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건축물)/목록
1. 대한민국
- 4대강[1] 의 교량은 상류에 있는 다리부터, 나머지는 지역별로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 4대강의 교량을 제외하면 총 연장 200m 이상의 교량이나 특별한 특징이 있는 교량만 기재한다.
- 유료도로나 민영도로인 경우 ☆ 표시한다.
1.1. 4대강
1.1.1. 한강
1.1.1.1. 북한강
- 안동철교: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 민통선 이북에 위치한 평화의댐 건설용 가교이며, 현재도 이용중이다.
- 평화의댐 공도교: 화천군 화천읍의 북단에 위치한 평화의댐 공도교로 지어진 교량.[20]
- 잠수교(평화로): 화천군 화천읍과 간동면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잠수교 형태이다.
- 구만교: 화천군 화천읍과 간동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 대붕교: 화천군 화천읍과 간동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 화천대교: 화천군 화천읍과 하남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다.
- 칠석교: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와 거례리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잠수교 형태이다.
- 춘성교: 춘천댐 공도교로 지어진 교량.
- 신매대교: 춘천시 서면과 신사우동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위도(고슴도치섬)을 경유한다.
- 춘천대교: 춘천시 근화동과 하중도(레고랜드 건설부지)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춘천 중앙로터리부터 금강로, 춘천역 지하차도와 바로 연결되어있다.
- 신연교: 의암댐 공도교로 지어진 교량.
- 의암교: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서단(덕두원리)에서 구 46번 국도(현재 박사로)와 분기된다.
- 강촌대교: 강촌교의 교통 수요를 보완하기 위해 세운 교량이다.
- 강촌교: 46번 국도와 남산면 강촌리 일대를 연결하는 교량.[21]
- 당림교: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이다.
- 춘성대교: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북단(안보리)에서 구 46번 국도(현재 보납로)와 분기된다.
- (구)경강철교: 구 경춘선 철도가 지나던 단선 철교로, 현재는 레일바이크 전용 교량으로 바뀌었다.
- 경강교: 46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가평군과 춘천시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 경강철교: 경춘선 철도가 복선 및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철교이다.
- 가평대교: 75번 국도가 지나는 교량으로, 가평군 청평면 고성리와 설악면 사룡리를 잇는다.
- 신청평대교: 가평군 청평면과 설악면을 연결하는 교량.[22]
- 서종대교: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전용 교량이며, 일반적인 접속은 불가하고 동쪽의 서종 나들목을 통해서만 진입이 가능하다.
- 양수철교: 중앙선 철도가 복선 및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철교이다.
- (구)양수철교: 구 중앙선 철도가 지나던 단선 철교로, 현재는 자전거와 도보 전용 철교로 바뀌었다.
- 양수대교: 구 6번 국도가 지나던 교량으로, 동쪽과 서쪽의 북한강로가 나뉘는 기점이기도 하다.
- 신양수대교: 6번 국도가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교량이다.
1.1.1.2. 남한강
- 고수대교
- 상진대교
- 상진철교
- 단양대교 (440m / 상판 높이 100m [대한민국 3위])
- 적성대교
- 옥순대교
- 청풍대교
- 청풍교
- 충주댐
- 충원교
- 동량철교
- 목행대교
- 구목행대교
- 우륵대교
- 남한강대교(고속도로) ☆
- 목계대교
- 목계교
- 남한강대교(지방도)
- 남한강교(광주원주고속도로) ☆
- 남한강교(중앙선) : 중앙선 철도가 복선 및 고속·직선화되면서 새로 만들어진 철교이다.
- 남한강교
- 이호대교
- 여주대교
- 세종대교
- 이포대교
- 양평교
- 양근대교
- 양평대교
1.1.2. 금강
1.1.3. 낙동강
해당 문서로.
1.1.4. 영산강
1.2. 도로
1.2.1. 수도권
- 강화대교
- 교동대교
- 서해대교 ☆
- 시천교
- 인천대교 - 대한민국 총 연장 최장교량, 주경간장 최장 사장교(800m) ☆
- 영종대교 ☆
- 제3연륙교
- 초지대교
- 통일대교
- 자유의 다리
- 평택국제대교
- 용비교
- 응봉교
- 일산교
- 성동교
- 군자교
- 장평교
- 장안교
- 겸재교
- 중랑교
- 이화교
- 월릉교
- 한천교
- 녹천교
- 동막교
- Ramp F 1교 (의왕IC)
- Ramp F 2교 (의왕IC)
- Ramp F 3교 (의왕IC)
- Ramp E 2교 (의왕IC)
- 금정IC교
- 남서울역I/C교
- 서수원 I.C RAMP-B교
- 서수원 I.C RAMP-E교
- 석수IC직결램프교
- 수원IC교
- 수원IC2교
- 수원IC5교
- 일직J/C3교
- 평택대교
- 하중R-C교
- 하중R-D교
- 학의 J/C RAMP-5교
- 학의 J/C RAMP-10교
- 한남대교남단2교
1.2.2. 강원도
- RAMP-B교 (방내IC)
- RAMP-D교 (방내IC)
- RAMP-E교 (방내IC)
- 가오작교
- 강동1교
- 강동2교
- 강릉JCT2교
- 강릉JCT3교
- 거마천교
- 견불교
- 고원통1교
- 고원통2교
- 광정천교
- 군축교
- 근덕IC교
- 금강대교
- 남대천대교
- 남삼척IC육교
- 내현교
- 당림교
- 등선교
- 리빙스턴교#
- 방내IC교
- 발한1교
- 부곡2교
- 북강릉IC교
- 북강릉IC2교
- 사천교
- 산성우1교
- 산성우4교
- 살구미교
- 서상대교
- 서천1교
- 서천2교
- 서호교
- 설악대교
- 세월교[23]
- 소양1교
- 소양2교
- 소양3교
- 소양5교
- 소양6교
- 송림2교
- 송암2교
- 수리1교
- 수리1교
- 수인교
- 쌍천교
- 양구대교
- 양양교
- 양양남대천교
- 양양대교
- 어성전교
- 언별2교
- 연곡천교
- 오십천교
- 오월1교
- 용천1교
- 용천2교
- 웅진2교
- 원일전2교
- 원주 Ramp A
- 원주 Ramp B
- 원창1교
- 원창2교
- 원창3교
- 원창4교
- 위촌1교
- 위촌2교
- 인구교
- 인제대교
- 인제38대교
- 잔교교
- 장덕교
- 장본대교
- 적노교
- 전천교
- 주수천교
- 지가철교
- 지흥1교
- 지흥2교
- 천곡교
- 추곡교
- 추곡대교
- 춘천JCT4교
- 합강1교
- 합강2교
- 합강3교
- 해송천교
- 호저대교
- 화상천교
- 황평교
- 횡성대교
- 후천교
1.2.3. 충청도
1.2.4. 경상도
- 공항교
- 남도대교
- 남문대교 ☆
- 남해대교 (현수교 [대한민국 최초], 최대경간장 404m)
- 노량대교 (990m / 최대경간장 890m [대한민국 3위])
- 눌차대교
- 대부잠수교
- 마창대교 ☆
- 매천대교
- 명촌교
- 번영교
- 범안대교
- 산격대교
- 삼천포대교
- 삼호교 1세대 (울산 최고(最古)의 교량, 3세대 삼호교 완공 이후 차량 통행 금지)
- 삼호교 2세대
- 삼호교 3세대 (통칭 신(新) 삼호교, 왕복 6차선)[24]
- 서변대교
- 성기대교
- 세천교
- 십리대밭교
- 신거제대교
- 아양교
- 안골대교
- 안동JCT교 ☆
- 안심교
- 울산교 (현대식 공법으로 지은 울산 최초 및 최고(最古)의 교량, 1994년에 차량 통행 금지)
- 웅천대교
- 야로대교 ☆ (760m / 상판 높이 121.7m [대한민국 1위])
- 와룡대교
- 울산대교 ☆ (1,800m / 최대경간장 1,150m [대한민국 2위])
- 월정교
- 일정교
- 강창교
- 태화교
- 팔달교
- 하양교
- 학성교
- 화랑교
1.2.5. 전라도
- 고금대교
- 거금대교 (사장교, 복층 교량 [하층 - 보행자/자전거, 상층 - 자동차], 최대경간장 480m)
- 거북선대교
- 길호대교
- 김대중대교
- 나로1대교
- 나로2대교
- 낭도대교
- 돌산대교 (사장교, 최대경간장 280m)
- 둔병대교
- 동백대교
- 목포대교 (사장교, 최대경간장 500m [대한민국 사장교 공동 4위])
- 묘도대교
- 무영대교
- 백야대교
- 삼도대교
- 서남문대교
- 세풍대교
- 소록대교 (현수교, 최대경간장 250m)
- 수어천교
- 신안1교
- 신지대교
- 압해대교
- 완도대교
- 영광대교
- 은암대교
- 이순신대교 (최대경간장 1,545m [대한민국 1위 / 세계 6위], 주탑 높이 270m [대한민국 1위 / 현수교 중 세계 2위])
- 자라대교
- 장보고대교
- 적금대교
- 조화대교
- 중앙대교
- 증도대교
- 진도대교 (사장교, 주경간장 344m, 제1진도대교 : 진도→육지 / 제2진도대교 : 육지→진도)
- 천사대교 (현수교 - 사장교 복합교량 [대한민국 유일], 총 길이 7,224m [대한민국 4위], 사장교 구간 최대경간장 510m[대한민국 사장교 3위], 현수교 구간 최대경간장 650m)
- 초남대교
- 칠산대교 (칠산대교 구조물 붕괴사고가 발생한 곳)
- 팔영대교 (현수교, 최대경간장 850m [대한민국 4위])
- 화태대교 (사장교, 최대경간장 500m [대한민국 사장교 공동 4위])
1.2.6. 폐지된 교량
1.3. 철도
1.3.1. 수도권
1.3.2. 강원도
1.3.3. 충청도
천안직결선 || 성정고가교 || 두정-천안 || 하 : 성정동 25 ~ 성정동 60
상 : 성정동 34-1 ~ 성정동 60 || ||호남고속선 || 오송2교 || 오송-공주 || 상선 : 오송리 15-8 ~ 궁평리 315-43
호남고속선 || 오송고가 || 오송-공주 || 상선 : 궁평리 315-43 ~ 강내면 황탄리 산15-1
1.3.4. 경상도
대구선 || 남부고가 || 금호-영천 || 하선 : 오수동 253-1 ~ 금노동 636-7
건천연결선 || 방내교 || 동대구-모량 || 상선 : 건천읍 방내리 305-1 ~ 건천읍 방내리 395-1
경전선 || 신월교 || 신월-창원중앙 || 상선 : 신월리 472-38 ~ 신안리 438-1
건천연결선 || 안모량교 || 동대구-모량 || 상선 : 모량리 719-5 ~ 모량리 522-2
동해선 || 울산고가(명촌철교) || 울산-효문 || 개량 전 : 삼산동 19-2 ~ 진장동 593
1.3.5. 전라도
전라선 || 평화고가교 || 익산-동익산 || 개량 전 : 평화동 162-5, 평화동 215-1 ~ 인화동1가 220-4
1.3.6. 구교
1.3.7. 폐지된 교량
2. 북한
2.1. 4대강
2.1.1. 압록강
2.1.2. 두만강
2.1.3. 대동강
- 청류교(교폭: 28.0m 총연장: 1,100m)
- 능라교(교폭: ??.?m 총연장: 1,070m)
- 옥류교(교폭: 28.5m 총연장: 680m)
- 대동교(교폭: ??.?m 총연장: 618m)
- 양각교(교폭: 28.8m 총연장: 1,???m)
- 양각철교(교폭: 15.2m 총연장: 1,???m)
- 충성의 다리(교폭: ??.?m 총연장: 1,750m)
- 고구려 목교
2.1.3.1. 보통강
2.1.4. 청천강
2.2. 기타
3. 미국
4. 중국
- 단쿤터 대교 : 2010년부터 세계 최장거리 다리. 길이가 164.8km이다. 전세계의 교량, 터널 모두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긴 교통 목적의 시설물이다.[55] 심지어 세계에서 가장 긴 수로 터널인 Delaware Aqueduct도 이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제주 해저터널 계획의 해저터널 길이의 2배도 넘는 거리이다.징후고속철도가 지나는 고속철도용 다리이며 물위를 지나는 구간은 약 9km이다.
- 시두강 대교
- 베이판장대교 :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교량. 높이 565m이며 국내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인 롯데월드타워(안테나 포함시) 보다 더 높다!
- 강주아오 대교
5. 영국
6. 프랑스
- 미요 대교 :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대교였으나(가장높은 주탑의 높이 약 342m)지금은 565m를 자랑하는 베이판장대교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7. 러시아
8. 덴마크
9. 일본
- 세토 대교 : 혼슈 섬과 시코쿠 섬을 잇는다.
- 아카시 해협 대교 : 혼슈 섬과 아와지시마 섬을 잇는다.
- 아마루베 철교
- 아소대교
- 오나루토 교 : 아와지시마 섬과 시코쿠 섬을 잇는다.
- 오시마 대교 : 나가사키 현, 아이치 현, 야마구치현에 3곳이 있다. 다만, 아이치 현에 있는 다리의 정식 명칭은 하카타·오시마 대교이다.
- 칸몬 대교 : 혼슈 섬과 큐슈 섬을 잇는다.
10. 태국
11. 관련 항목
[1]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2] 퇴계원 방향은 1991년, 판교 방향은 2002년 개통[3] 2014년 11월 21일 개통, 단, 강변북로 및 올림픽대로 접속 램프는 2015년 개통[4] 과거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다리로, 노후가 계속되어 1994년 철거 후, 1997년 다시 건설에 들어가서 2003년 임시 개통 후, 2005년에 완공되었다.[5] 원래 하저터널로 통과하나 하저터널 통과 지점이 천호대교 바로 한가운데 밑이라 하저터널로 천호대교를 건너는 것에 해당한다.[6] 대한민국 최초의 사장교이다.[7] 수위 조절용 보인 잠실보가 있다.[8] 붕괴로 인한 재건축[9] 2001년에 새 다리를 개통 후, 기존의 도로는 보수공사를 하여, 2004년에 재개통하였다.[10] 일제강점기에 한강 위에 최초의 인도교로 건설되었으나, 여러차례 파괴된 후, 1954년 완전 복구되었다. 이후, 확장공사에 들어가서 1981년에 신교를 만들어 왕복 8차로로 개통되었다.[11] 한강 남쪽 둔치를 따라 건설된 다리.[12] 1900년 단선으로 개통 이후, 1912년, 1944년 선로를 늘렸으나, 한국전쟁 이후 1951년 단선, 1957년 복선을 거쳐 1969년 복복선으로 운행하였고, 이후 1992년 3복선화되었다.[13]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식 교량이다.[14] 1970년 개통된 이후, 2000년 하류 쪽으로 새로운 교량을 개통한 이후, 기존의 교량을 철거하고 2005년 다시 개통되었다.[15] 1983년 개통된 이후, 성수대교 붕괴사고에 따라 실시한 한강 교량 점검에서 붕괴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어, 전면 재시공에 들어가 1999년에 재개통되었다.[16] 1965년에 처음 개통하였고, 1982년 상류 쪽에 하나 더 교량을 개통하였다. 이후 보강에 들어가, 2000년에 구교를 재개통하고 2002년 신교를 재개통하였다.[17] 1978년 구교가 개통된 이후, 1995년 하류쪽 신교, 2000년 상류쪽 신교가 개통되었다.[18] 수위 조절용 보인 신곡보가 있다.[19] 2014년 3월 현재 착공하지 않았지만 이 다리가 완공되면 한강 최하류 교량이 될 예정이다.[20] 평화의댐 상단으로는 평화로가 통과하는 도로가 지난다.[21] 과거에는 바로 서쪽에 일명 '흔들다리'가 최초의 강촌교로 존재했으나, 붕괴 위험으로 해체되고 현재는 양 끝의 교각만이 그 흔적으로 남아있다.[22] 사실은 청평면 대성리와 삼회리를 연결하는 교량이다.[23] 콧구멍다리로 알려져 있다.[24] 1세대, 2세대, 3세대 등의 구분은 이 문서 내에서의 구분을 위해 임의로 붙인 것이다. 통용되는 표기나 공식 표기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25] 상3선만[26] 상3선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교량[27] 도봉역 제외[28] 신내역사를 기준으로 남쪽은 1고가이고 북쪽은 2고가이다.[29] 하2선 제외[30] 입출고선 포함[31] 백척교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32] 교량상부 비석에는 "길아천교"라고 되어있다.[33] 백양리역 포함[34] 교량하부 교각에 교량명이 적혀있는 표지판에는 "조동교"나 "조동철교"가 아닌 "조동"이라고 되어있다.[35] 남춘천역 포함[36] 배방교 1번교각부터[37] 상선[38] 하선[39] 아산역 포함[40] 자세한 사항은 [image] 사진으로.[41] 탕정역 포함[42] 군북역 일부 포함[43] 군북역 일부 포함[44] 정확히 금호고가인지 금호교인지 확인불가[45] 정확히 동해선인지 중앙선인지 확인불가[46] 정확히 동해선인지 중앙선인지 확인불가[47] 정확히 명칭이 신경주역사고가인지 경주역사고가인지 확인불가[48] 춘양곡철탑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철골 교각 철도 교량이며, 순수 한국 기술로 만든 최초의 고가 철도 교량이다.[49] 함안역 일부 포함[50] 함안역 일부 포함[51] 교량상부에는 "광양만교"라고 적혀있지만, 교량하부에는 "광양만천교"라고 적혀있다.[52] 길이가 6km가 넘는 교량이다.[53] 실제 명칭 불확실[54] 현재 같은위치에 개량되어 사용중[55] 전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인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의 약 3배이다.[56]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아래의 타워 브리지와는 전혀 다른 교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