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월드/구상

 



1. 개요
2. 명령(Order)[1]
3. 구역(Zone)
4. 구조물 (Structure)
5. 생산 (Production)
6. 가구(Furniture)
7. 전력(Power)
8. 방어(Security)
8.1. 엄폐물
8.2. 직사
8.3. 곡사
8.4. 함정
9. 기타(Misc)
10. 바닥(Floors)
11. 오락(Joy)
12. 함선(Ship)
13. 온도(Temperature)


1. 개요


구상(Architecture)탭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에 관한 문서.
이 문서에서는 구상탭을 사용해 건설할 수 있는 각종 구조물과 시설물에 대한 설명도 겸한다.

2. 명령(Order)[2]


  • 해체(Deconstruct): 건물과 시설을 해체한다. 완성된 시설물을 해체할 경우 소모된 자원의 일부(75%)를 되돌려 받는다. 지붕 있는 건물의 벽을 해체할 경우 정착민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지붕없는 지역설정(Add No Roof Region) 명령을 사용해 사고를 예방하자. 지붕은 벽에서 6칸 범위 이내에 형성시킬 수 있다. 플레이어가 점거하지 않은 건축물도 해체 명령으로 점거와 해제를 동시에 명령할 수 있다.
  • 채굴(Mine): 암벽을 파거나, 광맥에서 금속을 채굴한다. 위에서 설명했듯 6칸 이내에 지지벽이 없으면 산이 무너지니 광맥을 찾을때에는 지지대를 적절하게 세워놓자. 또한 산 지붕이 무너지면 그 자리에 무너진 바위라는 구조물이 생성되는데, 채굴명령으로 채굴해도, 개발자 툴로 해체(?)해도 그자리에 다시, 계속 생긴다. 특히 그 자리에 무조건 다시 생긴다는 특성으로 채굴명령을 한 림은 매우 높은 확률로 압사하니 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 운반(Haul things): 옮길 돌이나 고철을 선택한다. 우주에서 낙하하거나 플레이어가 죽이지 않은 생물은 기본적으로 붉은 X표(상호작용금지) 태그가 붙는데, 대상에 상호 작용 허가(F키)를 하면 운반이 가능하다.
  • 제초(Cut plants): 선인장, 잡초 등 해당 구역 내의 모든 식물을 제거하는 명령이다. 제초를 명령한 게 나무나 식용작물이라면 수확할 것이다. 제초 구역을 설정하는 게 아니라 해당 식물에 대해 제초명령을 지정하는 것임을 잊으면 안된다.
  • 수확(Harvest food): 야생의 딸기덤불을 비롯 경작지의 감자, 목화 등을 수확하는 명령이다. 재배 구역(Grow Zone)내의 작물엔 자동으로 수행하며 어느정도 자라지 않으면 수확할 수 없다. 기지 주변의 식물에 자주 사용하도록 하자.
  • 벌목(Chop wood): 수확 가능한 나무를 베어 목재를 얻는다. 초반에는 나무 벽과 침대를 짓기 위해 사용하는 귀중한 자원이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명령. 식량 상인이 목재를 사가기 때문에 건축 자재가 남아도는 후반에는 자금 수입원으로도 쓰이곤 한다. 성숙하지 않은 나무는 벌목명령으로 벌목할 수 없다. 제초로 잡초들과 함께 날려버리거나 일일히 클릭해서 벌목명령을 내릴 수밖에.

  • 사냥(Hunt): 돌아다니는 야생동물을 사냥한다. 잡았을 경우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 저장고로 시체를 옮겨놓는다. 여럿이 사격할 경우 눈 먼 총알에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사냥꾼들에게는 단발 화기를 쥐어주자. 플레이어가 죽이지 않은 생물은 기본적으로 붉은 X표(상호작용금지) 태그가 붙는데, 대상에 상호 작용 허가(F키)를 하면 운반이 가능하다. 위에 설명했듯 눈먼 총알에 정착민 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자주 죽으니 사냥시즌에는 맵을 잘 둘러보자. 사격 스킬을 수련할수 있는 몇 안되는 방법중 하나이니 바쁘지 않은 때라면 방어팀에게 사냥을 자주 시켜주자.
  • 도축(Slaughter): 길들인 동물을 도축한다. 육용 가축을 키우거나 쓸모 없는 동물들이 대거로 합류하는 이벤트 등에서 유용하다
  • 길들이기(Tame): 야생동물을 클릭하여 명령을 내린다. 정착민의 조련 레벨에 따라 길들일 확률이 달라진다.
  • 포장(Uninstall): 가벼운 가구나 거치대 등을 포장하여 매매 가능한 아이템으로 만든다.
  • 점거(Claim): 습격자들이 버리고 간 시설물이나 기본적으로 맵에 생성된 구조물을 점거할 때 쓴다.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고 기지에 편입할때 쓰는 명령. 해체해서 자원을 회수할 생각이라면 굳이 점거할 필요 없이 바로 해체하면 된다.
  • 벗기기 : 시체와 쓰러진 습격자, 포로에게서 옷을 벗기는 명령.
  • 함정 재장전 : 작동한 함정을 재장전해 다시 쓸수 있게 만드는 명령.
  • 계획(Plan): 계획 구간을 설정하고 해제한다. 여유가 없어서 확장을 하기가 여의치 않을 때 나중의 모양을 미리 생각해둘 때 쓴다. 다만 설정해놓은 타일에 어떤 행동이 완료되면 계획이 사라지니 주의. 쓰지 않아도 전혀 상관 없는 기능이지만 게임 초반에 큰 그림을 그릴 때는 제법 유용하다.

3. 구역(Zone)


  • 저장 구역(Stockpile): 림월드 내의 모든 물건을 저장하는 장소이다, 상세 내역에서 저장소마다 각기 다른 물건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초기에는 한 두 저장소에 죄다 몰아 넣지만, 이후에는 물건 별로 정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유저의 편의를 위해 필요에 따라 저장지역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식품은 외부에 보관할 경우 야생 동물들이 먹어 치우므로 건물 내부에 저장하는것이 좋다. 처리장과 다른것은 기본 세팅 뿐이므로 저장소도 처리장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를 설정해서 자원과 동선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 처리 구역(Dumping stockpile): 시체와 쓰레기(돌 덩어리, 슬래그 조각)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보통 시체를 화장하기 전에 치워 두는 곳으로 사용한다. 사실 저장구역과 동일한데 초기 설정이 저장구역과 달리 폐기물과 시체인 것만이 차이점으로 설정만 바꾸면 저장구역과 차이가 없어진다. 샌드백 만드는 자원이 아깝다면 이걸로 돌을 모아서 엄폐물로 쓸 수도 있다.
  • 재배 구역(Growing zone): 작물을 재배하는 공간이다. 식량에서부터 목화, 약초, 나무, 장미 등 폭넓게 재배 가능하다. 수경재배 연구를 완료하면 훨씬 효율이 좋은 수경재배를 할 수 있지만 하지만 수경재배는 전력소모가 크고 심지 못하는 작물들도 제법 된다. 그러므로 흑점폭발을 대비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아예 넓은 재배지를 확보하여 본격적인 농장을 세우는 경우도 있다. 단 이런 경우 강하 포드를 타고 하늘에서 떨어지는 해적, 메카노이드들이 재배 지역을 강하 지역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필요한 적의 예상 진입 경로에 숲을 형성해 엄폐물로 삼을 수도 있다. 혹은 간헐천을 중심으로 건물을 지은 후, 태양등을 설치하고 해당 구역에 작물을 재배해서 겨울에 합선이나 흑점폭발로 전기가 나가더라도 안전하게 재배를 할 수 있게 하는 꼼수도 있다. (간헐천은 주변 온도를 높여준다는 점을 이용한 꼼수. 이 방법을 이용하면 추운 지역에서 전기가 나갔을 때 가축이 얼어죽지 않도록 만들 수도 있다.)
  • 구역 삭제 : 저장, 처리, 재배 구역을 지운다. 그 외의 구역은 지우는 명령이 따로 존재한다.
  • 주거 지역(Home Region): 기본적으로 구조물을 짓게 되면 형성되는 지역으로, 수리, 화재 진압이나 바닥 청소 등을 하게 되는 구역이다. 주거 지역이 너무 쓸데없이 광범위하게 설정되면 주민들이 청소하거나 화재를 진압해야 하는 구역이 늘어나므로, 불필요한 지역은 주거 지역 제거로 적당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 저사양 컴퓨터에선 청소할 때 이상할 정도로 렉이 걸린다.
  • 지붕 구역(Roof Region): 기본적으로 사방이 막히게 되면 자동으로 지붕구역이 설정된다. 그러나 벽 한개 두고 지붕 건설하려면 수동으로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지붕은 벽에서 원형 6타일까지(정확한 범위는 아래 벽 항목 참고) 건설할 수 있으며 벽에서 떨어진 지붕은 건설할 수는 없다. 지붕구역을 크게 설정해도 주변에 벽이 없어 지을수 없으면 자동으로 취소된다. 물건 내구도 감소 방지 및 유독성 낙진 방어용으로 매우 중요하다.
  • 지붕 제거 구역(No Roof Region): 기본적으로 사방이 막히게 되면 평야라 할 지라도 지붕이 건설된다. 그러나 태양 전지처럼 지붕이 없어야 하는 구조물이 있을 때, 지붕 없는 지역을 생성하면(주황색으로 표시된다.) 해당 지역에는 지붕이 생성되지 않는다. 덧붙여 해체를 할때는 지붕은 신경도 안쓰고 벽부터 해체하려고 하기때문에 반드시 선작업으로 지붕 없는 지역을 먼저 설정해줘야 한다. 지붕이 파괴될 경우 잔해를 청소해야 하는 건 둘째치고 당장 떨어지는 순간 림이 부상을 입고 바닥의 아이템도 파손될 수 있다. 원래 바위가 있던 곳엔 두꺼운 암석이 지붕처럼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제거할 수 있다. 유일하게 지붕 없는 지역이 설정 안되는 구역은 산 속(Overhead mountain)으로, 말 그대로 일정 크기 이상의 언덕, 산 내부에 존재한다. 이건 개발자 툴을 이용해서 지우거나 별도의 모드를 깔지 않는 이상 지붕을 제거하는 게 불가능하다.[3]
  • 제설 구역(Snow Clear Region): 온도가 너무 낮아지면 비 대신 눈이 오는데 눈은 쌓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속도를 저하시킨다. 많이 쌓인 눈에선 이동속도가 절반 가까이 저하되니 주민들이 많이 다니는 구간은 제설 구역으로 설정해 작업 효율을 높이자. 제설 작업은 청소 작업과 중복되며 청소보단 제설을 먼저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어차피 눈이 계속 쌓이는 상황이라면 아무리 제설을 해도 시간낭비일 뿐이므로, 차라리 벽을 몇 개 박아 지붕을 건설하고 그 다음에 제설작업을 하는 게 좋다.
  • 허가구역(Allow Zone): 정착민이나 동물들이 이동 가능한 구역을 설정 가능하다. 식육용으로 사육하는 동물을 사육장에만 있게 지정할 수도 있고 유독성 낙진이나 습격이 왔을때 정착민들을 특정 구역에서만 활동하게 할 때도 사용한다. 때때로 위험요소 때문에 주민들의 이동구역을 새로 설정해놨다가 위험이 해제된 이후에도 구역을 풀지 않아서 작업탭에는 행동을 설정했음에도 주어진 행동을 하지 않거나 마우스 오른쪽 클릭에 작업자체를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허가구역이 아닌 곳에서는 작업, 운반뿐만 아니라 머무르거나 이동조차 하지 않는다.

4. 구조물 (Structure)


구역을 구분하거나 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구조물 건설을 위한 탭.
  • 벽(Wall)

지나갈 수 없는 벽입니다. 지붕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재료,
,선택 재료 x5,
,재료,
,기본값,
,,
,,
,강철,
,플라스틸,
,목재,
,우라늄,
,비취,
,사암,
,화강암,
,석회암,
,점판암,
,대리석,
,가연성,
,100%,
,20%,
,20%,
,20%,
,10%,
,100%,
,0%,
,20%,
,0%,
,0%,
,0%,
,0%,
,0%,
,건설 작업량,
,3,
,3,
,3,
,3,
,6,
,2,
,5,
,13,
,25,
,29,
,29,
,29,
,27,
,최대 내구도,
,350,
,245,
,210,
,350,
,980,
,140,
,875,
,175,
,490,
,595,
,540,
,455,
,420,
외부의 공격에 대한 방어나 구획 정리를 위한 일반적인 벽. 우라늄과 석재를 제외하면 죄다 어느 정도 가연성이 있어서 방화를 완전히 방지하고 싶다면 석재로 건설하는 게 제일 좋다. 우라늄은 다른 더 좋은 쓸 곳이 많으니까. 그리고 휴게실이나 식당, 침실의 경우 벽을 이중벽으로 만들어 내벽을 은이나 비취로 만드는 식으로 미관과 인상을 관리할 수도 있다.
[image]
벽의 지지 범위
게임할 때마다 이런 배치도를 익히기가 힘들다면 벽을 중심으로 한 11x11칸의 정사각형은 깔끔하게 지지해준다고 기억하면 편하다. 네 면이 벽으로 둘러쌓인 방이나 산 내부를 채굴할 때는 12x12칸의 정사각형, 혹은 한 변이 12칸인 직사각형이 최대. 따라서 산 내부를 파면서 기둥을 한 개만 세울 때에는 21x21칸의 정사각형이 최대 크기다. 안세우려면 12×칸이어야 한다.13×n하면 가운데 지붕이 싸그리 무너진다. 또한 흡습 펌프의 흡습 범위와 벽의 지붕 지지 범위가 같으니 흡슴 펌프를 대보는 것도 좋다.
  • 문(Door)

방을 나눕니다. 수동으로 열고 닫으며 문 통과시 이동속도가 느려집니다.

,재료,
,선택 재료 x25,
,재료,
,기본값,
,,
,,
,강철,
,플라스틸,
,목재,
,우라늄,
,비취,
,사암,
,화강암,
,석회암,
,점판암,
,대리석,
,가연성,
,100%,
,20%,
,20%,
,20%,
,10%,
,100%,
,0%,
,20%,
,0%,
,0%,
,0%,
,0%,
,0%,
,건설 작업량,
,15,
,15,
,13,
,15,
,32,
,10,
,27,
,71,
,83,
,99,
,99,
,99,
,81,
,최대 내구도,
,250,
,175,
,150,
,250,
,700,
,100,
,625,
,125,
,350,
,425,
,390,
,325,
,300,
,개폐 속도,
,100%,
,100%,
,100%,
,100%,
,100%,
,120%,
,75%,
,100%,
,45%,
,45%,
,45%,
,45%,
,45%,
문은 밀폐된 방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내구도는 벽보다 낮다. 주민들과 우호 팩션 주민들은 문을 여닫을 수 있으나 적대 세력은 열 수 없어서 부수고 들어오게 된다. 문을 사용 금지시켜서 주민들의 출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문 없이 바깥과 연결된 열린 통로가 있어도 공병과 같은 일부 적들은 침입시간이 짧은 쪽을 이용하려 하기 때문에 이런 때는 문을 부수고 침입하려한다. 때문에 문을 너무 맹신하지 말자. 단, 그렇다하더라도 문은 방어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건축물인 것은 강조할 필요가 있다.
  • 열린 공간으로써 문옆의 벽에 엄폐를 하려한다. 어느방향에서든 상황에 맞추어 움직이면 문 옆의 벽에 엄폐는 가능하다.
  • 닫힌 공간으로써 어그로를 차단할 수 있다. 피격당할 우려가 있으면 문 안쪽으로 도망쳐서 다른 구조물을 부수게 하여 림의 생존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다른 목표로의 공격을 유도하여 적의 동선을 복잡하게 만들고, 다른 목표를 지정한 적의 배후를 기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자동문에 비해 소모 자원은 적으나 폰이 직접 문을 열고 닫아야 해서 다소 느리다. 때문에 여러 겹의 벽을 설치해서 여러 개의 문을 쌓아야 할경우 평소에는 끝에 것만 남기거나 모두 강제로 열어둬서 이동시간을 아끼고, 습격올 타이밍을 이용해서 그때만 소집 후 문을 닫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 자동문(Autodoor)

방을 나눕니다. 자동으로 열고 닫히며 문 통과시 이동속도가 느려지지 않거나 덜 느려집니다.

,재료,
,강철 x40 / 부품 x2 / 선택 재료 x25,
,건설 기술 필요,
,6,
,연구 필요,
,자동문(400),
,재료,
,기본값,
,,
,,
,강철,
,플라스틸,
,목재,
,우라늄,
,비취,
,사암,
,화강암,
,석회암,
,점판암,
,대리석,
,가연성,
,100%,
,20%,
,20%,
,20%,
,10%,
,100%,
,0%,
,20%,
,0%,
,0%,
,0%,
,0%,
,0%,
,건설 작업량,
,19,
,17,
,13,
,19,
,41,
,13,
,35,
,92,
,104,
,124,
,124,
,124,
,114,
,최대 내구도,
,250,
,175,
,150,
,250,
,700,
,100,
,625,
,125,
,350,
,425,
,390,
,325,
,300,
,개폐 속도,
,100%,
,100%,
,100%,
,100%,
,100%,
,120%,
,75%,
,100%,
,45%,
,45%,
,45%,
,45%,
,45%,
전력공급이 되면 정착민이 지나갈 때 자동으로 문이 열려 속도의 감속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다. 자동문의 기본적인 개폐 속도는 수동문보다 빠르며, 재료별 열고닫는 시간 계수는 수동문과 같다. 체감상 나무와 우라늄 제외 금속은 바로 지체없이 열리며, 석재 자동문은 수동 나무문 정도의 딜레이가 걸린다. 전력 공급이 되지 않으면 같은 재질의 일반 문과 동일한 시간이 걸린다. 다른 건 다 좋은데 부품을 쓰는 게 좀 아까우니, 적의 습격이 잘 닿지 않는 부분은 그냥 적당히 빠르고 값싼 나무 수동문으로 때워도 된다. 굳이 쓰려면 옆 방과에 열교환을 최소화 해야 할 냉동고 문에 사용하는것이 좋다.
  • 다리(Bridge)

물위에 새울수있는 목재구조물. . 다리위에는 다른구조물도 새울수 있지만,다리가 손상되면 함께무너집니다.

,재료,
,나무 x12,
진흙, 얕은 물 위로 나무로 된 다리를 놓을 수 있다. 당연히 이동이 가능하고, 무른 지면으로 취급돼서 다리 위에 가벼운 구조물이나 시설을 짓는 것도 가능하지만 어디까지나 무른 지면 취급이기에 지을 수 있는 구조물이 매우 제한적이며[4], 다리가 불탈 경우 그 위의 구조물도 같이 파손되므로 주의.
  • 기둥(Column)

지나갈수 있는 벽입니다. 지붕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재료,
,선택 재료 x20,
1.1에서 추가된 기둥.
벽의 체력의 54%, 아름다움의 4 배, 가치의 4 배이고 제작시간도 4배이지만 이동을 막지 않고 지붕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크기가 13x13이 넘는 어중간한 방을 지을때 천장을 지지할 벽대신 이 기둥을 새우면 좋다.

5. 생산 (Production)


생산탭의 모든 장비들은 계획서(bills) 탭을 눌러서 생산을 지정해야 한다. configs 탭에선 작업과 관련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니 최대한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선 약간의 마이크로가 필요하다. 전기를 사용하는 여러 작업대[5]들은 비를 맞으면 폭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니 안 쓸 때 끄는 마이크로를 하기 싫다면 지붕 밑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A16부터는 실외에 설치하거나 온도가 적절하지 못하면 작업속도 패널티가 생기게 되었다.
몇몇 작업대는 재질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작업속도 등에 보너스는 없다. 사막에서 귀한 나무 대신 강철을 사용하는 용도. 화장터를 제외하면 석재로는 만들지 못하므로 화재에 안전한 작업대를 만들수는 없다. 몇몇 작업대는 우라늄을 쓸 수 있지만 그런 곳에 우라늄을 쓰긴 아깝다. 그래도 흔히 구할 수 있는 재료중 가장 가연성이 낮은 강철로 작업대를 만드는 게 좋다.
  • 제작 장소 : 간단한 물건들을 만든다. 만들 수 있는 물건은 단궁, 리커브 보우, 몽둥이, 단검, 몸싸개, 부족 쓰개, 전투 가면, 연초 등 각 분야의 1티어 아이템들. 아무것도 연구되지 않은 부족민들이라면 초반에 반드시 이걸 만들 수밖에 없다. 잠자리와 마찬가지로 시설 자체는 자원 소모나 노동력 없이 즉시 만들어진다.
  • 영양죽 배급기(Nutrient paste dispenser): 영양죽을 제조한다. 옆 타일에 깔대기(Hopper)를 짓고 원료를 넣어두면 생산 가능. 영양죽을 섭취하면 약간 무드가 하락하지만 아예 미가공 식재료를 먹는 것보단 낫고, 소모하는 식량의 양이 매우 적다. 플레이어의 활용은 가급적 지양하되, 감옥과 결합하면 배식하는데 드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기계의 부피가 커서 보통 죄수들을 한방에 가두게 되므로 벽도 되어줄 수 있다. 초중후반 모두요리에 드는 인력이 생각보다 큰데다 특히 초반에는 더욱 그러해서 적극적으로 쓰는 것도 고려할만 하다. 식중독에 취약한 초반이라면 더더욱. 영양죽은 그 어떠한 상황에서도 식중독에 걸리지 않는다. 오른쪽 클릭으로 눌러서 뽑아먹는 게 아니고 배고플 때 정착민이 직접 뽑아먹는 방식이다 보니 보통 영양죽을 아이템 형식으로 보는 일이 드물긴 하지만 뽑아서 쌓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6] 깔때기에 생식 페널티를 받지 않는 재료(딸기 등)가 들어있으면 영양죽 대신 재료를 꺼내먹으니 주의. 죄수들에게 먹일 때는 죄수들의 식사제공을 해제하자.
  • 깔대기 (Hopper): 상기된 영양반죽 배급기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영양죽 배급기 바로 옆 타일에만 건설할 수 있다. 방향은 상관 없다.
  • 도축 작업대(Butcher table, 도살대): 동물 사체를 도축하는 시설. 사체를 고기와 가죽으로 가공할 수 있다. 기본 옵션엔 해제되어 있지만, 옵션을 키면 사람도 도축 가능하다. 사이코패스, 피의 갈망, 식인 세가지 특성들 중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은 주민의 경우 사람을 도축할 때 무드 저하가 발생하니 주의.[7] 건설 후 반드시 계획서(Bill)탭을 눌러 도축 명령을 내려줘야 하는데, 무한대를 고르면 범위안에 지정한 동물의 시체가 생길때 마다 바로바로 해치운다. 도살대 조리대 모두 요리 스킬을 사용하므로, 후반부에 요리사들이 밥하기 바빠서 도축이 원활하게 안 돌아갈 경우 조리대에 요리 스킬 제한을 10 정도로 두고 요리등급이 고만고만한 정착민을 싹 요리사로 편입시켜두면 도축만 하도록 만들 수 있어서 질낮은 요리가 나올 걱정없이 먹거리 흐름이 한결 좋아진다. 요리스킬과는 관계없이 동물의 원래 고기량 x 신체 결손 수치에 따른 고기만 나온다. 청결을 15만큼 떨어뜨리는 가구이므로 스토브와는 다른 방에 두는 게 좋다. 도축 외에 사료도 이곳에서 만든다. 재질과 무관하게 제작에 목재 20이 필요하므로 나무가 없는 맵이면 만들기 어려울 수도 있다.
  • 도축 장소: 제작 장소의 도축 버전. 도축 작업대를 만들기 전까지 맨땅에서 도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축 작업대에서 도축할 때에 비해 생산량이 70%로 감소한다.
  • 전기 스토브(Electric Stove): 이름에서 예상되듯 전기가 필요하며 여러 재료로 3가지 종류의 음식을 만들 수 있다. 간단한 식사(Simple Meal)는 0부터, 좋은 식사(Fine Meal)는 6, 호화로운 식사(Lavish Meal)는 10 이상의 요리(Cooking) 스킬이 필요하다. 요리 외에도 광이차와 페미컨을 만들 수 있다. 참고로 전기스토브의 전기소모량이 350w로 꽤나 높은 편이다.
  • 스토브(Fueled Stove): 위와 달리 나무장작을 연료로 해서 작동하는 조리대이다. 그 외의 차이점은 없다. 부족 스타팅이라면 전기 개발 전까지 계속해서 사용할 물건이다. 목재를 사용하므로 목재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사용이 꺼려지는 물건. 전기 스토브의 전력 소모량이 꽤 되는 관계로 온대림, 열대우림, 아한대림처럼 목재가 풍부한 지역이라면 전기 스토브 대신 주력으로 사용해도 별 상관 없고, 그 외의 지역에서도 전력 부족이나 누전, 흑점 폭발에 대비해서 평소에는 쓰지 않는 비상용으로 하나 만들어두는게 좋다.
  • 연구대(Research bench): 연구 명령을 내려놓은 정착민들이 여기서 연구 활동을 한다. 1인용. 2x3부터 시작해서 고급 연구 작업대는 2x5로 쓸데없이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배치가 힘들다. 연구가 완료되면 잽싸게 해체를 해버리자. 연구작업속도는 연구작업대 45%, 고급연구작업대는 75%. 연구속도는 위생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연구실을 따로 만들고 바닥을 항균타일로 깔아주면 좋다.[8] 모든 연구가 끝나면 쓸모가 없고 자리만 차지하니 해체하자.
  • 기계 작업대(Machining table, 기계 가공 테이블): 메카노이드 시체를 분해하여 금속을 얻을 수 있으며 총기와 방어구 제작이 가능해진다. 귀중한 플라스틸도 얻을 수 있으니 꼭 설치하자. 초반에 저격소총이나 기타 무기를 갖추고 있어서 급하게 무기나 방어구가 필요하지 않다면 메카노이드 시체를 얻은 후 개발, 설치해도 무방하다. 메카노이드 분해시 얻는 자원의 양은 제작 스킬과 관계없다. 정착지 발전의 핵심. 헬멧은 바로 제작 가능하나, 방탄조끼나 바지, 총기는 여러 연구를 완료해야 만들 수 있다.
  • 석재 절삭대(Stonecutter's table): 연구탭에서 석재 가공(Stonecutting)을 연구하면 제작할 수 있다. 주변에 널려있는 돌덩이(Stone Chunk)을 연마하여 석재를 생산한다. 채굴로 생겨나는 돌덩어리의 수량이 엄청나기 때문에 처리장으로도 감당이 안되면 이걸로 블록들을 만들어서 수를 줄여주는 것도 좋다. 제작 속도만 제작 스킬과 관계있고 양은 관계 없다. 청결을 5만큼 떨어뜨리는 가구이므로 청결을 요구하는 장소에 두지 말자.
  • 전기로(Electric Smelting, 광재 정제기): 포드 추락이나, 시설이 부서질 때 생기는 커다란 강철 파편(Slag Chunk; 고철)과 필요없는 무기, 금속제 방어구들을 태워 없애거나 다시 금속으로 제련할 수 있다. 전력을 700W나 소모하나 고철을 자원으로 환원시키는 유일한 방법이다. 사실 전기로로 얻는 강철은 별 의미가 없는게, 중후반만 돼도 강철 수요량이 폭증하는지라 전기로에서 얻는 강철은 의미가 없는 수준이기 때문. 전기로의 진가는 팔아봤자 돈도 안나오고[9] 공간만 차지하는 무기류와 강철 파편을 없앨 수 있다는 점이다. 커다란 강철 파편 하나를 녹이면 강철 15개를 얻을 수 있으며, 현대무기들을 녹여 얻는 강철의 양도 그럭저럭 나온다. 이걸 사용하는 림이 있으면 방의 온도가 점점더 올라간다.
원거리 무기 종류에 따른 자원 회수양 (품질, 내구도, 제작스킬에 무관하다.)
무기
권총
산탄총
장총
돌격소총
저격소총
기관권총
기관단총
소이탄발사기
경기관총
미니건
회수자원 (강철만)
8
22
23
25
25
22
32~33
35
38
40
무기
전자기소총
파멸의날 로켓발사기
삼단 로켓 발사기
회수자원
강철 30 플라스틸 7~8
없음
없음
들어가는 재료량의 1/4만 돌려받으며 부품은 돌려받지 못한다.
  • 전기 화장터(Crematorium, 소각로): 250W 의 전력을 사용하며 시체와 쓸모없는 옷가지, 마약을 태운다. 재료로 나무나 강철을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작업대와는 달리 석재만을 선택할 수 있다. 습격자들의 시체를 태울 때 주로 사용한다. 주민 동료의 시체를 태우면 무드가 하락하니 계획서(Bill) 탭을 눌러 반드시 주민(Colonist)의 시체는 소각대상에서 해제하자. 의류를 소각할 때 1개씩만 태우므로 여러개를 모두 태우는게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에 노동력이 낭비되기 쉽다. 그래도 시체를 태울 경우 그 시체가 입고있는 옷가지들도 한번에 소각하게 되면서 노동력 소모가 훨씬 줄어든 점은 장점. 전기 화장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처리구역으로 소각할 물품을 모은 다음 화염병이나 소이 박격포탄 등으로 한번에 태우는게 시간이나 전기 면에서 이득이다. 전기 화장터의 장점은 일일히 플레이어가 컨트롤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시체나 옷을 소각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정도.
  • 수경 재배기(Hydroponics basin): 4칸의 작물을 고속 성장시킨다. 밭에서 기르는 것보다 성장 배율이 좋아서 더 빠르다. 흑점 폭발 등으로 전력이 나가면 기르던 식물도 전부 죽으니 성장기간이 긴데 중요한 작물들은 되도록이면 땅에 기르도록 하자. 겨울 동안엔 바깥에서 식물을 기를 수 없기 때문. 토질이 280%짜리라고 보면 된다. 태양등과 조합해 흙이 없는 산지에서 실내 재배가 가능하다. 태양등 하나에 최대 24까지 배치 가능하다. 남은 칸은 온도조절용 난로 등을 배치하면 좋다.
가능작물: 감자 (172%), 벼(280%), 딸기(280%), 목화(280%), 약뿌리(280%), 홉(226%), 광이풀(280%), 연초(280%)
불가능 작물: 나무, 꽃, 악마가닥, 목초, 옥수수
  • 재봉 작업대(Tailor's Bench, 재단사의 작업대): 의류를 제작하는 작업대. 의류의 경우 가구나 무기와는 달리 판매계수가 붙질 않아서 제값을 받고 팔 수 있다. 자동 재봉 작업대의 절반의 속도밖에 내지 못하므로(50%) 전기를 개발하면 갈아타는게 좋다.
  • 전기 재봉 작업대 : 120W 소모. 전기가 끊길 경우에도 재봉 작업대와 동일한 50%의 속도로 옷을 만들 수 있다. 다른 전기를 소모하는 작업대들은 정전 시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한 장점.
  • 단조 작업대(Smithing Bench, 대장장이 작업대): 무기를 제작하는 작업대. 스토브처럼 목재를 소모하며 산업테크 이전의 각종 근접무기들과 헬멧, 판금갑옷 등 방어구를 제작할 수 있다. 근접무기의 경우 금, 은, 목재, 석재, 금속 등을 원료로 사용하며 등급이 존재하니 높은 등급의 무기를 원한다면 높은 기술 수준을 가진 주민을 배정하는 것이 좋다. 무기는 판매계수가 20%밖에 안되므로 돈벌이 용으로는 사실상 사용할 수 없으나 판금 갑옷은 판매계수가 붙지 않고, 갑옷 중 유일하게 나무로 제작할 수 있어서 나무가 많은 기후에서 돈벌이용으로 좋다.
  • 전기 단조 작업대: 단조작업대와 같지만 목재 대신 전기 210W를 소모한다.
  • 양조대: 홉을 사용하여 맥아즙을 빚는 작업대. 양조장 테크를 탈 경우 자주 이용하게 된다. 요리(Cooking) 스킬과 관계있다.
  • 발효용기: 맥아즙을 최대 25개 넣어서 7~30도의 온도를 유지했을때 10일을 발효시켜 25개의 맥주를 생산한다. [10] 다른 약물에 비해 10일이라는 숙성이라는 기간을 거쳐야 하는 만큼 제때제때 만들기 힘들고 , 무엇보다 내성과 중독성이 추가됨에 따라 어느 약물이든 꺼려지는 상황상 대놓고 많이 짓기도 쉽지 않다. 그래도 맥주의 경우 중독성이 1%[11] 밖에 안되기 때문에 양조해서 사용하는데 부담이 적다.
  • 조소 작업대(Sculptor's Table, 조각가의 작업대): 예술가가 이곳에서 조각품을 만든다. 금, 은, 목재, 석재, 금속 등을 원료로 사용한다. 만드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예술품은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무역에 도움이 된다. 예술 스킬에 따라서 조각품의 완성도가 결정되며 이는 곧 시장 가치와 아름다움 수치와 연결된다. 높은 예술 수치를 가진 주민이 있다면 예술품만 만들게 설정하자. 낮은 예술 수치를 가진 주민을 설정해 놓으면 원자재값보다 못한 예술품을 만들어내니 별 효율이 없다. 평범(Normal) 이상 등급의 예술품만이 원자재 이상의 값을 뽑아낸다.[12] 예술(Art) 스킬과 관계있는 유일한 시설이다. 원료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가공시간이 다르게 책정되며, 크기가 큰 예술품이라 해도 등급이 낮으면 소형 예술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경우가 많고, 강철, 나무같이 비교적 흔한 원료일수록 완성품의 가치도 저렴하다. 건축 외에는 크게 쓸 일이 없는 자원인 석재는 타 자원에 비해 가공시간이 약 4~5배가량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예술품 가공시 자원 소모 대비 효율이 가장 크다.
  • 약물 연구대(Drug lab): 원자재 50에 강철 75 부품 6개라는 엄청난 자원을 소모하면서도 설치시에는 아무것도 만들 수 없고[13] 연구를 진행해야 고주스, 페노자이실린, 플레이크, 야요, 웨이크업, 약품을 생산할 수 있다. 루시페륨과 번화계 약품은 생산이 불가능하다. 맥주와는 달리 정착지에서 사용하기는 조금 부담되는 반면 판매용으로는 상당히 좋다.
  • 조립 작업대(Fabrication bench): 부품과 고급 부품, 하이테크 무기, 고급 방어구를 제작할 수 있다. 모든 기계 부품들이 부품을 두 세 개씩 잡아먹는데다 심심찮게 고장나서 부품을 하나씩 잡아먹지만 상위 테크의 장비나 부품을 제작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작업대. 제작에 건설기술 6이 필요한 건 둘째치고, 부품이 필요해서 만드는 작업대에 부품을 12개나 투자해야 하고, 퀘스트나 구입으로밖에 획득할 수 없는 고급 부품도 2개를 소모한다. 고급 부품의 생산에는 부품 1/강철 20/플라스틸 10/금 3이라는 적지 않은 희귀광물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작업대 자체도 2x5로 작지가 않다. 허나 부품 자체의 소모량과 우주선 제작에 필요한 고급 부품들의 수요때문에 조립 작업대의 설치는 필수다.
  • 심층 굴착기(Deep drill): 지면투과 스캐너로 파악된 위치의 땅 속 자원을 채취할 수 있다. 설치된 곳을 포함 3x3을 채굴 가능하며 위치를 옮길 수 있으므로 다 팠다면 재설치로 옮기자. 강철은 1번 시도할 때마다 30개씩 굴착하고, 희귀한 광물일수록 적게 굴착한다. 플라스틸의 경우 1번 시도할 때 7개씩 굴착한다. 작동에 전력이 필요하지만 굳이 길게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완충된 배터리를 갖고가서 옆에 설치해주면 상당히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가 다 되기 전에 다른 것으로 계속 교체해주면 된다. 다만 배터리가 비를 맞으면 폭발한다는 점에 주의. 우주선을 만드는데 자원이 미칠듯이 소모되다보니 중반 이후부터는 심층굴착기는 필수. 금과 우라늄은 물론이거니와 강철조차도 만단위로 소모되다 보니... 패치로 인해 채취시 랜덤하게 지하에 있는 곤충 군락을 건드려 곤충들이 튀어나오는 인카운터가 추가되었다.[14] 이 인카운터로 나오는 곤충은 처음부터 인간에게 적대적인 대신 적은 수만 튀어나오며, 경고가 주어지고 조금 지난 다음에 나온다.
  • 정유소(Refinery): 생물 자원으로부터 화학연료를 만들어낸다. 대부분의 음식류, 나무 등을 자원으로 쓸 수 있으며 공격온 적을 도축해서 인육을 연료로 재활용하는 바람직한(...) 활용도 가능하다.

6. 가구(Furniture)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여러가지 가구들이다. 모든 가구들은 공통적으로 판매시 판매계수 ×70%가 붙어서 원재료가의 70%밖에 받지 못하므로 완벽등급(원가의 105%만큼을 받는다.) 이상을 뽑아낼 자신이 없다면 판매용으로는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
부족민들은 가구 연구를 하지 않는 이상은 대부분의 가구의 생산이 잠겨있다. 기껏해야 횃불, 식탁, 막 만든 의자, 침낭 정도가 전부. 바닥에서 잠 무드 감소를 없애기 위해서는 초반에 빠르게 가구 연구를 마쳐야 한다.
품질에 따른 휴식 효율 계수(평범 100%기준)와 편안함 수치
품질
끔찍
빈약
평범
상급
완벽
걸작
전설
미관 계수
0%
50%
100%
200%
300%
500%
800%
시장 가치 계수
50%
75%
100%
125%
150%
250%
500%
편안함 계수
76%
88%
100%
112%
124%
145%
170%
수술 성공률 계수
90%
95%
100%
105%
110%
115%
130%
휴식 효율
86%
92%
100%
108%
114%
125%
160%
참고) 편안함 수치에 따른 무드 증가량: 60%(편안함 +4), 70%(매우 편안함 +6), 80%(최고로 편안함 +8), 90%(사치스럽게 편안함 +10)
  • 수면용 가구
수면용 가구는 잠을 잘 때 사용한다. 개척지 주민을 위한 주민용, 포로 수용을 위한 수감자용, 부상 치료 및 수술을 위한 의료용 세 가지로 분류된다. 방에 침대 하나가 있으면 침실로 취급되지만 둘 이상 존재하면[15] '막사'가 되어 평가가 낮아진다. 막사는 침실에 비해 인상 보너스가 적지만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초대형 조각상 등으로 미관을 높이기가 유리하다. 침대의 주인은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침대 옵션에서 직접 지정해 줄 수 있다.
침대는 그 소재에 따라 휴식 효율이 달라진다. 나무와 강철, 플라스틸, 우라늄, 금, 은, 비취 등은 100%이며, 벽돌로 만들어진 침대는 90%다. 가급적이면 금속이나 나무로 침대를 만들자.
  • 잠자리(Sleeping spot): 맨바닥에 잘 공간을 지정한다. 아무런 자원 없이 처음부터 지정해 줄 수 있지만, 이곳에서 자면 '바닥에서 취침' 디버프로 무드가 -5가 된다. 수면 효율 또한 70%로 일반 침대보다 떨어진다. 임시로 여기서 자라고 지시해주는 역할. 감옥에 침대 수가 모자란데 습격에서 적 부상자가 많이 생겨 일단 잡아넣고 침대를 만들고 싶을 때에도 임시로 쓰면 된다. 출혈이 너무 심한 부상자가 병원까지 살아서 옮길 수 없을 것 같을 때 맨바닥에 의료용으로 설정해서 눕혀놓고 응급처치하는 용으로 쓸 수도 있다.
  • 침낭, 큰 침낭: 다른 침대와는 달리 가죽이나 털 등 옷감으로 만든다. 무게가 나무 침대의 1/20밖에 되지 않는다.(나무침대 50Kg, 침낭 2.5Kg, 큰 침낭 4.5Kg) 상단에 인원수만큼의 침낭을 포함시키면 수면 효율과 편안함 욕구가 증가한다. 부족민은 고급 가구를 만들 수 없으므로 초반에는 침낭을 이용해야 한다.
  • 침대(Bed): 일반 침대. 수감자용으로 지정하면 같은 방 안에 있는 다른 침대들도 수감자용으로 즉시 변경되니 방 구분에 신경쓰자. 3x3 이하의 협소한 방은 비좁음 디버프가 떠서 무드가 하락한다. 6x6 이상의 방은 '넓은 실내'로, 무드 향상이 된다.
  • 큰 침대(Double Bed): 2명이 같이 잘 수 있는, 공간을 2x2칸 차지하는 침대. 연인들끼리 소유자 설정을 해놓으면 누워서 스킨십을 하며[16] 사랑을 이야기했다고 무드 버프가 생긴다. 연인이 서로 다른 침대에서 자면 서로 같이 자고 싶어서 무드 패널티가 생긴다. 연인 관계가 아닌 폰끼리 자게 하면 역시 무드 패널티가 생긴다. 혼자서 큰 침대에서 자더라도 공간 낭비를 제외하면 손해는 없으며 편안함과 휴식 효율은 침대보다 더 높으므로 목재가 부족한 맵이 아니라면 처음부터 일반침대 대신 큰 침대를 만들어주는편이 좋다. 만약 큰 침대가 있는 방을 감옥으로 만들게 되면 두 명의 포로를 한 방에 넣는다.
  • 고급 침대(Royal Bed): 큰 침대와 같은 크기의 2인용 침대. 큰 침대보다 자원을 40 더 쓰며 추가로 금도 50 들어간다. 일반 침대 대비 편안함 0.15, 휴식 효율이 5% 높으며 미관이 높고 가격도 비싸 방의 인상을 크게 향상시켜준다. 금 50이 싼 값은 아니지만 후반이 되면 휴식 효율과 무드 관리를 위해 가능하다면 고급 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회복 침대(Hospital Bed): 의료용 침대로 수술 성공률이 상승한다. 10개의 부품, 200의 금속자재가 필요하다. 목재로는 지을 수 없다. 요구 연구량이 2000이라 초반에는 지을 수 없다. 그러나 중반에 들어서면서 반드시 갖춰야할 가구다. 치료품질을 올려 생약으로도 좋은치료를 하게 해주고 항체의 생성속도를 올리는 현실적인 방법이기 때문. 치료 품질 계수 +4%, 항체 생성 속도 계수 +4%(침대가 기본적으로 ×110%이므로 최종적으로 114%)가 붙는데, 이는 품질과 무관하게 적용되므로 설령 품질이 구린 게 나오더라도 급한대로 쓸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의료 전용이지만 일반 침대로 전환할 수는 있는데 자원만 더 먹고 이점이 없어서 아마 쓸 일은 없을 것이다.[17]
  • 침대 보조용 가구
품질에 상관없이 침대의 편안함을 5% 증가시킨다. 여러 협탁이나 옷장이 있어도 그중 하나의 효과만을 받는다. 즉 가구들로 올릴 수 있는 편안함은 10%가 한계.
  • 협탁: 침대의 머리맡(베개 방향)에 붙여서 건설해야 효과가 있다. 즉 2칸짜리 일반 침대는 머리 바로 위 또는 옆칸, 4칸짜리 큰 침대는 머리 위 두 칸 또는 양옆의 위쪽 두칸 중 하나에 놓으면 된다. 조건이 까다롭지만 조건만 만족한다면 침대 여러 개와 연결해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침대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놓고 중간에 협탁을 배치하는 일명 히오스 침대로 효율적인 막사 구성이 가능하다.
  • 옷장: 주변 모든 침대의 편안함을 개선한다. 막사를 사용 중이라면 한 두개만 놓아도 되지만 개인 방을 사용한다면 침대마다 1:1로 두어야 한다.
  • 동물 수면용 가구
동물용 침대. 동물들의 경우 굳이 침대가 없어도 아무데서나 잠들며 이에 따른 불이익도 없으므로 효과만 생각하면 동물 잠자리 지정만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습격 등의 상황에서 동물들을 빠르게 치료하기 위해서라도 잠자리 지정은 반드시 해주는 것이 좋다. 그래도 침대일 경우에는 동물들의 잠 효율이 늘어나 약간이나마 덜 자고 다쳤을 때 치료 효율도 늘어난다. 눈에 띄게 큰 차이는 없으니 그냥 이런 게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 일단 치료 효율와 잠 효율이 조금 늘어나긴 하기 때문에 후반에는 자원도 남아도는 겸 동물 침대로 싹 바꿔주는 편이 좋긴 하다. 아쉬운 점은 동물마다 소유자 지정을 해줄 수 없다는 것.
  • 동물 잠자리: 잠자리와 같다. 아무 재료 없이 그냥 지정만 하는 것.
  • 동물 상자: 목재, 금속, 벽돌로 제작 가능. 닭, 고양이, 여우처럼 작은 동물들만 이용할 수 있다. 큰 동물(낙타 등)이라도 새끼일 때는 이용 가능. 엄폐율이 극단적으로 낮지만 엄폐는 가능하기 때문에 개활지 킬존에 몇개 설치해두면 총을 든 습격자들을 막을 때 사용 가능하다.
  • 동물 침대: 옷감으로 제작 가능. 모든 동물이 이용할 수 있다.
  • 식탁 및 의자
바닥에서 음식을 먹을 경우 무드가 하락하기 때문에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주민들이 할 일이 없을 때 주변에 모이는 장소이기도 하다. 해당 옵션은 테이블이나 의자에서 끄거나 켜는 것이 가능. 주민들은 음식을 가지고 다니다가 배가 고프면 까먹는데, 이 때 일정 거리 내에 의자랑 테이블이 없으면 그냥 거기서 먹는다. 따라서 거주지의 적당한 거리마다 설치해두는 편이 좋다.[18] 그리고 의자는 작업대 앞에도 설치해둘 수 있다. 작업대를 설치할 때 보면 의자를 둘 위치가 표시된다. 의자가 없어도 작업은 가능하지만, 의자가 있을 경우 편안함 수치가 올라가기에 무드 차이가 상당히 크게 난다. 따라서 어지간하면 모든 작업대 앞에 의자를 설치해주는 게 좋다.
  • 식탁(Table): 식사를 할 때 사용되는 가구. 1x2, 2x2, 2x4, 3x3 크기가 있다. 들어가는 재료 수와 크기 비율을 따져보면 작은 것 여러 개보다 큰 것 한 개가 더 효율이 좋다. 또 의자에 앉을 수만 있다면 식탁에서 몇사람이라도 먹을 수 있다. 1X2의 두칸짜리 식탁의 경우 놓을 수 있는 의자는 6명이므로 한번에 6명까지 먹을 수 있다는 것.
  • 식탁 의자(Dining Chair): 식탁 옆에 배치되는 가구. 석재로는 제작 불가. 방향을 맞춰주지 않으면 옆에 식탁이 있어도 바닥에서 먹으므로 주의하자.
  • 의자(Stool): 식탁의자보다 자원을 1/4 밖에 안 먹고 빠르게 건설할 수 있어 자원과 인력이 모자란 초반에 지어주는 경우가 많지만 등받이가 없어서인지 편안함 값이 제일 낮다. 부족민 테크에서는 이 의자밖에 만들 수 없다. 잠깐이라도 림이 머무르는 곳이라면 이 의자라도 설치해주자.
  • 팔걸이 의자(Armchair): 옷감 110으로 제작 가능. 편안함 값이 가장 높아서 오랜 시간을 보내야하는 작업대에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후반이 되면 자원도 남는 겸 의자들을 싹다 팔걸이 의자로 바꿔주는 것이 좋다.
  • 광원
림들은 어두운 곳에서는 작업속도에 패널티를 받으며, 어두운 곳에 오래 있을 경우 무드 페널티도 받는다. 따라서 어지간한 실내는 다 밝혀두고 실외도 어느 정도 밝혀두는 것이 좋다. 단, 어둠으로 인한 무드 하락은 일정 시간이 지나야 생기고 잠깐이라도 밝은 곳에 가면 곧바로 해결이 되니 지나다니는 복도같은 곳은 띄엄띄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잘 때는 어두운 곳 디버프를 받지 않기 때문에 침실에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래도 설치한다고 페널티가 있는 것도 아닐 뿐더러, 어두우면 일단 잘 보이질 않아서 플레이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므로 왠만하면 설치해주는 게 좋다. 참고로 모닥불이나 발전기(나무, 화학연료)같은 것들도 부가적으로 광원 효과를 가지고 있다.
  • 횃불: 나무를 태워 빛을 밝혀준다. 열도 약간 방출. 주기적으로 나무를 연료로 넣어줘야 한다. 후반에는 온도 조절은 냉방기, 전열기로 하고 광원은 스탠드 조명으로 해결하고 나무를 연료로 넣는 동선 낭비가 너무 심해서 필요가 없다.
  • 스탠드 조명(Standing lamp): 빛을 밝혀주는 전등. 전기가 25W 필요하다. 정착민들의 이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다른 가구와는 겹칠 수 없다. 컬러 조명을 연구 시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세가지 색 전등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실질적인 차이는 없고 꾸미기 용.
  • 태양등: 농작물이 자랄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가진 전등. 전등이 50%의 빛을 내는데 비해 태양등은 100%의 빛을 낸다. 전력 소모량이 무려 2900W 이다. 풍력 발전기의 최대치가 3000W 이고, 지열이 3600W인 걸 생각하면 확실히 전기 잡아먹는 괴물. 실내재배, 수경재배 용도로나 쓰자. 태양등이라는 이름답게 오전 6시~오후 6시에만 등이 켜진다.
  • 선반(Shelf): 1x2칸짜리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일반 저장공간과의 차이점이라면 지붕이 없는 곳이나 야외에 설치했을 경우에도 내용물의 내구도가 닳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미적 수치에 악영향을 주는 아이템을 넣어놔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19] 재료에 따라서는 선반 자체에 미관이 붙어있기까지. 박격포 근처에 준비탄 가대, 병실에 약품 보관, 식탁 근처에 맥주나 사이카이트 홍차 등 기호약물 보관 등 창고보다는 다른 장소에 두는 편이 효율적인 물건들을 보관하기에 유용하다. 또 평소에 들고 다니기엔 애매하지만 특정 적이 나타나면 바로 꺼내야하는 EMP 수류탄, 미니건, 로켓, 근접무기 등을 넣어서 방어선 주변에 두면 창고로 주우러 간 새에 무방비한 상황에서 습격을 맞이하는 위험을 막을 수 있다.
  • 기타
  • 화분(Plant pot): 주변의 미관 수치를 높인다. 화분에 심어진 꽃은 빛이 약간 어두움(50%) 이상이어야 자라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했을 경우 전등이나 횃불, 히터 등 광원이 있어야 한다.

7. 전력(Power)


전력의 생산과 공급에 관련된 설비들이다. 전력은 마을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만큼 필수적인 시설이다. 후반 난이도가 괴악하게 올라가는 이유 중 상당히 큰 원인이 바로 전력부족이다. 이 카테고리 안에 있는 것들은 모두 미관을 대폭 깎기 때문에 검소 특성을 가진 주민의 방에 이걸로 발전 겸 해주면 좋다.
  • 태양광 발전기(Solar generator)(연구 필요): 생산 전력 1700W. 햇빛을 동력원으로 바꿔주기 때문에 낮에만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밤이거나 일식처럼 해가 뜨지 않는 상황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극지방 위도에 가까워질수록 효율이 조금씩 떨어지며, 극지방에서는 정오에 최대의 절반정도인 800W도 넘지 못할정도로 공급률이 떨어진다. 해빙 정도 되면 백야 때문에 2분기 쯤에는 하루종일 낮이라 태양광 발전기가 아주 큰 효율을 발휘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은 이유. 비나 안개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번개는 주고[20] 화산 겨울의 경우 공급률이 떨어진다. 태양등과 매우 궁합이 좋은데 이유는 태양등 1개에 태양광 발전기 2개가 필요한데 태양광 발전기는 낮에만 발전하고, 태양등도 낮이 아니면 가동하지 않아 절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태양광 발전기는 발전량이 서서히 떨어지는 만큼 축전기 하나는 설치해두는 것이 안정적이다.
  • 풍력 발전기(Wind turbine): 전력을 최대 3000W 생산한다.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선 앞 뒤로 빈 공간이 필요해서 공간을 많이 사용한다. 풍력발전기 앞뒤 공간에 벽이나 지붕, 나무가 있으면 전력 생산량이 줄어든다. 바닥타일을 깔거나 작물을 재배해서 나무가 자라는걸 막아주자. 날씨나 시간에 따라 바람의 양이 달라지고 거기에 맞춰 전력 생산량이 0에서 3000W 사이로 변하기 때문에 태양광 만큼은 아니지만 댐퍼로 배터리가 필요한건 여전하다. 태양광 발전기는 바람을 막지 않고(붙여서 지어도 상관없음) 또 풍력 발전기는 보통 밤에 전력 생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기와 묶어서 지어주면 축전지를 덜 지을수 있다. 그리고 고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도가 높을수록 풍력 발전기의 효과가 좋다. 사실상 고도가 유일하게 영향을 주는 부분.
  • 지열 발전기(Geothermal generator) (연구 필요): 간헐천 위에 건설하여 그 지열로 3600W의 전력을 항상 공급한다. 처음 시작지를 선정할 때 이 발전기를 염두에 두고 시작하면 초반 전력 공급 걱정을 덜 수 있다. 부피는 크나 전력 생산량도 많고 밤낮없이 전력을 생산하므로 지열 발전기를 확보할 수 있다면 편하다.[21] 또한 지열 발전기를 환풍구로 주거공간과 연결하여 겨울난방에 활용할 수 있다. 여름에는 환풍구를 닫으면 되고. 그러나 증기 간헐천은 어쨌든 한 맵당 정해진 양이 있어 다른 발전기처럼 대량으로 설치하는 건 불가능하고, 간헐천 자체도 모드가 없다면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없어 원하는 곳에 지을 수 없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 나무 화력발전기: 목재 75로 81시간(3일 9시간)동안 1000W의 전력을 공급한다. 발전 용량이 적고 발전량 대비 소모자원이 많지만 그럭저럭 흔한 자원인 목재만 있으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태양광이나 풍력은 외부 환경에 따라 전력생산이 아예 안 될수도 있어 축전지 없이는 쓰기 힘들고, 지열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발전기는 연구도 필요없고 초반에 공급이 부족한 부품을 두 개씩 먹는 축전지도 딱히 필요없어서 초반을 넘기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주기적으로 연료를 채워줘야해서 초반엔 매우 귀중한 노동력을 잡아먹는게 큰 단점. 지열 발전기와 태양광/풍력/축전지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연료 발전기가 완공되는 후반에는 딱히 쓸만한 장점이 없다.
  • 화학연료 화력발전기 : 연료 30로 147시간(6일 3시간)동안 1000w의 전기를 공급한다. 목재로 화학연료를 만들어 굴릴 경우 목재 70으로 연료 35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나무 발전기에 비해 연료비가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거기에 더해 연료를 채우는 빈도도 절반으로 떨어진다. 연료 소모량이 적고 효율이 높은 좋은 발전기이지만 단점은 애매한 포지션. 초/중반에는 구하기 쉬운 목재를 재료로 하는 나무 화력발전기나 연료소모가 없는 태양광과 풍력 조합에 밀리고, 후반에는 아무리 연료를 채우는 빈도가 떨어졌다 해도 동선 낭비가 더 심한 이유로 많이 쓰이지 않는다. 태양열/풍력 발전의 보조 발전기로는 보통 초반부터 사용하던 나무 화력발전기를 사용하며 중후반에는 지열 발전기가 등장한다. 전기 공급량이 높았다면 좀 더 차별화된 발전기가 될 수도 있었겠지만 우주선을 띄우는것에 주력한다면 애매한 포지션. 그럼에도 고위도 지방에서 태양광 발전기는 효율이 너무 낮고 풍력 발전기로는 너무 큰 공간 소모의 문제가 있으며(외벽 재료 수급에 문제가 생김. 빙상에는 산이 있지만 그 경우에는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후반에는 이미 증기 간헐천들을 모조리 다 지열 발전기로 만들어 놓았음에도 전기가 부족한 상황 등 여러 문제로 전력을 다 때우기 곤란한 상황에서 인육 등으로 화학연료를 많이 생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나쁘지 않고, 초반이여도 폭탄사슴을 길들여서 화학연료를 생산한다면 언제 터질지 알 수 없는 축전지의 누전과는 달리 화재 대처만 잘 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어 적극적으로 사용해볼 만 하다. 그러나 한 곳에 많이 짓고서 그냥 지붕으로 막아버리면 실내의 온도가 폭염 발생한 고열사막 수준으로 올라갈 수가 있으니 주의. 수리하러 누가 안에 들어갔다 열사병 걸려 돌아올 수도 있다. 이는 나무 화력발전기도 동일하다. 그러나 이말 즉슨 한파 시즌 때 실내에 몇개 설치하면 전력 발전기 겸 난방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다만 미관을 깎는다는 단점이 있다.
  • 수력 발전기(Watermill generator)(연구 필요): 최대 생산 전력 1100W. 바다에는 설치할 수 없고, 오로지 강에만 설치할 수 있다. 유속이나 유량이라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지만, 단점이 명확해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우선 9칸의 단단한 평지랑 5칸의 물이 있어야 한다. 이 게임 특성상 강이 사선으로 있으면 설치할 공간을 찾기가 힘들며, 거기다 설치할 때 보면 파란색으로 영역이 표시되는데, 그 영역이 다른 수력 발전기의 파란 영역과 겹치면 전력 생산량이 떨어진다. 결정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수력 발전기 주위에 벽을 쳐서 보호해야 하는데, 다리 위에는 오직 나무 벽만 지을 수 있어서, 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
  • 전선(Power conduit): 바닥에 전선을 설치한다. 정착민의 이동에는 전혀 지장이 없지만 미관 수치가 -2이므로 환경 개선을 할 때 신경이 많이 쓰인다. 가능하다면 전선은 벽이나 문 안에 파묻어야 한다. 또한 발전기나 축전지등은 모두 그 칸 수 만큼 전선이 있는 취급이 된다.
  • 방수 전선(Waterproof conduit): 얕은 물 아래로 지나갈 수 있는 전선. 강 건너에 수력 발전기가 있을 때 쓰는 전선이다.
  • 전원 스위치 : 전력 공급을 켜거나 끈다. 포탑 같이 일일히 끄기에는 오래 걸리는 것들을 끄기에도 편하다. 전력이 부족하다면 전력 절약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 축전지(Battery): 2x1 크기의 축전지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50%의 효율로 잉여 전력을 1000Wd 충전한다.[22] 예를 들어 1000w의 잉여전력이 남으면 24시간동안 500w를 충전. 반대로 사용하는 것은 100% 다 사용한다. 1000w저장시 포탑하나연결(350w)하면 24시간후에는 650w가 남는다. 비에 맞거나 불이 붙으면 폭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니 꼭 실내에 천장이 있는 안전한 곳에 배치하자. 지열 발전기나 화학연료 발전기를 주력으로 사용한다면 축전지가 왜 필요하나 싶겠지만, 기지가 커지면 지열만으론 감당이 안 돼서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기도 써야 하고, 이 때는 어쩔 수 없이 설치하게 된다. 추가로 축전지에 전력이 충전되어만 있다면 전기제품이 몇 개든 설치해도 전력이 소모될뿐이지 송전전력자체에는 별 상관이 없다. 때문에 풍력과 태양광 같이 한시적인 발전기의 전력부족에 대한 완충효과로 매우 좋을 뿐만 아니라 포탑이 몇십개가 되어 송전전력이 8만이든 몇이든 전력이 충전만 되어있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력소모가 클뿐이지. 때문에 효율은 50%라도 효용성은 매우 좋다. 하지만 파지직 이벤트가 뜨면 화재 및 폭발과 동시에 같은 전력에 연결된 모든 축전기의 전력이 날아가므로 굉장히 뼈아프며, 저장된 전력이 많을수록 폭발력 또한 커지므로 주의.

8. 방어(Security)


정착민들과 개척지를 방어하기 위한 시설. 모래주머니, 포탑류, 박격포, IED가 있다.

8.1. 엄폐물


이름
엄폐벽(Sandbags)
지형 요구사항
무른 지면 이상
내구도
300(최소)
엄폐율
57%
가연성
0%
이동속도 감소량
중간
미관
-10(재료 무관)
건설 작업량
3(재료 무관)
재료
천, 털, 가죽류
사용량
5(재료 무관)

단순한 모래 주머니를 길게 쌓아놓은 구조물입니다. 보기 좋지는 않지만 원거리 공격에서 우수한 엄폐 효과를 제공합니다.

가연성이 0%라 절대 불타지않고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내구도 300이 보장된다. 다만 미관 감소량이 높다.
  • 1.0 버전까지는 엄폐물 하나를 제작하는데 오직 강철로만 제작할 수 있었으며, 재료로 5개를 사용하였다.
    이 때는 원거리 공격 엄폐율이 60%였다.
이름
방어벽(barricade)
지형 요구사항
적당한 지면 이상
내구도
195(목재)
엄폐율
57%
가연성
100%(목재)
이동속도 감소량
높음
미관
-3(목재)
건설 작업량
4(목재)
재료
목재, 금속, 석재, 귀금속
재료 사용량
5(목재)

엄폐물로 사용할 수 있는 허리 높이의 장벽입니다. 방어벽은 생긴 건 이래도 다른 낮은 엄폐물보단 낫습니다.

재료에 따라서 성능이 크게 변하는 엄폐물이다.
  • 1.1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8.2. 직사


직사형식의 방어시설은 벽과 같은 구조물 너머를 공격할 수 없으며, 반경 안에 들어온 적을 사격 할 수 있다. 자동 포탑, 대형 자동 포탑, 저격 포탑으로 직사 포탑의 종류가 세 가지이다. 세 포탑 모두 체력이 25%이하로 떨어지거나 EMP에 맞을 경우 확률적으로 폭발하며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벽에 '''400'''의 피해를 입히고 그 외의 물체(기둥 포함)에 '''200'''의 피해를 입힌다. 때문에 벽 없이 포탑을 밀집하여 짓다가는 폭죽터지듯 줄줄이 터지는 포탑을 보게될 수 있으니 배치에 주의할 것. 조준 시간은 모두 0초로 적이 사격범위 내에 들어오는 즉시 초탄을 발사하고, 이후에도 대기 시간마다 바로바로 탄을 발사한다.
모든 포탑은 총열 내구도 수치가 있어 이를 계속 보충해 주어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저격포탑은 우라늄, 나머지는 철을 사용한다. 현실적으로는 한 덩어리로 만들어지는 총열의 일부만 교체를 한다는 건 물론 불가능하니까 그냥 탄수라고 생각하자.
'''이름'''
피해량
방어 관통
대기 시간
(초)
사거리
(타일)
최소사거리
(타일)
탄창
(재장전시 요구자원)
내구도
필요 전력량
자폭 반경
소형 기관포
11*2
16%
4.8
29
-
60 (강철 80)
100[23]
80
3
대형 기관포
25*3
38%
3.5
33
9
90 (강철 180)
380
150
5
저격포
45
70%
4.0
46
12
30 (우라늄 120)
380
150
5
  • 소형 기관포 (mini turret):
가장 기초적인 자동 방어시설. 자동 포탑 연구(500)가 필요하며 재료는 강철 (100)[24], 부품 (3). 공격 시 11데미지의 탄환 2발을 빠르게 끊어 쏜다. 여타 포탑에 비해 비교적 초반에 열리는데다 값싼 비용 덕에 게임 시작부터 끝까지 최전방의 방어를 책임져준다. 작고 저렴하다는 점을 이용해 여러개를 배치해 탄막을 형성하는 데에는 탁월하나, 부족한 단일 공격력과 저지력으로 인해 강화갑옷과 보호막을 두른 습격자와 센티피드가 활개치는 후반에는 자동 포탑만으로 버티기에는 한계가 있다.
폭발 반경이 3칸으로 최소한 4칸씩 띄워서 짓자. 좀 더 가까이 붙여 짓고싶다면 벽 뒤로는 폭발데미지가 넘어가지 않으므로 각 포탑 사이에 벽을 하나씩 세워두는게 좋다. 비교적 짧은 사거리로 저격총이나 돌격소총, 장궁같이 포탑보다 사거리가 긴 무기앞엔 샌드백이 되므로 살상지역 구상에 주의할 것. 가까워질수록 명중률이 올라가므로 벽을 잘 설치해서 가까이서 마주치도록 하는 것도 괜찮다. 자동 포탑 위주의 방어선을 구축한다면 포탑 앞에 엄폐벽을 두른 뒤 그 앞에 가시함정이나 지뢰를 설치하여 엄폐효과를 받으면서 적의 접근을 가능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기본.
포장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해서 몇 개 창고에 넣어놨다가 습격이 뜨면 적이 등장한 쪽 방어선으로 빠르게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적 거점 습격 시에도 충전된 축전지를 포장해서 함께 들고 가면 공격대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세 포탑중 유일하게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우라늄 및 플라스틸 재질로 건설 시 공격성능에는 차이가 없지만 포탑의 내구도에서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자동포탑 자체가 사이즈가 작아 엄폐벽을 두를 경우 대부분 사격이 빗겨나가므로 비싼 재질로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 하다. 가연성도 0%로 변하기에 센티피드의 지옥화염포를 맞고 타지 않는 것은 덤.
  • 1.1 버전에서 사격횟수가 3회에서 2회로 감소하였다. 대신 사거리가 25에서 29로 증가, 최소 사거리 0.9가 삭제되었다.
    내구도가 120[25]에서 100으로 감소하였다. 타 재질로 건설시 강철40/타 재질 60이 필요하던 것이 강철70/타 재질30으로 변경되어 타 재질 포탑 제작조건이 완화되었다.
포탑의 폭발범위
[image]
  • 대형 기관포 (Autocannon turret):
이름처럼 소형 기관포에 비해 육중해진 크기와 그에 걸맞는 성능을 가진 포탑. 미소전자공학 기초 테크의 대형 포탑(1600)이 필요하며, 요구 자원량은 강철 (350), 플라스틸 (40) 부품 (6). 소형 기관포와 달리 습지토양이나 고운 모래 등 무른 지형에는 설치하지 못한다.
  • 1.1 버전에서 대미지가 40에서 25로, 관통력은 60%에서 38%로 감소하였다. 내구도가 450에서 380으로 감소하였다.
  • 저격포 (Uranium slug turret)
포탑계의 저격수. 복합 분석기가 요구되는 저격 포탑(3000탑 연구를 해야 사용할 수 있다. 가격은 강철 (300), 플라스틸 (30), 우라늄 (60), 부품 (6). 대형 기관포와 마찬가지로 무른 지형에는 설치할 수 없다.
  • 1.1 버전에서 대미지가 75에서 45로, 관통력은 112%에서 70%로 감소하였다. 내구도가 450에서 380으로 감소하였다.

8.3. 곡사


곡사형식의 방어시설은 벽과 같은 구조물을 넘어 사거리 500칸[26]을 공격하는 것이 가능하나 반경(30칸)안은 안전범위로써 사격이 불가하다. 이 때 박격포의 탄두는 반드시 '''박격포 주변 가까운곳에 존재해야 한다.''' 창고같이 멀리 있으면 아예 인식을 못하기 때문. 덕분에 선반에 올려두는 경우가 잦은데, 재수없이 벼락이 떨어지거나 파지직이 터졌다면 엄청난 연쇄폭발이 일어날 수 있으니 천장정도는 설치해주자. 설명을 보다보면 꽤나 제약이 있는 굴리기 어려운 무기같지만, 3~4문을 미리 포탄 넣고 방열해뒀다가 습격이 오자마자 우왕좌왕하고 있을 때 쏘기 시작하면 대략 2차사격까지는 원할하게 쏠 수 있으며 이때 못해도 3~4발은 얻어맞고, 저격총보다도 사거리 긴 포탑이 드글드글한 DLC의 메카노이드 전초기지도 '''가장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방어시든 공격시든 '''선공권'''을 가져갈 수 있다는 무기라는 점에서 메리트가 큰 무기.
포탄이 다섯종류이다. 박격포 하나로 상황에 따라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 박격포의 특징
    • 연구해야 제작이 가능해진다. 연구하지 않았더라도 노획해서 구한다면 사용 가능하다.
    • 급조포탑과는 다르게 재장전, 발사준비, 발사까지 모두 다 림이 직접 조작해야만 한다.
    • 재장전 후 발사를 준비하는 시간이 있는데, 그게 30초나 되고 이것도 역시 정착민을 붙여놔야 된다. 게다가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10발을 쏘면 1~3발 정도가 목표 가까이에 착탄하는게 평균.
    • 하늘로 포를 쏘기 때문에 천장은 없어야 한다.
    • 쏘기 위해선 박격포탄이 필요하다.이는 기계작업대에서 철과 화학연료를 써서 만들거나(고폭탄) 공성전을 걸어오는 적을 퇴치하고 남은 물자를 수거하거나 또는 무기상선 또는 해적선에서 구입할 수 있다. 연사속도가 워낙 느려서 많이 필요하진 않다.
    • 박격포탄을 주변에 배치해야한다. 최대 박격포탄 인식거리는 38칸이지만, 그때 그때 포탄을 가져와서 장전해서 쏘는 거라 사수자리옆에 선반이라도 설치해서 갖다놓는 것이 제일 효율적이다.
    • 공성전을 걸어온 적의 포탄은 실내에도 떨어질 수 있다.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었을 때 얇은 천장(thin roof)이나 건설된 천장(constructed roof)이 뜨면 실내에 떨어지지만 산(overhead mountain)일 경우엔 관통하지 못한다.
    • 내구도가 까여서 터질 경우 급조포탑처럼 폭발한다. 보통 후방에 배치하기에 보기 힘든 현상.
박격포 직접 폭발시 범위
[image]
  • 고폭탄(high explotion) : 다른 박격와 달리 특별한 효과 없이 폭발력과 이를 통해 생겨나는 파편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비가 와도 무리 없이 사용 가능하다. 단 착탄 시 바닥에 놓인 아이템과 자원마저 무자비하게 폭파시키기 때문에 주의. 신체 부위 파괴가 잘 일어난다. 아군에게 오폭 시 피해가 막심하므로[27] 적이 어느 이상 가까워지면 쏘면 안된다.
박격포탄 사용시 피탄범위
[image]
  • 발화탄(Incendiary): 착탄시 불을 일으킨다. 방어전 시에는 열대우림이 아니라면, 아무 쓸모가 없으나 공격 측에게는 상당히 쓸만하다. 적 거점 습격 시에 포장해서 싸들고 가자. 하지만 노획품들을 같이 불태워버린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그냥 이 때에도 일반 박격포를 쓰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폭발시 폭발범위만큼 발화한다.
  • 전자기탄(EMP): 기계에게 치명적인 EMP 폭발을 일으킨다. 동, 식물이나 건물에는 아무 영향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습격한 적의 박격포를 폭발시키거나, 메카노이드를 잡는데 쓰이는 한정 탄환. 메카노이드들이 꽤 강하기 때문에 몇 대 만들어두면 도움이 된다. 단 EMP에서 풀려난 메카노이드는 EMP에 면역이 생기니 틈이 생겼을때 확실히 처단하자.[28] 방어막 해적에도 도움이 된다. 폭발시 폭발범위만큼 EMP를 뿌린다. EMP 자체가 메카노이드 및 포탑을 마비시키는데다 특히 포탑에 맞을 경우 높은 확률로 포탑이 폭발해버리니 포탑 근처에는 쏘지 않는것이 좋다. 의외로 안 쓰는 사람들이 많은데 메카노이드 상대로는 무피해 승리가 가능한 최상급 무기다. 맞추는 게 문제라서 그렇지 정타로 맞추면 거의 1분 가까이 스턴이 걸리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는 DLC에서 추가된 메카노이드 전초기지 상대로도 유효해서 총탄 보호막을 무력화시킬 수 있고, 곡사요격 보호막도 전자기탄만큼은 막아내지 못해 잠깐동안 꺼지므로 먼저 전자기탄을 쏜 후 2초 정도 시간차를 둬서 고폭탄을 쏘면 처리할 수 있다.
  • 화재진압탄 : 화재진압 거품 발포기의 박격포 버전. 사실상 쓸모는 없다.
  • 반물질탄 : 제작이나 구매는 불가능하고 은닉 지점에서 가끔 나오는 포탄. 구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박격포의 단점을 모두 씹어먹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폭발범위와 위력을 가지고 있다. 여러 개를 한 번에 발사하면 렉을 유발한다.

8.4. 함정


초반 이후로 대부분의 전투는 항상 플레이어가 수적 열세 속에서 미리 구축해둔 방어진지를 이용하여 공격을 격퇴하는 방식이므로 적절한 함정의 배치는 적은 피해로 습격을 막는 데에 필수적이다. 아군이 밞아도 0.4% 확률로 발동하니 아군이 깔아놓은 함정에 걸려서 죽거나 부상을 입는 게 싫다면 허가구역관리나 통로설계를 잘하자. AI 개선으로 아군은 덫을 밟고 지나가는 게 제일 빠른 길이 아닌 이상 덫을 무조건 피해다닌다. 길이 없으면 함정 사이로 지나가다가 밟아서 부상을 입는 상황이 나오며, 이 경우 '실수로 밟았다'는 식의 메세지가 뜬다. 그런데 이미 설치한 함정을 제거하기 위해 해체나 재설치, 포장을 할 때 '''함정 위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그냥 제거해선 안되고 수류탄으로 폭파시키거나 화염병으로 불을 질러서 제거해야 한다.
  • 가시 함정
작동하면 머리 또는 몸을 힘차게 때린다고 한다. 킬존을 향하는 적의 진입로에 설치하면 숫자를 줄이거나 신체 부위가 고장나 전투능력이 떨어진 적들을 편하게 상대할 수 있고 동물이 자주 지나다니는 길목에 설치하면 덫 역할도 할 수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습격 중 적들이 퇴각할 때 맵 밖으로 나간 생존자가 있다면 지난번 습격 때에 발동되었던 함정들의 위치를 일부 기억해서 다음 습격 때에 밟지 않고 피해온다. 따라서 같은 세력에서 습격이 반복적으로 올수록 효과가 점점 떨어지므로 가능하면 퇴각하는 생존자가 없도록 따라나가서 패잔병들을 잡거나 함정을 발동시키지 않으면 들어올 수가 없는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29] 강력한 위력의 급조 폭발물에 비해선 한참 우습게 보이지만 강철이나 플라스틸쯤 되면 판정 부위에 따라 사이더가 한 방에 끔살당하기도 하는 무시무시한 물건. 내산지에서 지그재그형 입구에 수 십개쯤 깔아두면 해적이고 부족민이고 식인동물이고 총 한 발 안 쏘고 격퇴 가능하다. 다만 함정 사이에 최소 한 칸의 거리를 두어야 설치 가능하고, 일회용이다. 청사진이 남아서 알아서 재설치하긴 하지만.
여러 자원으로 만들 수 있으며, 각 자원 별 대미지는 다음과 같다.
재질
목재
사암
대리석, 점판암, 석회암
화강암


강철, 비취
플라스틸, 우라늄
대미지
45
50
60
65
75
85
100
110
보통 주로 쓰이는 건 가성비가 가장 좋은 강철이나 값싼 나무다. 금이나 은, 비취는 컨셉이 아닌 이상 비싸서 효율이 없고, 플라스틸이나 우라늄은 강철보다 강하긴 하지만 역시 좀 비싸기 때문. 특히 석재는 어지간하면 메리트가 없어 안 하는 게 좋다. 목재는 대미지가 가장 약하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생포용으로 적합하고 무엇보다도 가장 값싼 무한자원이라 극초반에 자주 쓰인다. 물론 빙상처럼 나무가 없는 맵이면 힘들지만.
  • 급조 폭발물(연구완료시 사용가능) 요구 자원: 포탄2(반물질 포탄은 1)
밞을 경우 폭발이 일어난다. 메카노이드에게도 어느 정도 먹힌다. 벽에도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잘만 이용하면 터질때 천장이 와르르 무너져서 죄다 깔려죽게 만들 수도 있다. 물론 미리 엄폐물로 쓸만한 것들을 배치해서 안에 잔뜩 몰리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그렇게 해도 운과 타이밍이 좋아야 하고. 물론 폭발물을 설치하지 않고 벽을 총으로 쏴서 무너트리거나, IED대신 급조터렛을 설치해서 근접공격 하는 놈들만 낚을 수 있도록 만들거나 할 수도 있다. 폭발력이 상당히 강해서 적이나 정착민이 밟고 터질 경우 시체도 남지 않을 확률이 있으므로 유의할 것. 덤으로 사용한 포탄에 따라 효과가 다르고 '''다른 포탄이나 급조 폭발물의 폭발에 휘말리면 무조건 연쇄폭발하니''' 설치시 주의. 역으로 넓은 범위를 가지는 전자기 폭발물이나 격발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은 발화포탄을 트리거로 이용해서 급조폭발물을 건드리고 도망치는 적을 죽일 수도 있다. 패치로 더이상 전자기 지뢰가 주변의 다른 지뢰들을 동시에 격발시키지 않게 되어서 가치가 떨어졌다. 연쇄폭발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지뢰밭을 만들어주자.
  • 고폭탄 : 5x5 반경, 대미지 200의 폭발을 일으킨다. (박격포탄이 터지는 범위와 같다.)
  • 발화포탄 : 5x5 반경, 화재를 일으킨다. 화재 특성상 대미지를 제대로 주긴 어렵지만 밟으면 거의 즉시 터지는 게 장점.
  • 전자기포탄 : EMP로 기계를 마비시킨다. 메카노이드는 물론이고 방어벨트도 무력화시키기 때문에 한두개쯤 사용할 가치는 있다.
  • 화재진압탄 : 폭발 시 화재진압거품을 분사한다. 화재진압용으로는 일반 거품발포기를 쓰면 되기 때문에 쓸 일이 없다. 마찬가지로 방어벨트를 무력화시키기 때문에 전자기탄이 없다면 킬존에 하나 정도 놔두면 좋다.
  • 반물질 포탄 : 15x15 반경, 데미지 400의 폭발을 일으킨다. 강력하긴 하지만 구조물 파괴 문제도 있고, 반물질탄 자체가 굉장히 희귀하기 때문에 이걸 지뢰로 쓸 일은 거의 없다.

9. 기타(Misc)


  • 무역 송신기(Orbital trade beacon): 건설 할 때 주위에 생기는 테두리 범위 안에 있는 자원이나 무기들을 상인에게 팔 수 있다. 그리고 상인에게 산 물품이나 노예 역시 이 신호기 근처에 떨어진다. 드랍포드의 습격의 경우, 무역 송신기 주변으로 오는 경향이 있으니 창고에 설치해두었다면 평소에는 전원을 꺼두자. 응용하여 킬존에 송신기를 설치하여 드랍포드 낙하지점을 유도할 수 있다... 였으나 현재는 랜덤한 거주민 주위로 떨어지게 패치되어 무의미.
  • 파티 위치, 결혼식 위치: 결혼식자리를 마련하여 신랑신부가 결혼식할 위치를 선정하거나, 파티의 중심이 되는 곳을 설정한다. 설정하지 않은 경우 보통 모임장소가 체크된 아무 식탁중 하나 근처에서 열린다.
  • 상단 준비 위치: 설정해두면 상단 준비시 수송용 동물들이 그 주변으로 모여든다. 창고 주변으로 설정해두면 좋다.
  • 화재진압 거품발포기(Firefoam popper): 강철 75, 부품1 필요. 불이 닿기만 하거나(불씨만으로 바로 작동), 직접적으로 수동으로 따면 소화용 거품이 일어나서 화재를 진압해준다. 전기는 필요 없으며 범위는 9.4로 넓은 범위. 설치형이라서 미리 세워두면 알아서 잘 폭발해서 소화작업에 매우 유용할 것 같지만, 급조포탑처럼 범위를 인지하여 미리 터지는 것도 아니고, 화재는 방사형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한쪽에서 터져서 막는다고 해도 나머지 방향에서는 여전히 불이 남아있어서 그쪽으로 진압하러 가야하는 만큼 생각만큼 효율을 내기 어렵다. 그렇지만 거품이 비에 씻겨 내려가기 전까지는 화재를 막아주기 때문에 후술하겠지만 이 거품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것 이외에도 마른벼락이나 번개폭풍같은 벼락로 인한 화재의 경우가 주거지역 외부에서 일어날 경우 굳이 여러명을 동원할 필요 없이, 미리 만들어서 포장한 후에 외부에서 재설치를 하여 터트리는 초기진압용도로 좋은 선택이다. 소이탄 박격포의 피탄범위가 매우 크기 때문에 폭격당했을 때 사용하기에도 괜찮고, 또한 벼락폭풍의 경우에는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작물 위에 거품을 뿌려 예방이 가능하다.[30] 비가 잘 안온다면 미리 터트려 거품으로 화재를 예방하는 것도 좋다. 다만 연구가 필요해서 인원이 적은 초기에 보기도 힘들며 철 요구량이 총 100(75+부품 25)개로 초기진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아까운 양이라는 것.[31] 활용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보통 지붕 아래라는 것을 이용해서 거품을 뿌리고 청소를 하지 않는 것이다. 그 중 세가지를 소개하자면 첫번째로 위에 언급한 포탑에 지붕을 쳐놓고 같이 쓰는 경우, 모래주머니위에도 지붕을 치고 모래주머니 함께 덮히도록 거품을 뿌리는 방법. 두번째로는 축전지 문제나 기타등등의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 할때 식자재나 가연성 자원, 태양등을 이용한 수경재배지역 같이 중요한 곳에 미리 뿌려두는 것이다. 또한 메카노이드가 습격해왔을 떄 지옥화염포를 단 센티피드로부터 포탑을 보호하기 위한 대비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지옥화염포 자체의 데미지는 크지 않기 때문에 거품만 뿌려주면 포탑이 정말 오래 버틸 수 있다. 세번째로는 중앙드랍 대처용. 중앙드랍은 정착민 중 한 놈을 타겟팅해서 떨어지는 거라 언제 어디서 떨어질 지 알 수 없는데, 이때 화염병이나 소이탄 발사기를 든 적이나 지옥화염포를 단 센티피드가 강하할 경우 실내화재로 전멸하기 쉽다. 그래서 이런 상황을 대비해 실내에도 도배해주면 중앙드랍 대처에도 유용하다. 전투시 주의 할 점이 있다면, 이게 터질때 범위 안에 있는 모든 보호막을 증발시킨다. 보호막을 착용한 생존자로 근접전을 벌일때 조심하자.
  • 흡습 펌프(Moisture pump): 늪지, 얕은 물, 진흙 지형(Terrain)을 토양으로 바꿔주는 설치물. 물을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얕은 물은 자갈, 늪과 진흙은 토양으로 지형을 변화시킨다. 범위는 6.9로 벽의 지지 범위와 동일하다. 범위그림은 벽 참고. 강철 75 와 부품 5개 필요. 그러나 모두 끝마치기 까지 1년씩이나 걸리는지라 초반엔 거의 쓰일 일이 없는 기구. 바다 스타트여도 깊은 물은 해당이 안돼서 쓸모가 없다. 첫째로 지지기반이 필요하다. 전기가 필요한건 둘째치더라도 따라서 실제 수질 펌프의 효율은 점찍힌 토양주위에 얕은물과 늪으로 가득차지 않은 이상은, 얕은물이나 늪은 동그란 지형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보통 50~75%범위만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로 얕은물이 있다면 보통 깊은 물도 있는데, 깊은물은 해당이 안된다. 그만큼 효율은 더 하락한다. 세번째로 연구가 필요하고 고급 연구 작업대가 필요해서 처음부터 만들수 없을 뿐더러 최대 범위로 확장하는데 1년이 걸린다. 4~5년이면 우주선 띄울 준비가 거의 다 되었는데 길 한번 내자고 또는 뭐하나 심자고 1년을 기다릴 수는 없다. 물론 십자가가 나오는 8일부터나 3x3을 겨우 채우는 13일 부터 하루 지날때마다 범위가 늘어나는게 보이기는 하지만, 생각보다 작은 범위라 한번 확장하고 확장된 범위 끝에 또 설치해서 1년 기다리고... 네번째로 그보다 더 중요한건 이걸 1개 설치하는데 부품이 5개나 필요하다. 수질펌프 2개면 급조포탑 3개지을 수 있을 부품 양인 걸 고려하면 이건 심한 낭비밖에 되지 않는다. 나중에 포탑설치할때 부품이 5개가 들어간다하더라도 효용성을 따진다면 수질펌프는 여전히 낭비밖에 안된다. 포장도 안돼서 해체로 돌려받기도 하지만 1년 뒤에나 3개정도. 차라리 포장이 되어서 여러번 재활용 할 수 있게 만들었다면 그나마 좋았을 뻔했다. 다섯번째로 가장 큰 문제는 아한대, 온대등에나 물, 늪이 있으며, 이런 지형은 이미 토양은 물론이고 기름진 토양도 풍족하다. 거기에 얕은 물이나 늪은 적 이동속도 감소를 강제하기 때문에 끼고 방어할 수 있다면 오히려 더 유용하기도 하다. 정작 토양이 필요한 사막이나 빙상에서는 늪, 얕은 물이 없는 지형이라 그 곳에서는 우주쓰레기. 그래도 15에서 생긴 심층채굴로 인해 중요한 금이나 우라늄 등이 진흙이나 얕은 물에 묻혀있을 경우가 가끔 있어서 쓸모있다. 이렇듯 일반적인 경우에는 효율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늪지가 지나치게 많아 농지가 부족한 맵이나 너무 중요한 길목에 늪지나 얕은 물이 있어 방해되는 경우 자원이 넉넉하다면 설치해두고 잊으면 된다. 다리 구조물이 생긴 뒤로부터 이 위에 설치가 가능해 전기만 끌어오면 펌프의 최대범위를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설치한 해당 칸은 당장 토양으로 바뀌기 때문에 돈지랄도 가능하다.
  • 지면투과스캐너(Ground-penetrating scanner): 강철 400, 부품12개 필요 1500w 소모. 지하층의 광맥을 찾기 위한 스캐너. 이 스캐너로 위치를 파악한 뒤 생산 탭의 심층굴착기를 이용해서 자원을 채굴한다. 자세한 내용은 생산 탭의 심층굴착기 참조. 굳이 오랫동안 1500w의 전기를 소모하며 켜놓고 있을 필요 없이, 채굴시 필요한 부분을 계획으로 잡아둔 다음에 스캐너는 끄고 채광만 하거나 스크린샷을 찍고 스캐너는 끄는 방식으로 사용해도 되었으나 1.1 업데이트로 이제는 정착민들이 직접 스캐너로 광물이 있는 곳을 일일이 스캔해서 찾아내도록 변경되었다. 대신 소모 전력량이 700w로 줄었으나 여전히 그렇게 만만한 전력량은 아니므로 어느 정도 전력에 여유가 생겼을 때부터 설치하도록 하자. 아래의 원거리 광물 스캐너와 마찬가지로 스캔할 때 연구 스킬을 사용한다.
  • 원거리 광물 스캐너(Long range mineral scanner): 지붕이 없는 곳에 설치해서 정착민이 작동시키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자원이 있는 작은 맵을 찾아준다. 스캔이라는 별도의 작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연구 스킬을 사용한다. 자원 종류는 선택 가능하며 원정대를 보내면 맵상 중앙에 조그맣게 자원덩어리가 있어서 며칠 정도 걸려서 캐올 수 있다. 해당 지점에 도착 후 10일의 제한기간이 있으며 적이 매복해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 무장 없이 맨 몸으로 갔다간 낭패를 당하기 쉽상. 과거에는 30일 정도마다 자동으로 자원이 가득한 아주 큰 맵을 찾아줬으나 꾸준히 너프되어 전담 인원이 필요하고 그냥 조그만 맵에 자원 약간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 발사대(Pod launcher): 로켓 아이콘이 있는 칸에 수송 포드를 만들고 연료를 주입하면 원하는 곳으로 포드를 발사할 수 있다. 최대 사거리는 연료를 만땅(150)으로 넣으면 무려 66타일. 발사대 여려대를 연결해서 지으면 해당 포드들이 한묶음으로 취급되는데, 한번에 적재, 발사하는 편리함 뿐만 아니라 수송 용량을 공유하므로 최대한 꽉꽉 채워보낼 수 있다.[32] 포드는 편도 티켓이기 때문에 돌아오는 길의 식량 사정도 잘 고려해서 쏴보내야 한다.
  • 수송기(Transport pod): 강철 80개, 부품 1개로 만들 수 있는 일회용 수송 포드이다. 적재량은 개당 150kg. 정착민이 35kg[33], 머팔로가 73.5kg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을 감안하면 제법 큰 편이다. 한번 쏘는데 강철 80개를 꼬박꼬박 소모하므로 일견 돈지랄 같지만, 그 어떤 방법보다 빠르게 맵의 타일에서 타일로 이동이나 운반이 가능하다. 최소 한기라도 운용하고 있다면 아예 없는것과 비교해서 그 차이가 매우 크다. 우선 수송기를 운용하면 맵 밖에 있는 원정대에게 언제든지 물자를 보낼 수 있어서 매우 안정적으로 원정대를 운영할 수 있고, 급히 세력의 관계도를 올려야할 때 수송기에 선물을 넣어 보내어 빠르게 관계도를 올릴 수 있으며 여러대를 운용하고 있다면,수송기에 병력과 보급품을 실어 적의 전초기지나 정착지 보내서 적의 진지 한가운데에 쳐들어가 급습하거나, 무거운 박격포와 포탄을 보낼수도 있다. 원정대 전원 +식량과 물자 + 발사대와 포드에 쓰일 철과 부품과 연료를 쏘아 보내면 당일 치기로 원정이 가능하다. 며칠 걸리는 거리를 그냥 상단으로 묶어 걸어간다면 그 시간동안 본진에 있던 림은 그만큼의 돈벌이를 하고도 남았을 것이다.[34] 꼼수로 수송 포드를 보관함으로 쓰는 법이 있다. 단 한 칸 차지하는 수송포드 내에 무려 150kg의 화물이 들어가며 이 안의 화물은 온도와 무관하게 절대 썩지 않는다. 너무 사기적인 꼼수라서 개발자가 알게 될 경우 패치될 가능성이 높다. 플레이어 세력 외에서도 널리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외지인, 해적, 메카노이드들은 습격을 올 때 이 수송 포드를 타고 오며 외지인이 원군을 보낼 때에도 수송포드를 타고 오고 궤도 상선이 물품을 보내줄 때도 수송포드를 쓴다. 수송 포드의 체력은 500인데 수송 포드가 열리기 전에 공격하여 파괴할 경우 탑승한 습격자가 내리지 않고 사라지므로 바닐라에서는 어렵겠지만 OP모드를 설치한 경우 수송 포드가 떨어지자마자 부수는 방법으로 습격을 쉽게 막을 수 있다.
  • 복합분석기(Multi-analyzer): 시나리오를 만들 때 영원한 흑점폭발은 게임을 깰 수 없는 이유.[35] 강철 100, 플라스틸 50, 금 20, 부품 8. 금이 20개는 꼭 필요한 이유. 우주선 연구를 위한 필수 기구로써, 전기 200w를 소모하기 때문에 전기가 없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연구계수를 10% 올려준다. 연구 중에는 고급연구작업대에서 복합분석기가 있어야 가능한 연구(3티어)들이 있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갖춰야 한다. 복합 분석기의 범위내에 있는 모든 고급 연구작업대는 복합 분석기가 필요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지만, 연구계수는 오직 하나당 하나의 연구작업대만 혜택을 받는다.
  • 생체 신호모니터(Vitals monitor): 의료병실에 놓으면 좋은 기구. 강철 180개, 150w 필요. 치료 품질 계수: +4%, 항체 생성 속도 계수: +2%. 항체생성속도계수의 경우는 일반침대의 끔찍한 품질이라도 10%를 올려주므로(110%) +2%가지고는 크게 체감하기는 힘들지만, 질병생성시 -5 -10등의 무시무시한 무드감소부터 시작해서 항체 생성 99%에도 충분히 사망할 수 있는 만큼 만들어 주는게 좋다. 병원침대에만 보너스 효과가 있다. 모니터 하나에 침대 최대 8개(1칸거리만큼 떨어져있는 침대 전부)까지 전부 사용 가능하다.
  • 도구수납장(Tool cabinet): 제작공간의 필수 가구. 강철 200개를 소모하지만, 제작대(절삭작업대, 단조작업대, 조소작업대, 재봉 작업대, 도살 작업대, 기계가공대, 부품 조립기, 약물 연구대)의 속도를 개당 6%씩 올려주며 두개까지 중첩이 가능하다. 또한
[image]
이 범위내에 있는 작업대는 모두 효과를 받으므로 (단, 부품조립기는 부피때문에 저것보다 적은 영역에서 혜택받는다.) 보통 중앙에 두개 설치를 해서 그 주변에 작업대를 깔아놓는 작업공간을 만드는 게 일반적이다. 포장이 가능하므로 작업대들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 통신기(Comms console): 궤도에 상선이 도착했다는 메세지가 뜨면 상인들과 무역이 가능하고 다른 지역의 마을들과 통신이 가능하다. 온도가 극히 낮아서 상단이 오지 못할때 매우 유용하지만, 궤도 상선은 매우 드물게 찾아오므로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주변의 우호적인 팩션에 우호도 25를 깎는 대신 지원군을 요청할 수 있다. 지원군은 상단과 다르게 부른 즉시 도착한다. 다만 부족 팩션은 시간내에 도착할 수 없다면서(수송기 기술이 없음으로) 미안하다는 답장이 온다. 또한, 적대적인 세력의 상단이 있을 경우 오지 않는다. 병력 규모나 무장은 그리 좋진 않지만 초반 공병이나 박격포 습격을 해결하는데는 이만한 게 없으며, 이후에도 둠스데이나 삼단로켓을 소모시킬 때 유용하다. 지원군을 부르기 전에는 팩션 관계를 확인해두자, 기껏 도움을 불렀는데 적대적 세력과 지원 세력이 우호적 관계라면 싸우지 않는다. 기타 전자제품과 마찬가지로 비를 맞으면 폭발한다. 우호도를 소모해서 상단을 부를 수 있으므로 평범한 플레이라면 반드시 설치하게 되는 건물. 다만 상단 도착까지는 걸어서 오기 때문에 몇 일이 걸린다. 그리고 다음 몇 일동안은 그 팩션에서 상단호출이 불가능하다. 궤도 상선은 직접 부를 수 없다. [36] 사교 스킬에 따라 거래를 할 때 올라가는 우호도 수치가 변하니 통신기 조작은 사교 담당이 맡는 게 정석이다.
  • 무덤(Grave): 죽은 사람이나 동물의 사체를 묻는데 사용한다. 습격자가 한 두 명 어슬렁 거릴 때는 몇 개 파놓고 잊어버리면 되지만, 습격자가 수십 명씩 몰려오는 중후반에는 무덤을 팔 공간과 시간이 아깝기 때문에 화장 연구를 통해 화장터를 만들거나, 구석에 모아둔 뒤 직접 불을 지르거나, 가축 먹이로 줘버리자. 정착민 시체는 태워버리면 무드가 하락하므로 정착민은 관이나 무덤으로 보내자.
  • 관 (Sarcophagus): 원자재 60개 필요. 죽은 정착민의 경우는 여기로 보내는 게 좋다. 석관 매장시 무드 +8(x3까지 중첩가능 최대 12) 한번 관에 묻으면 그 시신을 꺼내서 관에 다시 묻어도 무드는 중복은 되지 않는다. 문제는 사망시 무드감소는 짧으면 이틀에서 일주일 심지어는 관계에 따라서는 2계절짜리 30일도 있는데 +8은 24시간 밖에 안간다. 석관에 묻는 이득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 하지만 그것말고도 문제는 시체를 묻는 순간부터 품질에 관계없이 예술로 들어간다. 예술품은 모두 오락거리 중 하나이기 때문에 거주지에서 먼 곳에 설치할 경우 관 하나 보러 저쪽까지 간다던지, 관에 기도하러 왔다가 주변에 썩은 시체 잔뜩보고 오히려 무드가 떨어지게 되므로 거주지 인근에 설치해야 한다.
두 종류의 무덤은 모두 공통적으로 내부에 보관된 시체의 내구도를 해체되기 전까지 영구적으로 보존한다. 내구도와 별개로 시체의 부패 여부는 주변 온도를 따라가며 영하의 기온에 설치된 관 속의 시체는 영구 보존된다. 따라서 무덤이나 석관은 부활 혈청 사용이나 다른 목적을 위해 시체를 보존하고 싶은데 시체 주변을 지날 때마다 시체를 보고 무드가 까이는 것이 싫을 때에 냉동고 내부에 설치해서 시체를 덮어둔 채 보관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 커다란 비석(Large stele): 원자재 125개 필요. 말 그대로 비석이기 때문에 비취와 석재 등 돌 종류만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미관 보너스가 있으나, 2x2의 공간을 차지한다. 6가지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이 외에는 일반 관과 같다.
  • 장엄한 비석(Grand stele): 원자재 250개 필요. 말 그대로 비석이기 때문에 비취와 석재 등 돌 종류만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미관 보너스가 있으나, 3x3의 공간을 차지한다. 이 외에는 일반 관과 같다.
  • 동면관(Cryptosleep casket)(연구 필요): 강철180, 우라늄 5, 부품4 필요. 안에 목숨만 붙어있다면 정착민, 포로, 동물 등 모든 것을 넣을 수 있다. 안에 들어간 생물은 몇 년이 지나서 꺼내도 동면병이 걸리는 것 외에는 모든 신체상태가 그대로이다.
얼핏 그냥 뇌나 척추 손상으로 식물인간이 된 주민이나 각별한 동물[37] 보관용 정도로 생각하기 쉬우나 몇 개 만들어두면 의외로 활용법이 무궁무진하다. 전투 후 출혈이 심한 정착민이 여럿 있을 때 의사 수가 모자라다면 치료 순서가 늦어진 정착민이 과다출혈로 사망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심한 부상자들을 동면관에 넣고 하나씩 꺼내서 치료하면 사망률을 확 줄일 수 있다. 포로도 마찬가지라서 꼭 살려서 영입하고 싶은 포로라면 당장은 정착민들을 치료하느라 바쁠테니 일단 얼렸다가 전투 수습이 끝난 후 고급 치료를 해주면 된다. 방사성 낙진이 생긴 경우 실내 생활에서는 밥이나 축내는 처지가 되는 외부활동 전문 정착민들을 최대한 동면시켜두면 식량 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이며 다른 이유로 식량난이 생겼을 때에도 비슷하게 써먹을 수 있다. 정신파동이나 가족 사망[38] 등으로 장기간의 무드 디버프에 빠져서 틈만 나면 광란을 일으키는 정착민이 있다면 무드 디버프가 풀릴 때까지 재워두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또 전투 이외에는 별 쓸모가 없는 인원이 있을 경우 평시에는 여기 넣어놨다가 전투시에만 재빨리 꺼내서 써도 좋다. 동면병 때문에 전투력이 떨어지지만 미리 루시페륨하고 마약을 좀 먹여두면 감당 가능하다. 방사성 낙진 등으로 방목하던 가축의 방목이 불가능해졌다면 마취하거나 영양실조로 쓰러지길 기다린 뒤 방목 가능해질 때까지 넣어둬도 좋다. 냉동고를 만들 수 없는 부족민이 고대동면관을 얻은 경우 쓰러트렸지만 죽진 않은 야생동물을 넣어두는 냉동고 역할로도 쓸 수 있다.
고대위협에서 나오는 고대 동면관과 성능이 동일하기에 아직 동면관 기술 연구가 되지 않았다면 이걸 써도 좋다. 그러나 보통 고대 위협은 정착지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가 많으므로 동선이 좋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의할 점은 동면관은 들어가는 것은 누구나 가능하지만 절대 혼자 나올 수 없고 운반 작업이 가능한 정착민이 꺼내줘야 한다는 것이다. 정착민 일부를 재울 생각이면 반드시 운반 가능한 정착민 몇명을 깨워둬야 한다. 모든 정착민이 동면 상태가 되면 방랑자 합류가 뜨지 않는 이상 깨어날 방법이 없다.
냉동수면(Cryosleep)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Cryptosleep이다.지하묘지인 crypt와 Cryosleep을 섞은 언어유희이다.

10. 바닥(Floors)


림월드에서 폰들의 이동 속도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포장되지 않은 흙, 특히 모래나 진흙 바닥에서는 이동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실내 및 자주 사용하는 통로는 포장해주는 것이 좋다. 물론 킬존같은 곳일 경우엔 이동경로를 조정할 때를 빼고는 하지 말고.
  • 바닥 제거: 건설한 바닥 타일을 제거하고 자원을 일부 회수할 수 있다. 다듬은 바닥은 제거 불가능.
  • 바닥 다듬기: 거친 돌 바닥일 경우엔 바닥다듬기를 통해 별다른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포장된 타일의 효과를 내는게 가능하다. 다듬은 타일은 아름다움 2로 카펫과 동급이다. 은근히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하지만 자원 소모도 없고 성능도 좋아 특히 내산지에서는 할만하다. 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건 달리 말하자면 건축 레벨업에는 최고의 작업. 다만 다듬은 그 순간부터 다듬은 돌벽과 바닥은 기지가치에 포함되며 가치 역시 은근히 비싼 편이라는 것엔 주의.
여담으로 바닥 다듬기가 명령된 타일이 하나라도 있으면 다른 건설작업은 제쳐두고 다듬기부터 하려든다.
  • 철제 타일(Metal tile): 금속으로 만든 격자 모양의 바닥재. 강철 7 소모. 강철 벽과는 달리 바닥은 불에 타진 않으나 미관이 1밖에 안되는데다 철이 쓸데가 많은 자원이다 보니 철이 남아도는 게 아니라면 석재 타일이 더 좋다. 청결도를 0.2만큼 아주 조금 올려주긴 하지만, 청결 목적이면 항균 타일이 있다.
  • 은제 타일: 은 70 소모. 미관이 5만큼 올라간다. 후반가면 은은 쌓이기 마련이므로 그렇게 비싸다는 느낌도 들지 않는다. 18버전까지는 양탄자와 동급인 2밖에 올라가지 않았지만 1.0이 되면서 충분히 좋아졌다. 불에 타지도 않고, 철제 타일처럼 청결도도 0.2 올려준다.
  • 금제 타일: 금 70 소모. 미관이 12만큼 올라간다. 후반에도 쉽게 깔기는 어렵지만 그만한 값어치는 한다. 역시 청결도 +0.2.
  • 항균 타일: 철3 은15. 미관 보너스는 없지만 청결을 0.6 올려주기 때문에 병원과 주방, 연구실에 설치해주면 좋다. 병원은 감염률을, 주방은 식중독 발생 확률을 낮춰주고, 연구실은 연구 효율이 올라간다. 선행 연구가 필요하며, 바닥들 중 유일하게 건설기술이 8 필요하다.
  • 포장 타일(Paved tile): 금속으로 만든 격자 모양의 바닥재. 강철 2 소모. 아름다움 값은 없다. 나무 바닥처럼 초반 용으로, 나무가 귀한 지역에서나 쓰라고 있는 것. 그러나 오히려 초반엔 바닥을 안까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도 있는 해빙 같은 곳에선 깔지 않아도 된다.
  • 콘크리트(Concrete): 금속로 만든 민무늬의 바닥재. 강철 1 소모. 건설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보기 흉해서 그런지 미관 -1. 창고 바닥처럼 이동속도 패널티와 흙먼지만 없애면 되는 곳에 급하게 설치하기에는 최고.
  • 나무 바닥(Wood floor): 나무 판자로 만든 바닥재. 나무 3 소모. 다만 불에 탄다는 점에는 주의. 빠르게 만들 수 있고 자원이 적게 들어가 초반에 청결이 필요한 공간에 깔아두면 쓸만하다.
  • 양탄자(Carpet): 항균 타일처럼 연구가 필요하다. 빨강색, 파랑색, 초록색, 크림색(흰색), 암회색(검은색)이 있다. 천을 7 소모하며, 미관 값은 2. 재료값 대비 높은 미관을 얻을 수 있는 가성비 좋은 바닥. 다만 미관을 2나 주기 때문인지 석재 타일에 비해 3배 정도 비싸고, 불에 잘 타니 주의.
  • 석재 타일(Stone tile): 돌 블럭으로 이루어진 바닥재. 석재 4 소모. 어떤 석재를 사용하건 미관이 1인데다 시간도 오래 걸리지만 불에 타지 않으며 부족민 스타트를 제외하면 연구 없이도 설치할 수 있다. 부족민이라도 암석을 석재로 변환하는데 연구가 필요한거지 석재타일을 만드는데 연구가 필요한건 아니므로 거래나 유적을 해체해서 얻은 벽돌로 만들 수 있다.
  • 석재 판석(Flagstone): 석재 타일하고 재료가 같은데 미관은 0. 그 대신 콘크리트급 속도로 만들 수 있다. 일단 이걸로 덮어서 이동속도 저하만 막아놨다가 여유가 생기면 석재 타일로 갈아타도 좋다. 석재 판석은 갈아엎어도 자원을 회수할 수 없다. 물론 미관이 0이니만큼 그냥 냅둬도 무관하다.

11. 오락(Joy)


오락 욕구를 채우기 위한 시설을 짓는 탭. 현재까지는 오락에 해당하는 모든 건축물이 포장이 가능하다. 오락 유형별로 같은 유형의 오락을 계속하다보면 질림이 발생하여 오락 욕구가 채워지는 속도가 감소하며, 기대감이 높아질수록 질림이 해소되는 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오락 시설을 정착지에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육체적 놀이와 지적 놀이 유형의 경우 각각 사격과 연구 기술이 소폭 오른다.
등급이 있는 오락 가구는, 등급에 따라 오락 욕구 계수가 증가하므로 여유가 있을 땐 고등급의 오락 가구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자.
오락 유형은
  • 침실에서 명상, 기도, 바깥 산책, 예술 감상 등으로 채우는 "명상"
  • 다른 정착민과의 사교 활동이나 환자 응원을 통해 채우는 "사교"
  • 초콜릿이나 곤충 젤리 등의 일부 식품을 먹음으로써 채우는 "탐욕"
  •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채우는 "약물"
  • 오락 시설을 통해 채우는 "육체적 놀이", "지적 놀이", "텔레비전 감상", 그리고 "망원경 관찰"
이 있다.
품질
끔찍
빈약
평범
상급
완벽
걸작
전설
재미계수
76%
88%
100%
112%
124%
140%
160%
  • 편자 막대(Horseshoes Pin)

간단한 고대의 놀이로, 몇 개의 편자와 땅에 박힌 큰 막대만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멀리 떨어진 채로 편자를 던져서 막대 근처에 착지시켜야 합니다. 편안하게 즐길 수 있으며 눈과 손의 협동기능도 기를 수도 있습니다.

설치하고 나면 5칸 떨어진 거리에서 편자를 던지며 논다. 최대 3인까지 참여 가능. 모든 종류의 재료 10개(금은은 100개)가 요구된다. 오락시설 중 가장 저렴하므로 중반이 넘어 안정화될 때까지 초반에 만들어둔 이거 하나로 버티는 일이 많다. "육체적 놀이"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100%.
  • 후프스톤 링(Hoopstone Ring)

간단한 고대의 놀이로, 몇 개의 돌조각과 원형 바닥판 하나만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멀리 떨어진 채로 돌을 던져 바닥판 안에 넣어야 합니다. 편안하게 즐길 수 있으며 눈과 손의 협동기능도 기를 수도 있습니다.

편자 막대와 성능은 완전히 같으나 2배의 재료(금은 이외 20개, 금은 200개)를 요구하기 때문에 가격도 2배 가량 비싸다. 편자 막대를 지으려면 중세 이상의 기술 수준이 요구되며, 이 후프스톤 링은 원시 이하의 기술 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에 부족 시나리오에서 편자 막대를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육체적 놀이"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100%.

기원전 2500년대에 발명된 이 흥미로운 보드 게임에는 한두 명의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재미있고 두뇌 훈련에도 좋습니다.

원시 이하의 기술 수준을 요구하는 체스 탁자의 대체재로, 35개의 재료로 제작한다. 체스 탁자와 달리 의자가 없어도 사용 가능하나 재미 계수가 좀 더 낮다. 최대 2인. "지적 놀이"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평범 기준 80%. 미관 2를 제공한다.[39]

왕들의 고대 놀이입니다. 혼자서도 몇 시간 재밌게 보낼 수 있습니다.

중세 이상의 기술 수준을 요구한다. 필요 재료는 70개. 두 명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혼자 하나 둘이 하나 재미는 똑같다. 최대 2인. 의자가 있어야 체스하러 온다. "지적 놀이"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평범 기준 100%. 미관 4를 제공한다.

돈을 걸고 카드게임, 주로 포커를 치기 위한 탁자입니다. 전략적 사고와 약간의 운을 시험할 좋은 방법입니다.

2x2 크기. 주변에 의자를 배치하면 거기에 앉아서 포커 게임을 한다. 우르의 왕실 게임이나 체스 탁자와는 달리 최대 4인까지 가능. 6레벨 이상의 건축 기술을 가진 정착민이 천 50개 + 목재 25개 + 재질별 재료 50개를 들여 제작한다. 앞의 둘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미관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지적 놀이"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평범 기준 130%. 여담으로 림들이 하는 포커 게임은 들고있는 카드가 2장이므로 택사스 홀덤이다.
  • 당구대(Billiards Table)

부드러운 재질로 위를 덮고 테두리를 덧붙인 탁자로, 당구와 관련된 여러 놀이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

2×3크기의 당구대를 설치하면 그 주변에 당구를 칠 정착민이 와서 당구를 치기 시작한다. 주변 1칸에 정착민이 당구를 치면서 돌아다닐 공간이 필요하므로, 사실상 4×5 크기. 때문에 접근 불가능에 대한 경고 문구도 뜬다. 6레벨 이상의 건축 기술을 가진 정착민이 천 80개 + 목재 30개 + 재질별 재료 80개를 들여 제작한다. "육체적 놀이"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평범 기준 130%. 위치를 바꾸기 위해 이동하는 동안에는 오락이 오르지 않으므로 실제 시간 대비 오락 효율은 130%보다 살짝 적다. 최대 2인.
  • 음극선관 TV(Tube Television)

움직이는 사진을 소리와 함께 보이기 위한 음극선관 장치입니다. 이런 변방계에서도 구닥다리 송출기가 보내주는 시시한 프로그램은 잘 잡힙니다.

전기의 후속 연구 중 "음극선관 TV"를 완료하면 제작할 수 있다. 80년대 이전에나 볼법한 브라운관 TV다. 1×1크기에, 정면으로 2~4칸 떨어진 거리 × 양옆으로 5칸으로 총 15칸의 범위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이 범위 안에 의자 또는 의료용으로 지정된 침대를 놓으면 거기에 앉거나 누운 채로 (당연히 의료용 침대의 경우에는 부상이나 질병 때문에 깨어있는 채로 쉬는 경우에 한해서) TV를 관람한다. 현실의 병원이 그러하듯 누워서 쉬는 도중에도 TV를 보고 오락 욕구를 채울 수 있으니 병원에 놓았을 때 효율이 매우 좋다. 의자와는 달리 병원 침대의 경우에는 방향도 맞아야 한다.
4레벨 이상의 건축 기술을 가진 정착민이 강철 80개 + 부품 4개로 만들 수 있으며, 200W의 전원을 요구한다. "텔레비전 감상"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120%.
  • 평면 TV(Flatscreen Television)

선명한 화면과 풍부한 색감을 지닌 고급 평면 텔레비전입니다. 잡음으로 범벅된 음극선관보다 낫습니다.

"미소전기공학 기초"와 "음극선관 TV"를 모두 완료하면 시작할 수 있는 연구 프로젝트 "평면 TV"로 해금된다. B18까지는 제작할 수 없고 희귀품 상인에게 샀어야 했다. 현대적인 평면 액정 TV. 2×1 크기에, 정면으로 2~6칸 떨어진 거리 × 양옆으로 6칸으로 총 30칸의 범위에서 관람 가능. 8레벨 이상의 건축 기술을 가진 정착민이 강철 140개 + 부품 16개로 음극선관 TV의 4배에 달하는 작업량을 들여 제작해야 하며, 요구하는 전원도 330W로 꽤 높은 편이다. "텔레비전 감상"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140%.
  • 최고급 TV(Megascreen Television)

고급스럽게 커다란 텔레비전입니다. 거대하면서도 선명한 화면이 거의 밖으로 튀어나올듯 합니다. 고대 위성의 전파를 받거나 유비쿼터스 데이터 카드를 삽입하여 사용합니다.

제작할 수 없으며 희귀품 상인에게 구입하는 것으로만 구할 수 있다. TV 중에서도 최고급. 3×1 크기에, 정면으로 2~7칸 떨어진 거리 × 양옆으로 7칸으로 총 42칸의 범위에서 관람 가능. 450W의 전원을 요구한다. "텔레비전 감상"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며 재미 계수는 160%.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을 위한 망원경입니다. 어떤 사람들에겐 이런 취미가 편안하고 재밌기 마련입니다.

최고급 TV와 마찬가지로 제작할 수 없으며 구입만 가능. 지붕 아래에 배치할 수 없다. 최대 1인. "망원경 관찰"이라는 고유 유형의 오락을 제공하나 실내 배치가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내산지 플레이 시 사용하기 어렵다. 재미 계수는 120%.

12. 함선(Ship)


본 게임의 목적은 우주선을 만들어 탈출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동면기를 달 골조부터 시작해서 다른 부위도 개발, 건설하여 탈출하도록 하자. 우라늄, 금, 플라스틸, 부품, 고급부품 등 이 게임에서 핵심적인 재료들을 그야말로 '''퍼마시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우주선 골조(Ship structural beam) (연구 필요): 여러가지 우주선 구조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이 사항으로 동면기는 골조에만 연결할 수 있다. B18 이전에는 1x6 사이즈라 저런걸로 우주여행이 가능한가 하는 느낌이 들었지만 이제는 2x8사이즈가 돼서 튼튼해보이게 됐다.
- 필요재료 : 강철 400 / 플라스틸 75 / 부품 10
  • 우주선 동면기(Ship cryptosleep casket)(연구 필요): 주민들이 들어가서 오랜 세월 동안 동면하는 구조물. 일반 동면기와 성능은 동일하나 들어갈 때는 마음대로지만 꺼낼 때는 남이 꺼내줘야하는 일반 동면기와 다르게 스스로 나올 수 있는 것이 차이점.
- 필요재료 : 강철 200 / 우라늄 20 / 부품 10 / 고급부품 5
  • 우주선 컴퓨터 코어(Ship computer core)(연구 필요): 모든 부분을 충족시키면 이 컴퓨터 코어로 발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AI 코어가 필요한데, 무역이나 퀘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이거 만들다 건설 실패 뜨면 AI코어가 날아가버려서 상당히 뼈아프다.
- 필요재료 : 강철 250 / 금 100 / 고급부품 10 / 인공자아 핵 1개
  • 우주선 반응로(Ship reactor)(연구 필요): 우주선의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다. 전선을 연결해서 기지 전력에 도움을 줄 수도 있으나 들어가는 재료와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1000W밖에 생산하지 않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그냥 우주선 만들었을 때 전선으로 이어주면 전력 조금 주는 보너스정도. 반응로의 발전형태는 현재로는 발전 개념조차 전무한 반물질을 이용하지만 정작 들어가는 재료는 우라늄이다. 크기는 4 x 5. 우주선을 완성시키고 나면 반응로를 가동시키면서 15일이라는 카운트다운이 주어지는데, 이 15일동안 적들이 물밀듯이 몰려온다. 정말로 최선을 다해 방어선을 구축하지 않으면 전멸당할 수도 있는 수준. 물론 기지 가치를 높이는 일을 최대한 하지 않고 오직 우주선만을 만들기 위해 플레이한다면 해적은 20명도 안오고, 메카노이드도 랜서나 사이더 한두마리만 올 수도 있다.
- 필요재료 : 강철 500 / 플라스틸 400 / 우라늄 100 / 고급부품 20
  • 우주선 추진기(Ship engine)(연구 필요): 우주선의 추력을 제공하는 구조물. 베타18에서부턴 추진기가 3개 필요하게 되었다.
- 필요재료 : 강철 400 / 플라스틸 200 / 우라늄 100 / 고급부품 15
  • 우주선 센서 클러스터(Ship Sensor Cluster)(연구 필요): 베타18에서 새로 생겼다. 공허를 탐색하며 위험과 기회를 감지하는 탐지기 모듈.
- 필요재료 : 강철 200 / 금 5 / 부품 15 / 고급부품 15
우주선을 만들때 모양이나 각 구조물의 방향같은 설계 따윈 전혀 필요하지 않다. 그냥 모든 부분이 하나 이상만 존재하고, 연결만 되게 붙여 지으면 된다. 이게 도대체 뜨긴하나 싶을 정도로 맘대로 지어도 잘 뜬다.

13. 온도(Temperature)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설들이다. 모닥불과 난방기의 경우 약간의 조명 효과를 제공하며 자동으로 주변의 눈을 녹이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목표 온도치를 설정할수 있으며 실제 온도와 차이가 많이 나면 전력소모도 커지게된다. 겨울에 흑점폭발(Solar Flare)로 난방기가 작동하지 않으면 키우던 작물이나 가축이 얼어죽을 수도 있다.
  • 모닥불(Campfire): 나무를 20 사용해서 만든다. 금방 만들어서 온도를 높일 수 있으나 이틀에 한 번 나무를 보충해줘야 지속된다. 주변에 불을 옮겨붙게 만들지는 않는다. 추가로 간단한 음식을 지어먹거나 마약을 태우거나 집합지점으로도 정할 수 있다. 깨알같게도 불을 바라보는 것으로 오락 수치를 올릴 수 있고, 테크가 낮거나 더 나은 대안이 없을시 자연스럽게 모임 장소로 쓰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알몸 스타팅 등 하드코어 플레이를 할 시 임시로 조리 용도로 쓸 수 있으나 조리 목적으로는 요리할 때에만 목재가 소모되는 일반 스토브와 달리 작업중이 아닐 때에도 계속 목재가 타들어가며 조리 속도도 상당히 느리다. 강철이 확보되면 즉시 스토브로 갈아타자. 참고로 모닥불의 효율은 의외로 굉장히 높아서, 모드로 실외 온도를 -100도까지 말이 안되게 낮춰도 이거 하나로 영상까지 올릴 수 있다.
  • 난로(Heater):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용도로 사용한다. 켜놓을 경우 175w, 온도가 설정치보다 높을 경우 20w를 소모한다. 냉방기와 달리 포장이 가능하므로 춥지 않은 지역이라면 스위치를 끄거나 포장해뒀다가 한파 등 난방이 필요할 때에 꺼내자.
  • 냉방기(Cooler): 냉동고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기기로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용도로 사용한다. 뒤쪽으로 열을 방출하기 위한 공간(빨간색으로 표시된다.)이 필요한데 이를 난방에 써먹을 수도 있다. 난방기와는 다르게 벽으로 취급된다. 냉동고로 만들 경우 목표 온도를 -20도 정도로 세팅하는 것을 추천한다. -0으로 해놔도 상관없을 것 같지만 식자재가 들락날락하는동안 바깥공기가 섞여서 온도가 3~4도씩 올라가버리기 때문에 냉장상태로 변하여 조금씩 상한다. 거기에 내산지일 경우 군락 이벤트가 뜨지 않는 온도가 -17도 이하이다. 냉동고가 넓을수록, 바깥온도에 따라 여러대 이상이 필요하게 된다. 철이랑 기계부품 하나를 소비하는데, 둘중 하나만 부족하면 벽에다가 구멍만 뚫고 재료가 있을때까지 내버려둔다. 이러면 그 방이 “외부”로 취급되어서 약간 성가셔진다. 그런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에 냉방기를 설치한 뒤 냉방기의 열 방출 구역과 냉방 구역을 분리시키고 열 방출 구역의 지붕을 없애면 매우 쉽다. 거기에 냉방기가 외부에 노출된 경우, 습격자들이 냉방기를 우선적으로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
  • 환풍구(Vent): 말 그대로 방 안밖의 온도를 맞춰주는 환풍구. 벽 취급이지만 공기를 통과시키므로 벽 앙쪽의 온도를 맞춰준다. 주거단지에 중앙 냉난방실을 만들어놓고 냉난방실과 주민들 침실 사이의 통로에 환풍구를 설치하면 중앙 냉난방으로 적은 숫자의 냉방기로도 침실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다.[40] 빙상이나 해빙 같은 지형에선 그냥 이 환풍구를 창고에 연결하는 것으로 냉장고를 만들수 있다. 또한 환풍구를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온대림에서도 겨울엔 환풍구를 열어 냉장고 안을 영하로 유지하고 냉방기는 꺼서 전력을 아낄 수 있다.
  • 자연 냉방기(Passive cooler): 물의 증발을 응용한 냉방기로 겉보기에는 나무상자 같이 생겼다. 알몸으로 내던져짐을 제외하곤 연구가 완료된 상태로 시작한다. 목재 50개가 소모되며 4일 12시간동안 지속되고 중간에 해체시 목재를 1개도 되돌려주지 않으므로 위치선정이 중요하다. 아무리 많이 설치해도 17도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으므로 냉동고를 만드는 건 불가능하다. 이 수동 냉방기의 등장으로 부족민 스타트도 사막지대 생존이 가능해지긴 했다. 그러나 온도가 높을수록 목재소모량이 터무니없이 늘어나기 때문에 고열사막 지대는 여전히 극악한 난이도를 경험하게 된다. 덧붙여 이 수동냉방기는 그 필요성과 달리 생각외로 많이 짓지를 못하는데, 이는 목재공급이 극히 제한된 사막 등지에서 수동 냉방기에 들어가는 목재 뿐만 아니라 스토브연료에 들어가는 목재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온도 관련 추가 팁으로, 림월드에서는 벽도 적게나마 열을 전달한다. 단열성은 재질과는 무관하고 벽의 두께만 관련있다. 따라서 냉방이나 난방 효율을 높이려면 벽을 이중으로 치는 게 좋다. 이중벽은 일반벽에 비해 효율이 크게 차이나며, 삼중이나 그 이상은 별로 큰 차이가 없다. 혹은 이중으로 벽을 치되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두거나 다른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극한지 지형에서 즉시건설 치트를 켜고 진행한 실험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은 이중벽이며, 단일벽 사이에 빈 공간을 두는 방식은 그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이중벽 이상으로는 효과가 없다. 이중벽+사이에 공간을 두고 단일 벽을 두른 경우에도 이중벽과 효율이 같으니 결국 무의미. 더운 지역에서 냉동고를 짓고 주변을 침실들이랑 주방같은 것으로 둘러싼 뒤 가장 바깥쪽 벽만 이중으로 만들면 냉동고의 냉기도 덜 빠져나가고 다른 방들의 냉방도 수월하다. 이거 하나로 다른 방들을 냉방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인 건 아니지만 하여튼 냉방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문으로 서로 연결된 방들의 경우 문이 열릴 때마다 온도 교환이 더 자주 일어나니 더욱 신경쓰자. 가끔 너무 더운 여름철 작물을 수확하거나 해서 냉동고에 많은 폰들이 들락날락할 경우 온도가 올라가 냉동이 잠시 안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만약 냉동고 온도를 너무 낮춰두고 겨우 한 겹 벽이랑 문만 사이에 두고 주방이랑 연결할 경우, 주방이랑 냉동고를 들락날락할 때마다 주방 온도가 너무 내려가서 추위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개폐속도가 빠른 나무 자동문으로 2칸짜리 에어록을 만들자. 1칸의 경우 두 문이 동시에 열리기 때문에 단열 효과가 별로다.


[1] 좌측 하단의 오버뷰 에서 해당 행동을 하도록 설정해야 한다.[2] 좌측 하단의 오버뷰 에서 해당 행동을 하도록 설정해야 한다.[3] 무너진 바위라는 이름의 바위가 구역을 차지하고 있는데, 보기 짜증난다고 채굴시키면 즉각적으로 무너진 바위가 떨어진다. 아무리 캐도 다시 생겨나며, 림이 여기 깔리면 즉사하니 주의. 6칸 이내에 바위를 캐지 않고 남겨두거나 새로 벽을 지어두면 무너진 바위가 떨어지지 않는다.[4] 당장 벽도 오직 나무 벽만 지을 수 있다.[5] 수경재배기 제외.[6] 뽑고나서 먹으려 할 때마다 소집하면 영양죽을 바닥에 내려놓으면서 가만히 있게 된다. 이때 주거설정을 지우거나 영양죽의 상호작용을 금지한다면 계속해서 재료를 6개씩 소모하면서 영양죽을 뽑을 때마다 소집해서 1개씩 쌓을 수 있다. 대형동물의 경우에는 사료로 쓰기도 괜찮다. 단, 방을 따로 만들어서 뽑아야 상호작용을 금지하는 과정이 딱 문 하나로 급격히 줄어든다. 그렇지 않다면 온갖 음식부터 식재료, 심지어는 시체에도 상호작용을 금지해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뽑는 시간보다 뽑으려는 과정이 더 복잡해진다. 간단히 배고픈 정착민을 하나 집어넣고 문의 상호작용을 금지하여 방안에서 영양죽만 먹게 해서 뽑아내는 방식으로 정착민 통제를 해야한다.[7] 사이코패스 특성이 없는 주민들은 직접 도축하는 것만큼은 아니지만 소량의 무드 하락이 있으니 조심하자.[8] 사실 향균타일 도배된 연구실을 따로 만들 바에야 의료실에 같이 설치해두는게 일상다반사.[9] 무기류는 판매시 원래 가격의 20%만을 받는다.[10] 즉, 맥주 생산을 위해서는 홉 재배➡️맥아즙으로 가공(양조대)➡️10일간 발효/숙성(발효용기)의 과정을 거친다.[11] 사실 맥주의 경우 중독성의 문제보다 맥주가 존재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전투 중 전열 이탈, 일상생활시 때때로 컨트롤 불가, 의식, 조작하락으로 일부 또는 수술같은 중요 작업에 투입기피등의 문제가 더 크다.[12] 단 은으로 만들 경우 완벽 등급 이상을 뽑아야 원자재 이상의 이득을 볼 수 있다.[13] 연초는 제작장소에서만 생산된다.[14] 이 인카운터는 팬 만화에서 (원래는)심층채굴기를 쓰기 시작하면 기지 가치가 크게 올라가 는데, 그것에 관해 그린 만화를 본 제작자가 업데이트를 한다. 그리고 업데이트 이후 작가는 소파가 되어 변명을 하는 신세가 되었다. 여담으로 곤충군락이 튀어나오는 편은 업데이트 이후에 그려졌다.
문제의 만화,번역본(4번째 만화)
소파가 되어 변명하는 작가,번역본(2번째 만화)
업데이트 이후 돌려까는(?) 작가,번역본(2번째 만화)
[15] 2인용도 한 개로 친다.[16] 보통 사랑을 이야기함 무드 버프의 내용이 침대 시트를 부시럭거렸다는 걸 보고 성관계로 많이 착각하고 실제로 몇몇 모드에서도 이것을 성관계로 생각하여 큰 침대에 연인들끼리 같이 누우면 아기를 낳게 해놓았는데, 조각상에서 가끔 사랑을 이야기한 것을 묘사한 내용을 보면 깊은 키스를 했거나 서로 장난쳤다 정도로 나오니 일단 성관계까지는 아니다.[17] 뭐 침실을 의료실로도 쓸 수 있긴 한데, 기왕이면 의료실은 생체신호 모니터에 항균 타일까지 쫙 깔아주는 편이 더 좋으니...[18] 근데 인식 거리가 고작 25칸이라, 생각보다 잘 안 찾아간다. 특히 사람을 있는대로 늘리는 플레이를 할 경우 조금만 침실이 늘어나도 기껏 잘 꾸며놓은 식당에 안 찾아오는 일이 생긴다. 이게 영 거슬리면 'Table Diner'라고 식탁 인식 거리를 늘려주는 모드가 있으니 참고하자.[19] 참고로 어떤 아이템이든 그냥 바닥에 쌓아두면 미관이 깎인다.[20] 번개치는 순간 발전량이 잠깐 올라갔다가 내려온다.[21] 태양광 발전기만으로 전력을 공급하려면 사용전력의 3배 이상의 전력을 생산하여야 한다. 축전지의 효율이 50%밖에 되지 않고 생산 가능한 시간이 하루 중 절반 밖에 되지 않기 때문.[22] 참고로 현실의 물리 전자기학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축전기라도 충전 시 최소 2배의 에너지가 필요하다.[23] 강철소재 기준, 타 재질의 경우 금 60, 은 70, 우라늄 250, 플라스틸 280[24] 다른 재질로 제작 시에도 강철 70개는 필수로 들어가며, 나머지 30개가 건설하려는 포탑의 재질에 따라 달라진다. 가령 플라스틸 자동 포탑의 재료 요구량은 강철 70개 플라스틸 30개.[25] 강철소재 기준, 타 재질의 경우 금 72, 은 84, 우라늄 300, 플라스틸 335[26] 기본지도에서는 지도전체이지만 넓은 맵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사거리가 안되기도 한다[27] 고폭탄 오폭이라도 나다간 정착민의 사지가 날라다니는 건 확정이요, 장기가 터져서 즉사하지만 않길 바랄 수 밖에 없다.[28] 면역이 걸려도 스턴이 안걸리는것은 아니지만, 매 회마다 스턴 시간이 50%정도 줄어드는 것 처럼 보인다.[29] 하지만 습격 규모가 수십명인 후반에는 어차피 물밀듯 밀려오며 밟을건 다 밟는다. 거기다 애초에 패잔병을 다 잡는 것도 쉽지 않고.[30] 단, 거품은 미적으로 나빠서 무드가 떨어지며, 이때 농작물에 주거설정지역을 해제하지 않는다면 청소하려 들기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31] 부언을 하자면 번개폭풍의 경우 초기진압 할때 보통 불의 크기와 범위가 작으며 낙뢰지점 또한 낙뢰구간의 주변에 떨어지기는 하지만 거품기 하나의 범위내에 처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무작위로 떨어진다.[32] 포드 하나당 150kg까지 적재할 수 있는데, 포드 2개를 그룹으로 묶으면 280kg짜리 코끼리도 쏘아보낼 수 있다.[33] 건강한 성인의 경우. 옷/갑옷/무기/소지품의 무게를 차감하면 보통 ~27kg정도가 된다.[34] 혹은 가져가고픈 물자는 많은데 짐칸이 부족하거나 귀환할 식량이 부족하거나 할 경우, 갈때 연료를 가져갔다가 적진에서 강철/부품을 현지조달한 뒤 발사대+수송포드를 만들어서 사람이나 자원 일부를 집까지 포드로 쏴보내는 방법도 있다. 부상당한 아군이나 포로는 캐러밴의 이속을 갉아먹는 주범이므로 포드편으로 집에 보내면 귀환길에 식량도 절약되고 속도저하도 없어진다.[35] 원정을 다니면 깰 수 있긴 하다.[36] 개발자 모드 제외.[37] 동물은 흑사병이나 독감 등 감염질환만 메세지를 띄우며 치매나 노쇠 등 만성 질병은 걸렸다는 메세지가 아예 뜨지 않기에 나이가 든 동물은 동면관에 넣어두는 것 외엔 마땅히 대안이 없다.[38] 혹은 아예 그 가족을 집어넣어버리거나. 일반적으로 가족은 방화광 등 쓰레기 특성을 갖고 있거나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동면관에 넣어버리면 아무 뒤탈없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39] 체스와 달리 생소한 이름이라 림월드 세계관 고유의 게임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존하는 게임이다.[40] 다만 열전도 효율은 뻥 뚫린공간/열어놓은 문 보다는 살짝 못하므로, 닭장처럼 이어붙힌 침실 사이사이를 환풍기로 연결하면 영 좋지 않다. 일단 닫힌 공간으로 인식만 되면 거리가 멀어도 온도는 동일하니, 복도에 중앙 냉난방을 하고 침실 각각에 환풍구를 복도쪽 벽에 달아주는 것이 좋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