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요괴

 

유희왕의 카드군.
한국판 명칭
'''마요괴'''
일본판 명칭
'''魔妖(まやかし'''
영어판 명칭
'''Mayakashi'''
1. 개요
1.1. 줄거리
1.2. 성능
2. 메인 덱 몬스터
2.1. 효과 몬스터
2.1.1. 날개의 마요괴-파순
2.1.2. 바퀴 자국의 마요괴-인력거꾼
2.1.3. 백골의 마요괴-야차
2.1.4. 고드름의 마요괴-설랑
2.2. 튜너 몬스터
2.2.1. 우아함의 마요괴-달희
2.2.2. 독의 마요괴-속경
3. 엑스트라 덱 몬스터
3.1. 싱크로 몬스터
3.1.1. 바퀴 자국의 마요괴-수레귀
3.1.2. 독의 마요괴-땅거미
3.1.3. 날개의 마요괴-탱구
3.1.4. 우아함의 마요괴-요호
3.1.5. 백골의 마요괴-아자촉루
3.2. 링크 몬스터
3.2.1. 고드름의 마요괴-설녀
3.2.2. 영빙 마요괴-설녀
4. 마법 카드
4.1. 마요괴회천
4.2. 마요괴괴겁
4.3. 봉화요려담- 마요괴이야기
5. 함정 카드
5.1. 마요괴변생
5.2. 마요괴유행
6. 참고 카드
7. 관련 문서


1. 개요



아아, 꺼림칙하도다.
우리 영세의 불꽃이 교활한 등불을 멸할 때가 됐다···.

嗚呼、忌わしや。
我ら幽世の焔が小賢しき灯火を滅する時ぞ・・・。
(히든 서머너즈 포스터 소개문구)

전개를 지원하는 "마요괴" 무리들 - 묘지에서 여러 번 나타나는 튜너에 의해 연결되는 연속 싱크로 소환, 그 과정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싱크로 몬스터들도 묘지에서 모습을 나타낸다. 링크 몬스터와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싱크로 몬스터가 백귀야행처럼 이어지는 전개를 지원.
(유희왕 공식 홈페이지 히든 서머너즈 소개)

덱 빌드 팩 히든 서머너즈에 데뷔한 카드군. 싱크로 소환과 링크 소환을 같이 운용하는 언데드족 카드군으로 설녀, 구미호, 텐구 등 일본 설화속 요괴들을 디자인 모티브로 하고 있다. 이름은 "마요"라고 쓰고, "마야카시"라 읽는다. 읽는 발음은 まやかし(마야카시 - 속임수, 가짜)에서 따왔다.
요선수의 마요선수 대인화시와 한자는 같지만 읽는 법이 다르기에 서포트는 주고받을 수 없다. 그 때문에 한국판에서는 무사신마탄환의 선례대로 뜻을 늘리는 음절 하나를 추가한 "마요괴"로 이름이 수정되었다.

1.1. 줄거리


마요괴회천, 봉화요려담-시라누이이야기, 봉마의 각 등의 일러스트를 통해 시라누이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컨셉상 서로 대립 관계로 추측되었고, 마스터 가이드 6에서 상세 설정이 공개되어 사실로 드러났다. 마스터 가이드 6에서 밝혀진 설정은 다음과 같다. 통칭 '봉화요려담'.

마요괴는 이른바 '영원한 어둠'을 노리는 요괴 집단으로, 한밤중이 아닐 때에는 요력을 발휘할 수 없어 인간의 모습으로 사람들 사이에 숨어 산다. 이 때문에 햇빛을 없애서 세상을 영원한 어둠 속으로 몰아넣기 위해 암약하는 것. 오직 '시라누이류'의 구성원들에게만 이들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마요괴에게 대항하기 위해 여러 유파의 무술을 통합시킨 시라누이류의 창시자는 이들에게 패배하여, 요도에 영혼이 봉인된 상태로 대대로 전승되고 있다. 당대 계승자였던 무사는 전신-시라누이[1]

로 거듭나 싸우지만, 힘이 부족해지자 궁사 일행이 윤회의 진을 이용해 도신의 영혼에 일시적으로 육체를 부여했다. 이렇게 마요괴들을 봉인시킨 것이 염신-시라누이.

시라누이의 무사가 백발의 노인이 될 정도로 오랜 세월이 흐른 뒤, 마요괴의 봉인이 약해질 즈음 시라누이의 무부가 시라누이를 계승하는 동시에 요도-시라누이 역시 봉마의 요도-시라누이로 진화한다. 문제는 이 시점에서 무부가 힘을 되찾은 우아함의 마요괴-달희와 운명적으로 만났다는 것.

요호와 만나 요력을 접한 무부는 요력과 자신의 검을 융합시켜 려신-시라누이로 탈바꿈하나, 우아함의 마요괴-요호와 숙명적 대결을 시작하려던 순간 고드름의 마요괴-설녀[2]

에게 자신의 검을 빼앗기고 만다.

영빙 마요괴-설녀가 '영원한 어둠'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움직이는 대목에서 마스터 가이드 6에 적힌 스토리는 끝이 난다. 이후 일러스트는 마요괴유행으로 이어진다. 다만 줄거리에 의문점이 몇 가지 남는다.
  • 요호(달희)와 무부(요신→려신)의 관계
적어도 무부 쪽에서는 진심으로 달희를 친구로 여겼을 가능성이 크나, 마요괴의 두령이자 조사 담당으로 시라누이류 본가에 잡입했던 요호가 그를 어떻게 여겼느냐에 따라 줄거리의 분위기는 '각자 소속된 장소 때문에 적으로 다시 만난 두 친구의 안타까운 숙명'부터 '일족의 염원을 위해 우정놀이를 벌였던 우두머리의 큰 그림'까지 극과 극으로 갈리게 된다. 다만 요호는 마요괴 진영으로 돌아간 뒤 요호의 모습을 되찾고 설녀에게 힘을 빼앗길 때까지 무부가 준 방울 장식을 계속 착용하고 있다.
  • 영빙 마요괴-설녀 이후 요호 / 무부 / 설녀의 행방
TCG로 선행 발매된 마요괴유행의 일러스트에서는 다른 "마요괴" 몬스터는 물론 잡요괴들까지 등장하지만, 정작 일발역전을 이끌어내고 영빙 마요괴로 각성에 성공한 설녀와 마요괴라는 집단의 두령인 요호가 보이지 않는다. 요호와 무부가 설녀에게 죽었다고 가정하면 시라누이 / 마요괴 스토리의 결말은 배드 엔딩 확정. 다만 처참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3장이나 신규 카드가 나온 만큼, 코나미의 지원이 이번 카드로 끝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후속 카드를 암시한 일러스트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설정상 요호가 무부와의 우정을 진심으로 여겼다면 자신의 힘을 빼앗은 설녀를 쓰러뜨리기 위해 무부와 힘을 합치는 일러스트가 등장할 수도.

1.2. 성능


튜너는 효과를 발동한 뒤에 엑스트라 덱에서 마요괴 몬스터의 소환만을 강제하는 디메리트를, 다른 메인 덱 몬스터는 지속 효과로 엑스트라 덱에서 마요괴 몬스터의 특수 소환만을 강제하는 디메리트가 붙었으며, 엑스트라 덱 몬스터 또한 필드에 1장밖에 존재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붙어 있다. 덱의 컨셉은 묘지에서 달희를 계속 소환해 레벨 3부터 11까지의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를 연속적으로 소환하고, 그 몬스터가 '''상대에 의해''' 파괴될 때마다 레벨이 2 낮은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가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어 효과를 발동하는 방식. 아자촉루를 띄웠을 경우 묘지 특수 소환 효과로 인해 총 5번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다. 따라서 상대가 파괴해도 계속해서 필드에 몬스터를 남기고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로 어드밴티지를 버는 플레이가 중요하다. 한마디로 버티기 덱.
특수 소환을 몇 번이고 반복한다는 점을 살려, 정기를 흡수하는 골탑을 이용한 덱 파괴를 노리는 전술도 존재한다.
덱의 큰 장점이라면 턴 제한이 없는 묘지 특수 소환이 가능한 튜너, 우아함의 마요괴-달희의 존재로 인하여 싱크로 소환을 반복해 순식간에 레벨 11짜리 싱크로 몬스터를 필드에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파순이 패에 잡혔다면 덱에서 바로 달희를 특수 소환해서 패1장만으로 싱크로 소환을 할 수 있다. 다만 '''"마요괴" 카드의 장점은 이것 뿐이다'''. 단점들을 나열하자면 이하와 같다.
  • 싱크로 몬스터들이 바닐라 몬스터나 다름없다.
싱크로 몬스터들은 묘지에서 소생했을 경우에만 효과가 발동하기에, 필드에서는 디메리트만 붙어있는 바닐라 몬스터나 다름 없다. 거기다 소생 조건도 "원래 레벨이 자신보다 2 높은[3]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는 것"이기에 릴리스, 제외, 바운스 등의 효과에 무력하다. 심지어 소생시 발동하는 효과마저 10기 환경에서는 썩 좋다고 말할 수는 없는 효과들인데, 코스트로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할 것을 요구하며,[4] 무덤의 지명자에 맞으면 그대로 저 세상으로 간다. 다른 덱 빌드 팩 카드군들이 유독 무덤의 지명자에 치명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후술할 단점 때문에 마요괴는 지명자에 더 취약하다.
  • 소환 제약
가장 큰 문제점. 튜너는 효과를 쓴 턴에는 엑스트라 덱에서 마요괴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붙었으며, 다른 메인 덱 마요괴 몬스터들도 마요괴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수 있다는 지속 효과가 붙어 있다. 이 때문에 범용성 좋은 언데드족 링크 몬스터인 뱀파이어 서커, 어드밴데드 세이비어 같은 몬스터는 물론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같은 범용 카드도 사실상 사용 불가능한 셈. 물론 이 디메리트가 없었으면 패 1장만으로 레벨 3부터 11까지의 홀수 레벨 고성능 싱크로 몬스터들을 꺼낼 수 있는 사기 테마가 됐겠지만, 하필 이렇게 사용을 강제해 놓은 마요괴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의 성능마저 상당히 나쁘다 보니 이 단점이 매우 크게 느껴진다.
  • 필드 1장 제한
튜너를 비롯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모두 ""(카드명)"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를 공유한다. 이 때문에 만약 필드에 아자촉루와 요호가 있다고 가정하면, 상대가 아자촉루를 전투나 효과로 파괴해서 요호의 소생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해도 묘지에서 요호를 소생시킬 수 없다.
  • 애매한 지원
이러한 한계 때문인지 지원 카드가 나오긴 하지만, 이마저도 미묘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설랑은 매우 널널한 소환조건에 특수 소환 성공시 덱에서 언데드 족 몬스터 하나를 묘지로 보내는 고성능의 카드지만 마요괴 덱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고성능을 체감하기 어렵다. 마요괴괴겁은 ②③ 효과를 턴마다 둘 중 하나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어드밴티지를 연속으로 늘릴 수 없으며, 이마저도 ③ 효과를 쓰려면 또 묘지의 언데드족 몬스터를 1장 제외해야 한다. 봉화요려담-마요괴 이야기는 정작 마요괴에서는 쓰기가 정말 힘들며, 시라누이에서 더 요긴하게 쓸 수 있지만 이마저도 시라누이 카드군이 아니기 때문에 쓰기가 애매한 데다 언데드 월드 주축 덱에서 쓰려고 해도 싱크로 몬스터와 언데드족 몬스터의 속성이 썩 맞지가 않는다. 그나마 영빙의 마요괴 설녀가 상당히 좋은 효과를 가지고오긴했다.
  • 이러한 처절한 성능 때문에 증식의 G, 하루 우라라, 저택 와라시, 무한포영 같은 범용 견제 카드 하나하나가 전부 뼈아프다. 그나마 묘지,패에서의 특수 소환에는 카드군 제약이 없으며 전원 언데드족이기 때문에 도하스라를 채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존 도하스라 비트덱의 하위 호환이나 다름없다.
이렇듯 단점들이 상당히 많은 탓에 덱으로서 성능과 평가는 상당히 나쁘다. 그나마 달희와 설녀의 일러스트가 매우 예쁘게 뽑혀서 애정으로 굴리는 유저들이 가끔 존재하는 수준. 주로 굴린다면 강력한 퍼미션 효과가 있는 영빙의 마요괴-설녀와 언데드 월드를 위시한 언데드 지원을 끼워넣고 적대 관계인 시라누이까지 섞어서 굴리는 언데드 굿 스터프 형식이 현재로선 최선이다.
현재 가장 쓸만한 조합은 엘드리치로 실제로 엘드리치를 섞은 마요괴 덱이 우승한 전적도있긴하지만 순수 엘드리치는 고사하고 주로 엘드리치랑 섞이는 다른 테마들과 비교해도 약하기때문에 메이저하진않다.

2. 메인 덱 몬스터



2.1. 효과 몬스터



2.1.1. 날개의 마요괴-파순


[image]
한글판 명칭
'''날개의 마요괴-파순'''
일어판 명칭
'''翼の魔妖-波旬'''
영어판 명칭
'''Hajun, the Winged Mayakashi'''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
바람
언데드족
600
400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날개의 마요괴-파순" 이외의 "마요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2번 효과가 디메리트가 막대한 대신 1번 효과는 매우 파격적인데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양쪽에 다 대응하며 '경우' 이기에 타이밍을 놓칠 일도 거의 없고 코스트 없이 덱에서 몬스터를 끌어오기에 게임이 지나치게 늘어지지 않는다면 거의 대부분의 경우 덱에서 몬스터를 가져올 수 있다. 효과를 무효화한다는 텍스트마저 없기에 인력거꾼을 끌어와 간접적으로 묘지의 마요괴를 소생시킬 수도 있다.
이름은 천마(天魔) 파순(波旬)에서 따왔다, 검은 깃털이 난 날개를 보면 요괴쪽 모티브는 텐구. 그 중에서도 카라스텐구가 모티브로 보인다. 수도승 복장을 입은 이유는 텐구가 불교와도 어느정도 연관이 있는 요괴로 여겨지기 때문인 듯. 비슷한 외모 때문에 '시라누이의 은둔자와 관련이 있는 카드가 아니냐'는 소문이 돌았지만, 공식 스토리에서 언급이 나오지 않으면서 부정되었다.

2.1.2. 바퀴 자국의 마요괴-인력거꾼


[image]
한글판 명칭
'''바퀴 자국의 마요괴-인력거꾼'''
일어판 명칭
'''轍の魔妖-俥夫'''
영어판 명칭
'''Shafu, the Wheeled Mayakashi'''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언데드족
1200
400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바퀴 자국의 마요괴-인력거꾼" 이외의 자신 묘지의 "마요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1번 효과는 이런 싱크로 소환 계통에서 종종 보이는 효과를 무효로 하는 소생 계열 효과. 표시 형식이 수비 표시로 제한되기에 링크 몬스터는 살릴 수 없으나, 고드름의 마요괴-설녀는 소생시킬 의의가 크지 않아 별 의미는 없다.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꺼낼 수 없는 상황에서 묘지의 달희를 소생시키는 역할이 주가 된다. 파순과는 달리 효과를 무효화하므로 소생시 효과를 사용할 수 없는 점이 흠.
이름의 샤후(俥夫)란 인력거꾼을 의미한다.

2.1.3. 백골의 마요괴-야차


[image]
한글판 명칭
'''백골의 마요괴-야차'''
일어판 명칭
'''骸の魔妖-夜叉'''
영어판 명칭
'''Yasha, the Skeletal Mayakashi'''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5
어둠
언데드족
2000
0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패에서 이 카드 이외의 "마요괴"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특수 소환 효과는 마요괴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 타점도 아주 낮은 정도는 아니라 파순으로 불러 전투 목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름은 야차에서 따 왔다.

2.1.4. 고드름의 마요괴-설랑


[image]
한글판 명칭
'''고드름의 마요괴-설랑'''
일어판 명칭
'''氷の魔妖-雪娘'''
영어판 명칭
'''Yuki-Musume, the Ice Mayakashi'''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

언데드족
0
1900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고드름의 마요괴-설랑" 이외의 "마요괴"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다크 네오스톰에서 등장. 자체 특수 소환+덤핑이라는 고성능 효과를 가지고 나왔다.
횟수제약이 붙었을 뿐 소환 이후 제외된다는 단점도 없는 특수 소환 효과가 붙은데다가, 언데드족이라면 어떤 카드든 덤핑하는 효과까지 갖춘 고성능의 몬스터. 마요괴 몬스터의 존재 제약과 2번 효과의 디메리트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마요괴 덱에서의 운용을 상정하니만큼 인력거꾼으로 소생시킬 몬스터를 덤핑하거나 묘지에 달희나 속경을 묻어 싱크로 소환을 준비하는데 사용하게 될 것이다. 카드군 제약은 없으므로 상황에 따라서 좀비 캐리어와 같이 묘지에서 활용할 언데드족 몬스터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얼핏 보면 이 카드가 성장해서 아래의 설녀가 되는 것 같지만, 사실 이 카드가 설녀의 인간 모습이라고 한다.

2.2. 튜너 몬스터



2.2.1. 우아함의 마요괴-달희


[image]
한글판 명칭
'''우아함의 마요괴-달희'''
일어판 명칭
'''麗の魔妖-妲姫'''
영어판 명칭
'''Dakki, the Graceful Mayakashi'''
튜너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화염
언데드족
1000
0
①: "우아함의 마요괴-달희"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마요괴"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묘지에 존재하고 마요괴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되면 특수 소환되는데, 턴 제약이 없기 때문에 저레벨 싱크로 몬스터 소환으로부터 소생을 반복하여 3, 5, 7, 9, 11, 이후 링크 소환까지 이어가는 것이 마요괴 덱의 기본적인 움직임.
이름 및 모티브는 달기(妲己)에서 따왔다. 중국 고전소설 봉신연의에서 구미호 "호리정"이 몸을 빼앗았다고 묘사되어 구미호라는 이미지가 널리 퍼졌다. 경국지색의 미녀로도 유명하다. 그 외모를 이용해 시라누이의 무부에게 접근했으며, 머리의 방울도 시라누이의 무부에게 받은 것.

2.2.2. 독의 마요괴-속경


[image]
한글판 명칭
'''독의 마요괴-속경'''
일어판 명칭
'''毒の魔妖-束脛'''
영어판 명칭
'''Tsukahagi, the Poisonous Mayakashi'''
튜너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언데드족
0
2000
①: "독의 마요괴-속경"은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독의 마요괴-속경" 이외의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 발동이 수동적인 점, 묘지로 보내둬야 발동할 수 있는 점 때문에 채용 가치는 그리 높지 않다.
"츠카하기(束脛)"라는 이름은 츠치구모의 별칭인 "야츠카하기(八束脛)"에서 인용된 것으로 보인다.

3. 엑스트라 덱 몬스터



3.1. 싱크로 몬스터



3.1.1. 바퀴 자국의 마요괴-수레귀


[image]
한글판 명칭
'''바퀴 자국의 마요괴-수레귀'''
일어판 명칭
'''轍の魔妖-朧車'''
영어판 명칭
'''Oboroguruma, the Wheeled Mayakashi'''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언데드족
800
2100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바퀴 자국의 마요괴-수레귀"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원래의 레벨이 5의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른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③: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자신의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바퀴 자국의 마요괴 - 인력거꾼의 본모습.
파순과 달희로 맨처음 싱크로 소환하는 몬스터이며 이후 달희의 소생을 반복하여 더 높은 레벨의 싱크로 몬스터를 꺼내는것이 기본 전술이다.
소생 시의 효과는 전투 내성. 레벨 특성상 마요괴 몬스터가 여러 번 파괴된 뒤에나 필드에 등장할 수 있어서 효과를 볼 기회는 많지는 않다. 이 카드가 파괴되면 이어서 등장할 마요괴 몬스터가 없기 때문에 마지막 방어벽 역할로는 어울리는 정도.
모티브는 오보로쿠루마(朧車), 반투명한 우차(牛車)[5]의 전면에 대신 거대한 얼굴이 달린 요괴이다. 또한 본래의 오보로쿠루마는 우차(牛車)의 요괴이지만 이 카드의 경우 인력거이다.

3.1.2. 독의 마요괴-땅거미


[image]
한글판 명칭
'''독의 마요괴-땅거미'''
일어판 명칭
'''毒の魔妖-土蜘蛛'''
영어판 명칭
'''Tsuchigumo, the Poisonous Mayakashi'''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5

언데드족
2000
1800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독의 마요괴-땅거미"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원래의 레벨이 7의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른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③: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독의 마요괴-속경의 본모습.
3장 덤핑은 묘지를 활용하는 일이 많은 마요괴/언데드 덱의 특성상 유용한 효과지만 당혹스럽게도 상대 덱도 묘지로 보내는 점이 난점. 현 환경에서 상대의 묘지를 늘려주는 것은 어드밴티지를 주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때문에 이 카드를 제대로 운용한다면 정기를 흡수하는 골탑을 채용하여 덱 파괴를 노리는 컨셉으로 가야한다.
모티브는 거미의 요괴 츠치구모.

3.1.3. 날개의 마요괴-탱구


[image]
한글판 명칭
'''날개의 마요괴-탱구'''
일어판 명칭
'''翼の魔妖-天狗'''
영어판 명칭
'''Tengu, the Winged Mayakashi'''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7
바람
언데드족
2600
1500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날개의 마요-탱구"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원래의 레벨이 9의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른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③: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날개의 마요괴-파순의 본모습.
소생시 효과는 상대 필드 한정 싸이크론. 싸이크론과는 달리 비대상 지정인 점이 우수하다. 타점도 낮지 않은 편.
모티브는 텐구.

3.1.4. 우아함의 마요괴-요호


[image]
한글판 명칭
'''우아함의 마요괴-요호'''
일어판 명칭
'''麗の魔妖-妖狐'''
영어판 명칭
'''Yoko, the Graceful Mayakashi'''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9
화염
언데드족
2900
2400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우아함의 마요괴 - 요호"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원래의 레벨이 11의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른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③: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우아함의 마요괴-달희의 본모습.
덱 빌드 팩 히든 서머너즈 커버 몬스터 3종 중 하나.
소생시 효과는 비대상 지정 몬스터 파괴. 눈에 보이는 어드밴티지를 얻기 쉬운 효과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름은 여우 요괴의 총칭인 요호에서, 모티브는 일본삼대악귀의 하나인 백면금모구미호. 백면금모구미호는 여러 미녀(화양부인, 달기, 포사, 타마모노마에 등)로 둔갑한 것으로 유명하다.
스토리상 마요괴의 수장. 시라누이이야기에서 무부에게 받은 방울장식을 아직도 차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3.1.5. 백골의 마요괴-아자촉루


[image]
한글판 명칭
'''백골의 마요괴-아자촉루'''
일어판 명칭
'''骸の魔妖-餓者髑髏'''
영어판 명칭
'''Gashadokuro, the Skeletal Mayakashi'''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1
어둠
언데드족
3300
2600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백골의 마요괴-아자촉루"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의 링크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다른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③: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앞면 표시의 이 카드는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백골의 마요괴-야차의 본모습.
성태룡에 이은 2번째 레벨 11 싱크로 몬스터이면서 최초의 언데드족 레벨 11의 몬스터. 레벨 11의 몬스터들 중 소생이 가능한 몇 안되는 몬스터로, 일반적으로 레벨 13 몬스터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쪽은 링크 몬스터의 파괴를 소생 조건으로 삼는다. 마요괴의 링크 몬스터는 설녀밖에 없기 때문에 사실상 설녀의 파괴가 조건이라 보면된다.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의 최종 형태인만큼 많은 기대를 받아온 싱크로 몬스터이나 성능은 애매하다. 타점은 높은 편이나 직접 어드밴티지를 버는 효과가 없고, 효과 내성도 겨우 1턴 동안에 불과하다.
모티브는 가샤도쿠로.

3.2. 링크 몬스터



3.2.1. 고드름의 마요괴-설녀


[image]
한글판 명칭
'''고드름의 마요괴-설녀'''
일어판 명칭
'''氷の魔妖-雪女'''
영어판 명칭
'''Yuki-Onna, the Ice Mayakashi'''
링크 / 효과 몬스터
링크
속성
종족
공격력
링크 마커
2

언데드족
1900
[image][image][image]
[image][image][image]
[image][image][image]
"마요괴" 몬스터 2장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고드름의 마요괴 - 설녀"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의 링크 앞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③: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고,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절반이 된다.
고드름의 마요괴-설랑의 본모습.
마요괴 링크 몬스터. 링크 소재는 마요괴 몬스터 2장으로 전개 효과를 지닌 하급 마요괴 몬스터들 덕분에 소환은 어렵지 않으나 실제 성능은 그리 좋은 축은 아니다. 일단 공격력은 하급 몬스터 수준이라 아주 미덥지는 않은데, 공격 대상 회피 내성은 링크 앞에 싱크로 몬스터를 요구하는 가볍지 않은 조건이며 또한 3번 효과도 애매모호한 방어 효과에 심지어 턴 제약까지 붙어있다[6]. 메인 덱 몬스터들에게 붙은 엑스트라 덱 소환 제약 탓에 어쩔 수 없이 써야 할 카드.
아자촉루의 소생 조건이지만 전투력은 훨씬 낮아졌다. 전투가 가능한 환경이라면 아자촉루와 달희로 공격을 마친 후 링크 소환하는 편이 좋다.
비록 성능은 안습할지언정 일러스트가 역대급으로 곱게 뽑혀서 일러스트는 압도적으로 호평이 많다.
모티브는 츠라라온나(つらら女)설녀.
마요괴 스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주역으로, 달희가 시라누이의 무부에 접근해 관심을 끄는 동안 본가를 습격해 힘을 빼앗고, 나중에는 봉마의 각 일러스트에서 묘사된 려신-시라누이와 요호의 전투에 난입해 무기까지 빼앗는다. 그 결과 아래의 몬스터로 진화하는데....

3.2.2. 영빙 마요괴-설녀


[image]
한글판 명칭
'''영빙 마요괴-설녀'''
일어판 명칭
'''零氷(れいひょう魔妖(まやかし雪女(ゆきおんな'''
영어판 명칭
'''Yuki-Onna, the Absolute Zero Mayakashi'''
링크 / 효과 몬스터
링크
속성
종족
공격력
링크 마커
4

언데드족
2900
[image][image][image]
[image][image][image]
[image][image][image]
언데드족 몬스터 2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2번 사용할 수 있다.
①: "영빙의 마요괴-설녀"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제외되어있는 상태로 발동한 상대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③: 묘지에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또는 묘지의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0으로 하고,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설녀의 진화형으로, 싱크로 몬스터의 존재 하에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 효과는 사라졌지만, 링크 4가 되면서 공격력이 1000 올라가 어태커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깎는 효과는 공격력 0으로 만들면서, 그 몬스터의 효과를 영구히 무효로 하는 효과로 진화했다. 또한 제외되었을 때 발동하는 상대 몬스터의 효과까지 무효로 하는 지속 효과까지 갖게 되었다.
링크 소재 제약으로 인해 언데드족 덱에서 채용하게 되는 카드로, 풍부한 소생 효과, 자기 재생 효과를 구사하여 소비하는 것이 좋다. 링크 2의 어드벤데드 세이비어는 전투시 묘지 덤핑 능력이 있어 전개에 도움을 준다.
②의 효과는 제외 존에서 발동한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지속효과. 지속적으로 적용되어도 범위가 좁아 시라누이메타파이즈 덱 등 일부 덱을 제외하면 별 영향은 없다. 또한 무효화하는 건 상대 뿐이라 자신이 시라누이 덱을 사용할 경우엔 영향은 없다. 다만 컨트롤 탈취나 죽은 자의 소생 등으로 인해 상대가 이 카드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를 주의할 것.
③의 효과는 묘지에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또는 묘지에서 몬스터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필드의 몬스터 1장의 효과를 무효화하고 그 공격력을 0으로 하는 유발효과. 언데드족은 소생 수단이 풍부하여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도 많으니 발동 조건을 뽑아내기가 쉽다. 1턴에 2번까지 발동 가능하므로,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다면 플레이 견제에 크게 공헌한다. 상대의 소생이나 묘지 발동도 발동 조건이 되며, 이들을 이용한 덱도 많으니 따로 연구 없이도 상대 턴에 발동을 노리기 쉽다.
상황을 타긴 하지만 종족 제약이 있는 링크 4에 걸맞는 성능이라 할 수 있겠다. 다만 공격력 3000을 밑도는데다 직접적인 내성이 없으니 제거 대상이 되기 쉽다. 다행히도 언데드족은 소생 수단이 우수하며, 좌우 링크 마커도 있으니 몇 번이라도 돌려쓰는 게 좋다. 이차원에서의 매장과도 상성이 좋은 종족이라 제외는 커버할 수 있지만, 엑스트라 덱으로 돌아가버리는 바운스만은 반드시 막을 것.
'제외되어있는 상태'라는 텍스트가 등장한 최초 사례로, 설정상 마요괴와 적대하는 시라누이 덱의 메타를 의식하고 만들어진 효과로 보인다.
손에 들고 있는 무기는 려신-시라누이가 지니고 있던 것인데, 설녀가 들고 있어서인지 푸른색으로 물들어 있다.[7] 시라누이의 본가를 습격해 힘을 빼앗아 가고(마요괴괴겁), 우아함의 마요괴-요호와 려신-시라누이의 전투(봉마의 각)과정에서 난입(봉화요려담), 려신의 무기를 빼앗고 진화해 세상을 어둠으로 물들이기 시작한다고 한다.
번역판에서는 "의" 자가 빠졌는데, 마법&함정 존으로 옮겨가면 령사의 빙의 카드군으로 취급될 우려가 있기 때문인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LINK VRAINS PACK 3
LVP3-JP091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 마법 카드



4.1. 마요괴회천


[image]
한글판 명칭
'''마요괴회천'''
일어판 명칭
'''魔妖廻天'''
영어판 명칭
'''Mayakashi Return'''
일반 마법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덱에서 "마요괴회천" 이외의 "마요괴"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묘지로 보낸다.
긴 설명이 필요 없는 우수한 성능의 카드. 같은 이름의 카드를 서치할 수 없는 것이야 당연한 제약으로 넘기고, 마요괴 카드라면 무엇이든 서치할 수 있는데다 필요하다면 어리석은 매장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카드군의 카드를 서치해주는 카드가 자주 등장하는 현황에서도 이렇게 우수한 성능의 카드는 찾기 힘든데, 마요괴 몬스터만을 소환하도록 제약을 거는 카드군 특성상 이런 파격적인 성능의 카드를 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러스트는 배경이 시라누이류 윤회의 진과 같고, 우아함의 마요괴-달희가 소복만 입은 채로 서 있다. 윤회의 진과 달리 배경이 낡고 허름한 게 특징인데, '달희=요호가 시라누이류 본가를 박살낸 게 아니냐'는 소문이 돌았지만 마스터 가이드에서 부정되었다. 염신-시라누이를 강림시켜 처음 마요괴를 봉인한 시기와 마요괴가 다시 부활한 이 시기의 시간대에 상당히 차이가 났던 것 뿐. 정작 본가가 박살난 일러스트는 아래의 마요괴괴겁이 차지했다.
마요괴 덱에서는 필수 카드이나 한통당 한장이 뜰까말까한 극악의 봉입률을 보여준다.

4.2. 마요괴괴겁


[image]
한글판 명칭
'''마요괴괴겁'''
일어판 명칭
'''魔妖壊劫'''
영어판 명칭
'''Mayakashi Winter'''
지속 마법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수비력은 자신 묘지의 "마요괴" 몬스터의 종류 × 100 내린다.
②: 자신 필드의 "마요괴" 몬스터 1장과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한다.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③: 자신 묘지의 이 카드와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마요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다크 네오스톰에서 등장. 괴겁은 코나미식 말장난으로 해후(邂逅, 우연한 만남)와 독음이 같다.
1번효과로 상대 몬스터의 스텟을 깎아버릴 수 있지만, 핵심은 2번과 3번. 2번으로 묘지를 쌓고 어드밴티지를 보충하며, 3번 효과로 연계해 소생 효과로 이을수 있다. 문제는 한턴에 둘 중 하나밖에 발동 못한다는 것. 바로 소생효과로 쓰고싶다면 마요괴변생으로 묻는 수밖에 없다.
일러스트는 시라누이의 본가를 습격한 고드름의 마요괴-설녀의 모습.

4.3. 봉화요려담- 마요괴이야기


[image]
한글판 명칭
'''봉화요려담-마요괴 이야기'''
일어판 명칭
'''逢華妖麗譚-魔妖語'''
영어판 명칭
'''Ghost Meets Girl -A Mayakashi's Manuscript'''
속공 마법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 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언데드족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중에서, 대상 몬스터와 같은 속성의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제외된다.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언데드족 몬스터 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그니션 어썰트에서 등장한 속공 마법 카드. 마요괴 카드군에 속하지만, 마요괴 몬스터들의 속성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몬스터가 전부 화염 속성인 시라누이 쪽에서 더 쓰기 좋다. 다만 시라누이 카드군은 아닌 탓에 시라누이 카드군에서도 쓰기 애매하고, 언데드 월드 주축 덱에서 쓰려고 해도 싱크로 몬스터와 언데드족 몬스터의 속성이 썩 맞지 않아 '엔드 페이즈에 제외된다'는 것을 빼면 디메리트가 없는 소생 카드인데도 좋게 평가하기 어려운 카드.
일러스트는 봉마의 각에서 서로 대립하고 있던 려신-시라누이, 우아함의 마요괴 요호 사이에 고드름의 마요괴 설녀가 나타난 모습. 설녀는 마요괴괴겁의 일러스트처럼 광기어린 표정으로 웃으며 려신-시라누이의 양날 나기나타(원래는 불이 붙어 있다)와 요호의 손에 있던 물건을 얼리고, 요호와 려신이 그걸 보고 놀라고 있다. 고드름의 마요괴에서 영빙의 마요괴로 진화하며 옷이 요호와 비슷해진 걸로 보아 아마 려신의 무기도 강탈하며 요호도 팀킬한 것 같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IGNITION ASSAULT
IGAS-JP063

일본
세계 최초 수록

5. 함정 카드



5.1. 마요괴변생


[image]
한글판 명칭
'''마요괴변생'''
일어판 명칭
'''魔妖変生'''
영어판 명칭
'''Mayakashi Metamorphosis'''
일반 함정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마요괴"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묘지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중에서, "마요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묘지 / 제외 존의 마요괴 몬스터를 소생하는 카드. 마요괴 몬스터라면 소생에 조건도 없으며 일반 함정이라 기습성도 높다. 패를 버리는 코스트가 있지만, 버린 게 마요괴 몬스터라면 그 몬스터를 소생하는 방식으로 코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코스트로 패를 버리는 2:1 교환인 점이 단점. 단순히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목적이라면 몇 가지 밀리는 점이 있기는 해도 코스트가 없는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쪽이 쓰기 편하다. 대신 이 카드는 마요괴 카드라 서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장일단이 있다.
일러스트는 각각 우아함의 마요괴-달희가 우아함의 마요괴-요호로, 날개의 마요괴-파순이 날개의 마요괴-텐구로, 수레 바퀴의 마요괴-인력거꾼이 수레 바퀴의 마요괴-수레귀로, 백골의 마요괴-야차가 백골의 마요괴-아자촉루로 변생(変生)하는 모습이다.

5.2. 마요괴유행


[image]
한글판 명칭
'''마요괴유행'''
일어판 명칭
'''魔妖遊行'''
영어판 명칭
'''Mayakashi Mayhem'''
지속 함정
이 카드의 ①의 효과는 동일 체인 위에서 1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엑스트라 덱 이외에서 언데드족 싱크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탭에도 발동 가능).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골라 적용한다. 이 턴, 자신의 "마요괴유행"의 효과로 같은 효과를 적용할 수 없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덱에서 "마요괴유행" 이외의 "마요괴" 마법/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상대 필드의 공격력이 가장 낮은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상대에게 800 데미지를 준다.

TCG에서 선행 발매된,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처럼 데미지 스텝에도 효과가 적용되는 지속 함정. 언데드족 싱크로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 외에서 특수 소환되면 다양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상위 마요괴들이 파괴되면 하위 단계가 줄줄이 나오는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들을 고안해서 설계한 듯 하나, 비파괴 제거가 판을 치는데다 무덤의 지명자 같은 걸로 미리 차단해버리면 답이 없기에 실용도는 떨어진다. 그나마 능동적으로 쓰려면 봉마의 각 같은 카드와 병행해야 한다.
덱에서 마법 및 함정 세트 / 드로우 / 비대상 제거 / 800 번 데미지 중 원하는 걸 골라 적용할 수 있지만, 한 번 적용한 효과는 그 턴에 다시 사용할 수 없다. 사실상 4가지의 효과에 각각 턴 제약이 걸린 셈. 효과 발동에 제약이 없엇서 그나마 승리 플랜이라고 여길 수라도 있었던 커먼멘탈 월드, 정기를 흡수하는 골탑과는 다르게 턴 제약이 걸려 있다는 점도 채용을 망설이게 만든다.
일러스트는 마을이 어둠에 잠겨 본래의 힘을 찾은 마요괴들이 난동을 부리는 모습. 설정상 설녀가 힘을 빼앗고 각성한 '봉화요려담-마요괴이야기'의 다음 이야기인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uel Overload
DUOV-EN056
울트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6. 참고 카드


언데드족 카드군의 각종 도움을 주는 카드들.
엑스트라 덱이 거의 마요괴 카드로만 구성되어 있고 메인덱 또한 주로 언데드족만 쓰기 때문에 걱정없이 채용할 수 있다.(심지어 나오는 팩도 같다.)
상대 턴에 싱크로 몬스터를 부활시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소생시키게 될 카드는 요호 또는 텐구.
파순을 불러와 초동을 잡는데 도움을 준다.
레벨 2 언데드 튜너이고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를 소생시킬때 제외할 경우 스스로 특수 소환한다.
정규 소환된 특수 소환 몬스터라면 프리 체인으로 되살릴 수 있는 일반 함정. 싱크로 소환 카드군인데다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을 장려하는 마요괴 카드군에 어울린다. 일러스트에서 우아함의 마요괴-요호와 여신-시라누이의 대립을 그리고 있기도 하다.
싱크로 언데드 몬스터를 계속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카드들이다. 패에 들어오기만 하면 이 덱의 특성과 함께 원턴킬은 기본이다. 전자쪽은 서치 카드가 부족하여 다소 힘들지만 후자의 경우 각종 덤핑과 소생 카드들이 풍부하여 서치나 소환이 쉬운 편이다.
  • 명계룡 드래고네크로 - 언데드족 테마면 융합 또는 용의 거울만 투입하면 패 / 필드 또는 묘지의 마요괴 2장을 소재로 공격력 3000의 고타점 몬스터를 간단하게 소환할 수 있다. 마요괴의 싱크로 몬스터는 정규 소환해도 일반 몬스터나 다를 바 없지만,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정규 소환한 마요괴 싱크로 몬스터를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 묘지 소생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7. 관련 문서



[1] 시라누이류 전생의 진을 이용해 요도의 영혼인 도신을 몸에 빙의시켰다고 한다.[2] 설녀는 시라누이류 본가를 습격해 힘을 빼앗은 상태였다. 이 일러스트가 바로 마요괴괴겁.[3] 아자촉루는 원래 레벨이 12를 넘을 수 없다는 OCG 룰상 링크 몬스터로 대체되었다.[4] 이 때문에 상대 턴에 능동적으로 소생이 가능한 카드인 마요괴변생을 비롯해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전선복귀, 봉마의 각이 필수로 채용된다.[5] 소가 끄는 수레[6] 능력의 성능과는 별개로, 공격력을 반으로 만드는 효과는 적을 얼려서 공격력을 반으로 만든다는 설정이라고 한다.[7] 무기를 자세히 보면, 전에는 없던 마요괴 문양이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