach, Slope에 해당하는 설정만 가능했다. 각 궤도의 설명이 잘 와닿지 않는다면 참고용으로 영상을 확인해보자.
4.6.3. NOTES
4.6.4. SOUND
4.7. 난이도 변경
전작에서 불렙으로 말이 많았던 fallen leaves, TRUTH behind U 등을 포함하여 기존 곡들 일부가 가동 시점에서 레벨 조정이 가해졌고, 10월 17일 업데이트에서 월광소나타와 열정소나타의 Real 보면에 난이도 조정이 가해졌다. 2019년 2월 27일에는 Grd. 시스템이 부활하면서 다시 한번 대대적인 난이도 조정이 가해졌다.
4.8. 그 외의 변경점
- 악곡선택 화면에서의 소트 기능과, 페이지를 빠르게 앞뒤로 넘길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우측 페이지 상단에 페이지 넘버링과 함께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한국판의 경우 번역된 부분은 궁서체로 되어 있다. #
- 가동 시점에서의 로컬 매칭은 COMING SOON이 떠 있는 사용불가 상태였으나, 2018년 12월 13일 업데이트로 매칭이 가능하도록 전환되었다. 덤으로 별무리 획득 조건에 '앙상블 연주'가 추가되어, 모든 조건 만족시 1튠당 최대 7개의 별무리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16]
- 2018년 10월 17일 패치로 몇몇 설정이 FORTE 시절로 롤백되었는데, 이 뿐만 아니라 판정 자체도 완화된 것 같다는 이야기가 있다. 디시인사이드의 노스텔지어 마이너 갤러리 등지에서 판정 완화를 체감하는 유저들이 많았다.
- 가동시점에서의 여행의 기록(NOTEBOOK) 스탬프 진행상황은 누적수치로 표시되었으나, 이후 업데이트로 곡마다 개별수치로 등장하도록 전환되었다.
- 로그인 시 카드 번호가 처음 4자리만 나오고 나머지는 가려져서 나온다. 화면을 길게 누르면 나머지도 표시된다.
5. 악곡 교환 이벤트
5.1. 노스텔지어 × jubeat 악곡교환회
Op.2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악곡교환 이벤트. 스탬프는 게임 종료 시점에서 한개씩 지급되므로, 돈을 아끼고 싶다면 500원 모드로 진행하면 된다. 한 쪽에서 스탬프를 6개 모으면 바로 상대 기종으로 악곡이 이식되므로, 반드시 양쪽 기종을 모두 6회 플레이 할 필요는 없다. 또, 스탬프를 6개 모으면 전작 교환이벤트의 복각악곡들도 동시에 해금된다.
노스텔지어로 이식되는 True Blue는 출신이 jubeat로 표기되어 있지만 음원은 beatmania IIDX의 것을 사용한다.
6. 수록곡
- 코나미 커버 버전으로 수록되어 인게임에서 원작곡가가 표시되지 않는 곡들은 아티스트 칸에 괄호로 원작곡가를 표기함.
- 섬 해금 악곡으로 표시된 악곡들은 '여행의 기록(NOTEBOOK)'을 통해 윗줄부터 순서대로 악곡해금이 진행된다. 상술한대로 가동 초기에는 스탬프 수가 누적수치로 표시되었으나, 이후 업데이트로는 곡마다 필요수치가 개별적으로 나타나도록 전환되었다. 가동 초기 내용과의 헷갈림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 내용에서는 누적수치를 괄호 안에 따로 표시한다.
6.1. 클래식/재즈
항목이 없는 클래식 악곡에 대한 정보는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 참고.
6.2. 팝스
6.3. 애니메이션
6.4. 버라이어티
6.5. BEMANI
- BEMANI SUMMER GREETINGS 이벤트 대상악곡인 7곡(Summer Island 시리즈 해금곡)은 본래 카테고리인 BEMANI 뿐만 아니라 노스텔지어 오리지널 카테고리에서도 선곡할 수 있다.
6.6. 노스텔지어 오리지널
- 가동 초기 전작의 '노스텔지어' 스테이지 해금곡과 이번작의 섬 여행 해금곡은 별도의 카테고리인 STORY에서도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버그인지는 불명.
- STORY 악곡의 해금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노스텔지어 Op.2/STORY 문서 참고.
7. 버그
7.1. 해결되지 않은 버그
- 오른손과 왼손의 동시치기 패턴이 등장할 때, 양손이 똑같은 타이밍에 동시치기 처리되지 않은 경우 노트가 흘려지며 Miss가 뜨고 콤보도 끊기는 버그가 있다. 계단패턴과 동시치기가 혼합되어 나타는 패턴도 마찬가지. 테누토 노트에서 특히 자주 등장한다고.
- Op.2 업데이트 후 전작에 비해 판정선의 위치가 아래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전작까지의 감각으로 누르면 FAST가 빈발한다.
- 연주 시작시에 Hi-Speed가 1.0으로 바뀔 때가 있다.[26]
- 옵션의 "横幅の調整に合わせて判定範囲も変更(폭의 조정에 맞추어 판정 범위도 변경)"을 켜둔 경우, 이후에 노트의 폭을 따로 조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음대로 OFF로 바뀌어 있을 때가 있다.
- 플레이어 명성이 "한결같은 피아니스트" A랭크 게이지 MAX에 도달해있을 때, RECITAL 모드에서의 토털리절트 신문화면에서 명성이 표시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고 한다.
- 음악이 흐르고 있는데도 플레이 화면이 갑자기 정지한다. 그리고 몇 초 후에, 정지하고 있던 분의 노트가 빠르게 하강하며 음악과 노트가 일치하는 시점에 도달했을 때 속도가 원래대로 돌아오는 버그가 있다. 특히 옵션 설정의 미리보기 화면에서 MAIN 카테고리를 선택했을 때 화면이 정지하고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한손으로만 연주하는 옵션을 사용했을 때, 자동 연주로 전환되어 있는 노트가 판정 라인에 도달하기 전인데도 사라져버리는 버그가 있다.[27]
7.2. 해결됨
- 악곡 Voyager의 아티스트 명의가 소문자 lapix가 아니라 "Lapix"로 되어 있었다. 자켓의 표기도 마찬가지.[28]
- 악곡 アゼルバイジャニカアルメニアンカ의 아티스트 명의가 "金田充弘(beasiscape)" 로 표기되어 있었다.[29]
- 누르고 있는 건반 위치와 게임에서 인식하는 건반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 건반을 눌렀을 때 완전히 다른 건반에서 미스터치가 발생하고 있다.
- 이상의 두 이슈는 노스텔지어 운영진 측에서 문제를 인지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노트 궤도 변화로 인한 그래픽 수정, 강약판정의 추가 등의 신요소를 살리기 위해 그래픽 등의 연주감을 조정하는 수정을 가했는데 그로 인해 유저들이 기존과는 다르게 느끼고 있다는 듯. FORTE까지의 적용사항으로 롤백하겠다는 공지가 떴고, 10월 17일 업데이트로 완화된 듯.
- チョコレートスマイル이 미해금 상태인 플레이어가 있다고 한다. 본래 전작에서는 미션빙고 해금곡이었다가 빙고를 달성하지 않아도 통상해금되도록 조건이 완화되어 굳이 빙고시트를 채우지 않아도 모든 유저가 즐길 수 있었는데, 미해금상태로 돌아가버린 유저의 경우 원래 조건이었던 "빙고 4줄 달성"을 충족하지 않은 채로 Op.2로 넘어왔기 때문에 일어난 일로 추정되고 있다.[30] 이는 12월 25일 미션 빙고의 부활로 해결되었다.
8. 기타
- OST는 NOSTALGIA Music Collection ~Op.1 & Op.2~라는 명칭으로 전작과 합본 형태로 발매된다. 발매일은 2020년 8월 19일.
[1] 가타가나만 썼던 전작과는 달리 이번엔 영어가 주 타이틀이고 가타가나는 병기했다. 단,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쓰이는 텍스트 표기는 여전히 ノスタルジア Op.2이다.[HP] 홈페이지가 버전에 상관없이 노스텔지어로 통합되어 있다.[2] 포스터 공식 문구[3] 유니아나 번역판. 유니아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4] Opus는 작곡가의 작품 번호를 나타내는 단어이다.[5] 한국판에선 '노스텔지어 오퍼스 2'로 표기되어 있다.[6] 참고로 Op.2가 시리즈의 정식 넘버링으로 굳혀지면 beatmania IIDX와 함께 넘버링을 표기하는 작품이 된다.(사운드 볼텍스는 5번째 버전에서 넘버링 표기가 사라짐.) 하지만 이게 2번째 작품을 뜻하는 부제인지 시리즈 넘버링인지는 3번째 작품이 나와야 알 수 있다.[7] 단, 시계 상태인 경우에는 인계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인계 전에 시계의 시간을 완전히 채워 브로치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8] "최대"의 표기는 EXAM 모드 한정으로 적용된다. 노스텔지어 시리즈는 클리어 게이지가 없어 전 튠이 보장되기 때문. 따라서 각 튠마다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그 시점에서 게임이 종료되는 EXAM에만 적용된다.[9] Op.2 발매 당시에는 11레벨 최상위도 포함할 정도였으나 해당 난이도의 곡들이 그레이드 시스템 업데이트되면서 전부 12레벨로 승격되었다.[KAC] A B C D E KAC 예선에 엔트리 했다면 예선 기간 동안 1회 플레이 비용이 무료[10] PF flowing의 마지막 노트처럼 예외가 존재하긴 하다. 다만 테누토, 글리산도 노트는 예외로 자주 나왔다. 대표적으로는 FLOWER의 채보 중간에 2칸 테누토 노트 8개가 동시에 나온다.[11] 단, 당시에는 4단계 중 밑에서 3번째였다.[12] 나오는 노래는 반짝반짝 작은 별. 난이도에 따라서 채보도 약간씩 변한다.[13] IIDX의 동일 항목과 방향(FAST가 많으면 위로)은 같으나 수치의 부호가 반대로 되어 있다.[14] 로케테스트 당시에는 Orbit[15] 초대 버전에서는 로케테스트에서는 있었지만 정식 버전에서 삭제되었던 옵션이다.[16] 각 섬마다 배정된 조건을 충족해 얻는 별무리 5개 + 포르테 모드 이용 1개 + 앙상블 연주 1개.[17] 투덱, 팝픈에서 언덕계단으로 악명높은 DIAVOLO의 원곡이다. 하필 이 게임 사운드 디렉터가 저 곡의 공동작곡가 중 한명이기도 하다보니, 익스퍼트와 리얼 채보를 보면 언덕계단을 오마주한듯한 채보가 보인다. 그나마 익스퍼트는 글리신도 노트로 뭉게기라도 가능하지만 리얼은 그 대계단을 일반노트로 구현한지라...[18] 기타도라 버전의 음원을 사용한다.[19] Catch Our Fire! 는 8th KAC에 엔트리하는 모든 기종에 해금되는 과제곡이므로 본래는 BEMANI 카테고리에 속해야 하는 악곡이나, 본작에서는 무슨 이유인지 BEMANI 카테고리에서는 해당 악곡을 선곡할 수 없고 노스텔지어 오리지널 카테고리에만 소속되어 있다. 전회 KAC 엔트리 과제곡인 Be a Hero!는 BEMANI 카테고리이면서 동시에 노스텔지어 오리지널 카테고리에서도 선곡할 수 있었던 것과는 대조적.[20] 이전 곡을 클리어 한 뒤, 모든 스토리 곡을 클리어하면 해금된다.[21] Fear the Merry 해금 필수[22] Fear the Merry 해금 필수[23] Fear the Merry 해금 필수[24] Fear the Merry 해금 필수[25] 소년, 소녀, 로봇, 펠리컨 루트 모두 클리어 필수[26] 플레이 화면 우측 하단의 배속 표기는 그대로 유지된 상태. 즉 표기 속도와 실제 속도가 맞지 않는다.[27] "소푸가 G 단조 BW578"의 Expert 채보를 왼손만으로 연주하는 상태에서 자동연주로 전환된 오른손측 노트에 해당 증상이 빈발했다고 한다.[28] 9월 26일 패치로 수정되었다.[29] 10월 17일 패치로 "金田充弘(ベイシスケイプ)"로 정정되었다.[30] 시간의 조각을 얻기 위해서는 빙고시트의 완성이 필요했기 때문에 해금조건 완화 이후에도 아무튼 시트를 채울 필요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