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재일기
1. 개요
默齋日記. 조선시대에 저술된 일기로 총 세 종류가 현존하고 있다.
2. 이문건의 묵재일기
2.1. 개요
양아록으로 유명한 묵재(黙齋) 이문건(李文楗)이 매일의 일상을 기록하여 남긴 일기. 41세 때인 1535년 11월부터, 74세로 사망하기 몇달 전인 1567년 2월까지 약 33년 동안 기록했다. 그러나 이문건 본인이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20년이 넘게 귀양살이를 했던 탓에 전부가 온전히 전해지지는 못하고 현재는 17년 8개월 분만 남아 있다. 총 10권. 현재 성주이씨 문중에 소장되어 있다.
양주 노원에서 모친의 시묘살이를 하던 1535년 11월 1일부터 1537년 3월 29일까지는 거우일기(居憂日記), 동부승지에 재직하며 관직 일기 또는 사환 일기를 쓰던 1537년 4월 1일부터 1545년 4월 23일까지는 정원일기, 1545년 9월 성주로 유배를 떠난 뒤의 기록들은 유배일기(流配日記)로 나뉘어진다.
2.2. 의의
우리나라 무속 신앙 중 하나인 아이팔기가 나타난 최초의 문헌이다. 아이팔기는 사주점을 보아 단명할 것으로 밝혀진 아이를 부처나 수양부모, 무당, 귀신 등에게 양자로 들여 액막이를 하고 수명을 늘리는 행위로, 귀신을 멀리하고 대를 잇는 관념이 강했던 유교 사상에 입각한 일반적인 조선 선비의 입장에서 보면 그야말로 하늘이 무너지고 펄쩍 뛸 말도 안되는 행위였지만 손자에게 모든 걸 걸었던 이문건이 손자의 장수를 기원하며 이런 것까지 했던 것.한국민속신앙사전 : 아이팔기
또한 손자가 천연두에 걸린 후 13일 뒤 얼굴의 딱지가 떨어질 즈음에 마마배송굿도 했음을 기록해놓았다.한국민속신앙사전 : 마마배송굿 이렇게 1500년대 당대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던 각종 무속신앙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서경대학교에서는 초서체로 기록된 이문건의 묵재일기를 정자로 바꾸는 탈초 작업을 하던 중 일기 3권의 낱장 속면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인 설공찬전 4천여 자 분량을 발견했다. 그 전까지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 불리던 홍길동전보다 1백여 년 앞선 작품을 찾아 한국 국문학사에 큰 쾌거가 되었다.[1]
기타 그 외에도 1500년대 당시 양반들의 교유관계, 관직생활, 유배생활 등에 대해 분석해 볼 수 있으며, 당시 한국인들의 식생활, 농업, 제사 등 각종 생활상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예를 들어 이문건은 묵재일기에 옹기를 사용한 내역까지 세세히 모두 기록해 놓았다.문화원형백과 : 고문헌 속 옹기(묵재일기)
2.3. 바깥고리
3. 이귀의 묵재일기
조선 중기의 정치가였던 묵재(黙齋) 이귀(李貴)의 일기.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인조반정의 공신인 이귀가 살아생전 매일의 일상을 직접 기록한 일기로, 후대에 아들들이 안방준(安邦俊)에게 가져가 편집을 부탁하였고 이에 안방준이 보기 쉽게 8편으로 정리한 것이다.
대동야승 60권에서 62권까지에 수록되어 있으며, 당대 대표 정치인의 일기인 만큼 17세기 초의 우리나라 정치사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물론 사적인 기록이므로 다른 기록과의 교차검증은 필수이며 무비판적인 수용은 금물이다.[2][3]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한국민족대백과 : 묵재일기 항목을 참조.
4. 김염의 묵재일기
조선 중기의 유학자 묵재(黙齋) 김염(1612~1659)이 1636년부터 1640년까지 약 5년간 기록한 일기. 광산김씨 후조당 종택에서 120년간 대를 이어 내려져온 총 39책의 일기자료 중 하나이다. 총 3책.
광산김씨 예안파 문중에서는 근시재(近始齋) 김해(金垓, 1555∼1593)가 1592년에 향병일기를 저술한 것을 시작으로, 그의 아들 매원(梅園) 김광계가 28년간 매원일기 18책을, 손자 묵재(默齋) 김염이 5년간 묵재일기 3책을, 증손자 과헌(果軒) 김순의가 42년간 과헌일기 6책을 대대로 기록했다. 그 외에도 김해의 종형제인 계암(溪巖) 김령이 39년간 계암일록 8책을, 김염의 동생 김선이 3년간 여온일기 2책을 남겼다.
[1] 이문건은 이외에도 묘비에 한글을 새긴 가장 오래된 자료이자 조선시대 유일한 사례인 '이윤탁 한글 영비(보물 제1524호)'를 세운 사람이기도 하다. 한글에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윤탁은 이문건의 부친. 그런데 이 집안이 이문건을 제외하면 대대로 단명한 집안이였다. 이윤탁도 마흔을 채우고 죽었고, 이문건은 3남 2녀를 두었으나 아들 온을 제외하면 다들 요절했다. 그나마 딸 하나가 스무살까지 살았으나 간질로 사망. 아들 온도 할아버지처럼 딱 마흔살에 아버지보다 10년 일찍 세상을 떠났다. 지극정성으로 기른 손자 수봉도 할아버지에 비하면 44살이란 이른 나이에 죽었다. 이쯤되면 귀양지에서 주변에 사랑하는 이들을 하나둘씩 떠나보내면서도 꿋꿋이 살아남은 이문건이 대단할 지경이다. 이문건은 양아록을 지은 사람이기도 하다.[2] 이전 기록에서는 이귀가 묵재일기에서 이괄에 대해 온건한 진압을 주장했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묵재일기에서 이귀는 "문회 등이 이괄의 반란을 고변했는데, 사람들이 발표하기를 꺼렸다. 그래서 '어떻게 이런 중대한 사안을 그냥 묻어두려 하느냐.'고 말하고 당장 조사를 진행하게 했다.", "국청의 추관들이 '증거가 불충분하니, 무고로 의심된다.'면서 고변자들을 처형하려고 하길래, 그러지 못하도록 막았다.", "국청에서 이괄은 두고 아들만 체포하려 하였다. 그래서 '군권을 거머쥔 이괄이 이를 수긍할 리가 없다. 일단 그의 직위를 갈아낸 다음에 아들을 조사하고 무고함이 밝혀지면 복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아무도 그 말을 듣지 않고 결국 반란이 일어나고 말았다."는 등의 기록을 남겼다.묵재일기(默齋日記)-치역논변(治逆論辨) 실제로 실록에서도 이귀는 이괄의 반란에 대한 고변이 들어오자, 당장 이괄을 잡아들여 국문해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3] 실록의 기록을 보면, 김류는 이귀와는 달리 이괄을 두둔했던 것으로 보인다. 직접적으로 김류가 어떤 태도를 취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양사가 "당시 김류는 이괄을 두둔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간언을 인조에게 올린 기록이 있어, 이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