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5/유닛/비전투 계통/위인 계통
1. 위인
'''위대함을 두려워하지 말라. 어떤 자는 위대하게 태어나고, 어떤 자는 위대함을 성취하며, 어떤 자는 위대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다.'''
- 각 위인별로 위인 포인트가 따로 축적되고, 해당 위인 포인트가 요구량에 도달했을 때 그 위인이 탄생한다. 위대한 장군/제독은 지상/해상 유닛이 전투로 얻는 경험치만큼 독립적으로 그 위인 포인트가 쌓이게 되며 위대한 선지자는 위인 포인트가 아니라 신앙이 요구량에 도달하면 신앙을 소비하면서 등장한다. 산업 시대 이후부터는 위대한 선지자는 자연 출생하지 않고 플레이어가 일정 신앙을 주고 구매하도록 변경된다. 산업 시대 이후는 신앙으로 위인을 '구매' 할 수도 있다.
- 비전투 유닛으로 분류되며 전투 유닛들과 같은 타일에 놓는 것도 가능. 적 유닛이 같은 타일로 들어오면 무조건 소멸당하며, 원거리 공격에는 40의 피해를 입는다. 단, 위대한 선지자는 소멸하지 않고 사로잡힌다. 난전 중 이동력을 잘못 계산하면 장군이나 제독이 허무하게 암살당하기도 한다.[1]
- 도시의 위인 포인트가 채워져 등장하는 여섯 위인은 크게 예술계(위대한 예술가, 위대한 음악가, 위대한 작가)와 과학계(위대한 기술자, 위대한 과학자, 위대한 상인)로 나뉜다. 과학계 위인의 탄생은 해당 계열 모두의 출생 포인트 요구량을 증가시키지만, 예술계의 각 위인은 독립적으로 계산되어, 작가의 탄생이 음악가나 예술가의 요구량을 늘리지 않는다.
- 사회 정책, 불가사의, 문명 특성 등을 통해 무료 위인을 받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무료 위인은 다음 위인의 요구량을 늘리지만, 몇몇 예외도 있다. 장군/제독은 요구량이 늘어나지 않으며, 바빌론/베네치아의 특성으로 받는 과학자/베니스의 상인, 신앙 정책 완성으로 받는 선지자, 신앙으로 구매하는 위인은 다음 요구량을 늘리지 않는다. 또한, 자유 정책 완성, 피사의 탑, 마야의 특성을 통해 무료 위인을 선택하거나 후원 정책 완성으로 무료 위인을 선물받는 경우, 선지자를 받으면 선지자뿐만 아니라 과학계 위인도 다음 요구량이 늘어나 버리므로 주의. 참고 링크(영문)
- 기술자, 과학자, 상인을 소비하여 타일에 위인 시설을 개발할 수 있다. 위인 시설은 해당 분야 산출량에 큰 보너스를 준다. 이후 사회 정책, 기술 발달, 세계의회 의결안 등등을 통해 위인 시설의 보너스가 증폭되기도 한다.
- 위인을 시설로 박아버릴 지 소모시킬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하면 된다. 위대한 과학자의 경우, 아카데미의 턴당 과학 생산량 기댓값은 8이고, 그냥 소모시키면 이전 8턴동안 생산한 과학력을 일시불로 받게 되므로 앞으로 남은 턴 수를 계산해서 알맞게 선택하면 된다. 단, 국립대학, 대학, 연구소 등 %보정 건물이 있으면 감안해서 계산해야 한다. 대부분 초반에는 아카데미를 박는 게 낫고, 후반에 얼마 턴이 남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시불로 과학력을 받아버리는 것이 이득이다. 물론, 다음 연구가 중요한 연구라 한 턴이라도 빨리 완성하는 것이 좋다면 상황에 따라 과학력이 손해더라도 소모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위대한 기술자의 경우 생산량 기댓값은 4(화학 이후 5)이고, 생산 가속 시 표준 기준으로 300 + 인구*30만큼의 생산력을 일시불로 받는다. 따라서 아카데미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생산력의 경우에는 과학과 달리 %보정을 받는 경로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러저러 하게 따지다보면 4가 아니라 5~6정도로 평가할 수도 있다. 단, 불가사의 경쟁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생산력 면에서 손해더라도 한 번에 완성하는 것이 좋다. 상인, 작가도 비슷한 계산을 통해 평가하고 알맞은 선택을 하면 된다.
- 모든 위인이 건설하는 시설은 그 타일의 전략 자원을 개발한다. 전략 자원은 특정 기술을 개발한 후에 보이기 때문에, 이미 위인 시설을 지었는데 그 타일에 전략 자원이 있었을 경우 시설을 다시 갈아 엎어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 때문에 취해진 조치다. 전략 자원은 개발된 것으로 취급되지만 타일에서 개발 보너스는 받을 수 없다. 석유가 밑에 깔렸다면 많이 아쉽다. 다만, 사적지나 숨겨진 사적지가 겹치는 경우에는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2] 사치 자원은 개발되지 않으므로 절대로 그 위에 건설하면 안 되며, 보너스 자원 위에 건설하는 것은 타일 효율을 생각하면 고려할 만한 선택지다.
- 불가사의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을 지으면 위인을 어떤 방식으로든 소모할 때마다 금 100씩, 종교 교리로 유골함을 선택하면 신앙 50씩을 준다.
- 위인도 일종의 유닛이라 유닛 상태로 남아있으면 유지비가 소모된다.
- 위인들이 너무 많아져서 쓸 이름이 없어질 경우 그냥 위대한 상인, 위대한 장군으로 나오게 된다. 이 경우 예술계 위인은 걸작 생성이 불가능하다.
- 등장 문명과 위인들의 원래 국적은 관련이 없다.맵에 한국 문명이 있다고 이순신이 100% 한국에 태어나는 것도 아니고 중국 문명이 있다고 해서 조조나 손자가 100% 중국에 태어나는 건 아니다.넬슨이 프랑스에서 튀어나오거나 주코프가 팬저를 따라다니며 러시아를 패는 광경을 볼 수도 있다.
- 등장 위인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전쟁 관련 위인
이쪽 위인들은 군사 유닛들이 전투 시 얻는 경험치를 별도로 다 합해 계산하며 일정 이상 포인트가 축적되면 등장한다. 첫 장군, 제독은 200점이 쌓이면 등장한다. 특수 유닛이나 종특을 통해 이 포인트가 증폭되기도 한다. 이 포인트는 도시국가에서도 축적되는 것으로 보이며 쉽게 보기는 힘들지만 전쟁을 굉장히 오랫동안 벌인 도시국가에서 도시국가 소속의 위대한 장군이 나올 때가 있다.
2.1. 위대한 장군 (Great General)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비전투 유닛이라 다른 전투 유닛과 겹칠 수 있으며, 반경 2타일 안의 아군 유닛에게 전투력 +15% 보정을 해준다. 중국 장군은 특성에 힘입어 +30%. 초기에는 말을 타고 다니며 산업시대 이후로는 '''성판 군용차량'''을 타고 다닌다.[3] 비전투 유닛이기에 공격을 받으면 정찰병 따위한테도 파괴되므로 주의. 소모시켜 성채를 건설할 수 있는데 일반 노동자가 건설하는 요새의 강화판. 성채 안에 주둔한 유닛은 방어력이 2배가 되고 인접한 적 유닛은 턴이 끝날때 30의 피해를 받는다.위대한 장군은 문명의 최고 전사이며 무기를 만들고 병사를 훈련한다. 대담한 공격을 감행하고 튼튼한 방어 시설과 정교한 함정을 만드는 등 적으로부터 문명을 방어할 전략을 고안해낸다. 그들은 가장 먼저 참호를 뛰쳐나와 병사들을 이끌거나 병사를 이끌고 적군의 선박에 올라탄다. 자신의 넓은 어깨에 사람들의 운명을 짊어지고 전장의 포화 속으로 돌진한다.
플레이어의 군사 유닛이 경험치를 습득할 때마다 위대한 장군 점수가 쌓이고 기준치에 도달하면 출현한다. 다만 영토 바깥에서 야만인과의 전투로는 출현하지 않는다.
신과 왕 확장팩 이후부터는 성채를 건설하면 이전의 위대한 예술가처럼 성채 건설 동시에 주변 영토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성채의 능력은 그대로인데다가 이전의 위대한 예술가의 문화 폭탄과는 달리 영토 바로 밖 한 타일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사용 제한이 없어서 위대한 장군만 있다면 적 영토를 계속 잠식할 수 있다. 다만 외교 패널티는 감수하여야 한다. 성채 건설 후 다른 타일 시설로 바꿔도 유지된다.
심지어 성채를 적 도시에 바로 붙여 지어서 시야를 확보하고 우호영토 보너스를 받아가며 공성을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도시에 주둔한 적 유닛은 턴 시작시마다 피해를 입는다. 이 피해로 파괴할 수는 없지만, 적이 일본이 아닌 이상 주둔 유닛의 화력을 계속 손상시킬 수 있다. 적 영토에 있는 적 성채가 부담스럽다면 일단 아군 유닛으로 진입한 후에 약탈해서 파괴해야 한다.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명예 정책을 완성시키거나 종교를 창시한 상태에서 신앙의 개혁교리인 신의 영광을 채택할시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다만 명예를 완성까지 시킬 경우 전사 규범의 위대한 장군 출현 속도 증가와 군사 혈통의 전투시 경험치 습득률 증가로 조금만 전투를 해도 펑펑 쏟아져 나오는지라 신앙을 주고 장군을 살일은 그다지 없다.
전제정치 선택 이후 2단계 전격전을 찍은 이후에 여론 불행으로 인한 이념 바꾸기 이후에도 모든 효과가 사라지지만, 이미 맵 상에 있는 위대한 장군 이동 +3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있다. 이념이 바뀐 이후로 탄생하는 장군의 이동은 2이다. 버그인 것으로 보인다.
- 이름 목록. 총 44개.
2.2. 위대한 제독 (Great Admiral)
[image]
[image]
[image] [image]
위대한 장군의 해군판으로 주변 해상 유닛에 15%의 전투력 보너스를 주는 것은 장군과 같다.위대한 제독은 드넓은 바다에서 승리할 수 있는 강한 해군을 지휘하는 지도력을 제공합니다. 해군력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전략을 짜고 시행하며 복잡한 전술을 구사하여, 어느 문명에서나 필요한 해안 경비를 제공합니다.
다른 위인들과 달리 시설물을 설치하는 능력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주변 아군 해상 유닛을 즉각 회복시키는 능력이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소모되므로 주의. 오직 물위에 떠있는 유닛만 가능하다. 지상유닛이라도 해상에 위치한 경우는 회복이 되지만, 항공모함에 배치된 공중유닛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해상유닛들은 따로 승급을 찍지 않는 한 우호영해에서 밖에 회복하지 못하므로 나름 유용한 능력이기는 하지만 지속적인 보너스가 아니기에 다른 위인들에 비해서는 좀 밀리는 감이 없지 않다.
재미있는 것은 수송유닛과 다르게 체크되어 수송유닛과 겹쳐놓을 수 있고 그러므로 당연히 수송 중인 장군과 겹쳐놓을 수 있다. 플레이에 따로 크게 도움이 되는 점은 아니지만. 굳이 활용법을 찾자면 해안에 야포놓고 전함놓고 바로 옆에다 장군과 제독을 겹쳐놓는 정도?
또한 천문학을 연구하지 않은 상태여도 대양 항해를 할 수 있는 유닛이기도 하다. 야만인 갤리선, 삼단노선, 갈레아스 역시 대양으로 못 나오므로 먼바다를 유유히 정찰할 수 있지만 천문학 이전엔 제독을 뽑기 어렵다는 게 문제.
한국 유저들이 기대하던 이순신 장군도 등장한다. 문명 5에서 등장하는 몇 안되는 한국 위인.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탐험 정책을 완성시키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다.
한가지 골때리는건 가끔가다 내해에 생성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다행인 것은, 화물선과 마찬가지로 해안도시간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
- 이름 목록은 총 45개.
3. 문화 관련 위인
이쪽 위인들은 예술 기금의 영향으로 등장 포인트에 보너스가 붙으며, 과학 기금의 영향으로 등장 포인트가 감소한다. 멋진 신세계 이전에는 모두 위대한 예술가로 통합되어 있었다. 전쟁 위인, 기술 위인과 달리 시대가 현대 시대로 바뀐 이후에야 포트레이트가 바뀐다. 또한, 위인의 이름으로 나오는 수보다 많은 위인이 게임 중에 탄생한다면 그 위인은 걸작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위대한 예술가의 이름은 총 94명인데, 95번째 예술가부터는 이름이 그냥 위대한 예술가로 나오며 걸작 제작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다.
3.1. 위대한 예술가 (Great Artist)
[image]
[image] [image]
오리지널 시절에는 문화 폭탄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 기능은 위대한 예술가가 위치한 타일 및 주변 타일 모두를 원 주인이 누구냐에 관계없이 자국 영토로 편입시킬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이다. 다만 반드시 자국 영토 내, 혹은 자국 영토에 접한 주인 없는 타일 위에서만 이 능력을 쓸 수 있다. 또한 해상이나 호수같은 물 위에서는 능력 발휘가 안 되며, 산같이 진입 불가능한 지형도 접근할 수 없어서 문화 폭탄을 사용할 수 없다. 주로 국경 바로 옆의 다른 문명의 자원이 있는 타일을 뺏거나 자국 도시에 가까운 국경을 밀어낼 때 사용한다. 다만 역효과로 사이가 굉장히 나빠지는 것은 각오해야 한다. 동맹국이라도 이거 한 방 잘못 쓰면 공개비난까지 할 정도로 악화된다. 도시국가의 경우에도 역시 평판이 대폭 떨어진다. 다른 문명의 도시는 뺏을 수 없으며, 한번 문화 폭탄을 사용하면 10턴 동안 문화 폭탄을 사용할 수 없다. 웬만하면 그냥 갈아서 황금기로 만드는 게 도움이 된다. 문화 폭탄의 경우 가끔 AI들도 유저에게 시전하는데[7] , 당해보면 뭐라 말할 수 없는 치욕스러움과 끝모를 분노를 느끼게 된다.위대한 예술가는 문명의 선지자다. 거장은 그때까지 누구도 본 적 없었던 아름다움, 광채, 형태, 색깔을 가져와 세계를 해석한다. 거장은 조각을 깎고, 그림을 그리고, 사진을 찍고, 영화를 만들면서 인간성을 정의한다. 때때로 거장의 작품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며, 민족에게 깨달음과 발달을 주고, 물질적 부와 권력보다 훨씬 더 위대한 문명을 만든다.
신과 왕 확장팩에서는 문화 폭탄 기능은 사라졌으나, 위인들 중 오직 위대한 예술가만 황금기를 터뜨릴 수 있는데다 반복해서 써도 기간이 줄어들지 않게 되어서 중요성이 대폭 상승했다. 세계 불가사의인 루브르를 완성했을 경우 제공되는 위대한 예술가 2명으로 20턴의 황금기를 얻을 수 있다. '''페르시아는 40턴이다.''' 혹은 랜드마크를 만들어 문화력을 얻을 수 있다.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랜드마크를 건설하는 기능은 삭제되고,[8] 그 대신 위대한 예술가를 소비하여 '걸작 예술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작가, 음악가 등이 포함되어 있던 예술가 계통이 분업으로 갈라져서, 화가로 알려진 이들이 이 유닛으로 취급된다. 황금기를 여는 기능 또한 여전히 존재하지만, 10턴에서 8턴으로 하향되었다.
불가사의 중 예술품 테마 보너스를 가진 것들[9] 도 많고, 산업시대 이후에는 일반 박물관에도 2칸까지 슬롯이 제공되어 수요가 많다. 다른 종류의 걸작도 마찬가지지만 걸작의 숫자는 정해져 있으므로 모든 걸작이 등장한 시점부터 걸작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다. 걸작 예술품은 특히 품귀현상을 보이므로 미리미리 만들어두거나 그냥 유물로 채워넣자.
문화승리를 노리지 않는다면 보통 황금기를 여는데 많이 사용된다. 걸작 예술품이 세상에 다 나오면 이렇게 밖에 못 쓰게 되기도 하고... 다만 강과 바다에서 더 이상 금을 얻을 수 없어진 멋진 신세계부터는 황금기의 파워 자체가 신과 왕 시절보다 많이 떨어져서 극초반의 사용이 꺼려지게 된다. 어지간하면 교역소를 지을 수 있게 되고 야영지에서 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게임 중반부터 사용하도록 하자. 문화 건물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문화를 얻을 수 없어서 어차피 초반에는 걸작 미술품이 필요하다.
미학 정책을 완성시키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다. 현대 이전에는 로브를 걸치고 지팡이를 든 모습이나, 현대 시대 이후에는 오리지널에서는 영화감독 같은 모습으로, 확장판에서는 어째 TV를 든 비디오 아티스트 같은 모습을 하고 나온다.
- 이름 목록. 총 94개.
- 로렌스 알마타데마(Lawrence Alma-Tadema)
- 안토넬로 다 메시나(Antonello da Messina)
- 주세페 아르침볼도(Giuseppe Arcimboldo)
- 카말레딘 베자드(Kamaleddin Behzad)
- 조반니 벨리니(Giovanni Bellini)
- 요제프 보소스(József Borsos)
-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William-Adolphe Bouguereau)
- 대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hel the Elder)
- 소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hel the Younger)
- 카를 브률로프(Karl Bryullov)
- 구스타브 칼리보트(Gustave Caillebotte)
-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Caravaggio)
- 아드리엔 카르펜티어스(Adrien Carpentiers)
- 메리 카사트(Mary Cassatt)
- 폴 세잔(Paul Cézanne)
- 페트루스 크리스투스(Petrus Christus)
- 장 클루에(Jean Clouet)
-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s-Louis David)
- 에드가 드가(Edgar Degas)
- 외젠 들라크루아(Eugène Delacroix)
- 폴 들라로슈(Paul Delaroche)
- 애셔 브라운 뒤랑(Asher Durand)
- 엘 그레코(El Greco)
-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 장 포퀘트(Jean Fouquet)
- 장오노레 프라고나르(Jean-Honoré Fragonard)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Caspar David Friedrich)
- 토머스 게인즈버러(Thomas Gainsborough)
- 폴 고갱(Paul Gauguin)
-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 조지 고워(George Gower)
- 조토 디 본도네(Giotto di Bondone)
-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Goya)
- 아우구스트 하케(August Haake)
- 프란체스코 하예즈(Francesco Hayez)
- 마틴 존슨 히드(Martin Johnson Heade)
- 조지 피터 알렉산더 힐리(George Healy)
- 히라난드(Hiranand)
-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the Younger)
- 윈슬로우 호머(Winslow Homer)
- 황공망(Huang Gongwang)
- 세르게이 이바노프(Sergey Ivanov)
- 초병정(Jiao Bingzhen)
- 카노 마사노부(Kano Masanobu)
- 토라지로 카사이(Torajiro Kasai)
- 카츠시카 호쿠사이(Katsushika Hokusai)
- 바흐람 키르만사시(Bahram Kirmanshahi)
-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 에드먼드 레이튼(Edmund Leighton)
- 에마누엘 로이체(Emanuel Leutze)
-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
- 베르나르도 마르토렐(Bernardo Martorell)
- 미켈란젤로(Michelangelo)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Amedeo Modigliani)
-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 새뮤얼 모스(Samuel Morse)
- 알퐁즈 드 뇌빌(Alphonse de Neuville)
-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 프란스 포스트(Frans Post)
- 치안수안(Qian Xuan)
- 구영(Qiu Ying)
- 라자 라비 바마(Raja Ravi Varma)
- 라파엘로(Raphael)
- 프레데릭 레밍턴(Frederic Remington)
-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Pierre-Auguste Renoir)
- 일리야 레핀(Ilya Repin)
- 렘브란트(Rembrant van Rijn)
- 앙리 루소(Henri Rousseau)
- 페테르 파울 루벤스(Peter Paul Rubens)
- 조르주 쇠라(Georges Seurat)
- 윌리엄 심슨(William Simpson)
- 바르톨로메우스 슈프랑거(Bartholomeus Spranger)
- 길버트 스튜어트(Gilbert Stuart)
- 무하맛 5세(Sultan Muhammad)
- 틴토레토(Tintoretto)
- 티치아노(Titian)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Henri de Toulouse-Lautrec)
- 파올로 우첼로(Paolo Uccello)
- 우타가와 히로시게(Utagawa Hiroshige)
- 우타가와 쿠니요시(Utagawa Kuniyoshi)
- 우타가와 토요쿠니(Toyokuni Utagawa)
- 빅토르 바스네초프(Viktor Vasnetsov)
- 윌렘 반 드 벨데 더 영거(Willem van de Velde the Younger)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Johannes Vermeer)
- 오라스 베르네(Horace Vernet)
-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
- 왕희맹(Wang Ximeng)
-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James Abbott McNeill Whistler)
- 그랜트 우드(Grant DeVolson Wood)
- 염입본(Yan Liben)
- 야나가와 시게노부(Yanagawa Shigenobu)
- 장택단(Zhang Zeduan)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Francisco de Zurbarán)
3.2. 위대한 작가 (Great Writer)
[image]
[image] [image]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 새로이 추가된 위인. 위인을 소비하여 '걸작 문학'을 제작하거나, 정치 논문을 작성하여 대량의 문화를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다.위대한 작가는 글로 인간의 욕망, 통찰, 환상, 약점, 공포, 즐거움을 표현하는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다. 시든 소설이든 동화든, 무대든 화면이든 간에 작가는 자신이 속한 문명과 문화를 정의하는 예술가이다. 어떤 이들은 상상 속 세계에 대한 산문이나 시를 쓰고, 어떤 이들은 철학, 정치, 종교, 과학 분야에서 우리 세계가 어떤지, 그리고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 쓴다. 작가의 글은 시간을 초월해 인간을 하나로 묶어준다.
특히 정치 논문 작성은 문화승리저지용 결전병기. 지난 8턴간의 문화생산량을 단번에 얻어내어 적 관광의 침투를 획기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당연히 문명의 문화생산량이 높을 수록 위력이 증대되므로 초반에는 그냥 걸작 문학으로 원형극장을 채워넣고 옥스포드의 테마 보너스까지는 얻은 뒤부터 사용하는 것을 추천. 문화력 20% 보너스를 받는 황금기에 지르면 당연히 더더욱 좋다. 만국박람회 1등먹고 문화력 +100% 받을 때 작가를 신앙으로 지르면 작가 두 명 갈아서 한 턴에 사회정책 세 개를 찍는 짓도 가능하다. 말하자면 위대한 과학자의 문화력 버전.
문화승리를 핀포인트로 노리고 문학 걸작 테마 보너스가 있는 불가사의(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옥스포드 대학, 글로브 극장)를 짓지 않는 한 걸작을 보관할 곳이 원형극장밖에 없다. 문화 승리를 위해 많은 도시를 필요로 하게 만드는 원흉. 신과 왕에서 멋진 신세계로 건너오면서 가장 달라진 요소로, 소형 국가로 문화승리를 하기 어렵게 되었다. 아시리아의 경우에는 왕립 도서관에 보관이 가능해서 정복형 문화승리에 특화되어 있다.
탐험 정책 완성 시 보이는 숨겨진 사적지를 고고학자로 파내면 일정 확률로 일반적인 랜드마크/유물발굴 선택이 아니라 저서발굴/문화 르네상스 선택 효과가 뜨는데 위대한 작가와 동일한 효과.
미학 정책을 완성시키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다. 현대 이전의 모습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판박이. 산업 시대 이후에는 인상적인 턱수염을 기르고 안경을 낀 모습으로 나온다. 묘하게 어니스트 헤밍웨이를 닮았다.
- 이름 목록. 총 71개.여기서는 작품명만 기재하며 내용은 문명 5/문화와 관광에서 볼수있다.
3.3. 위대한 음악가 (Great Musician)
[image]
[image]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 새로이 추가된 위인. 위인을 소비하여 '걸작 음악'을 제작하거나, 다른 문명의 영토에서 순회공연을 열어 대량의 '관광'을 획득할 수 있다. 문화 승리를 노린다면 걸작을 만들기보단 순회공연하러 가는 게 더 이익인 위인이다. 다만 오직 문화 승리에 특화되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문화 승리를 노리지 않는다면 걸작으로 만들어 얼마간의 문화 포인트라도 버는 게 나은, 어찌보면 아이러니한 위인. 하지만 2013년 가을 패치 이후로는 관광이 높은 상대 문명에 대해서 이런 저런 보너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으므로 문화 승리를 노리는 게 아니더라도 순회공연하러 보낼 가치가 생기게 되었다. 걸작 음악은 오페라 하우스, 방송탑, 브로드웨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에 보관 가능하며, 문명 간 교환이 불가능하다. 테마 보너스를 챙기면 나쁘진 않겠지만 사실상 자국 음악밖에 못 써먹는데다[10] 시대 조건까지 맞추는 골치아픈 짓을 하자니 월드 투어를 보내는 게 더 효율적이다. 순회공연시 얻는 관광 수치는 음악가가 나오는 시점의 턴당 관광 생산력의 10배이기 때문에, 세계 의회의 국제 스포츠 대회 1등버프(20턴동안 관광 +100%)를 받는 동안 뽑아내면 좋고, 브라질이라면 예술가를 신앙으로 구매해 카니발까지 연 다음 뽑아보자. 잘 뽑은 음악가는 관광수치를 만단위로 벌어들일 수 있어 문화승리에 있어서는 핵미사일 같은 위치에 있다. 관광 출력의 20%는 전세계에 스플래시로 퍼지므로 정말로 핵미사일. 저격대상이 너무 멀거나 국경을 절대 열어주지 않아 공연이 여의치 않다면 대충 옆나라 동맹국에서 터뜨려 스플래시 관광을 얻어도 되고, 또는 그 상대국만 무너뜨리면 문화승리가 결정되는 상황이라면 그냥 전쟁을 선포하고 음악가 여럿을 한번에 밀어넣어 마무리하는 방법도 있다.음악은 민족의 영혼이라는 말이 있다. 그게 사실이라면 위대한 음악가는 영혼의 수호자이다. 어떤 형태를 취하든, 어떤 도구를 쓰든, 음악만큼 인간의 감정을 흔드는 예술은 없다. 인류가 최초로 통나무를 박자에 맞춰 두드렸던 시대부터 현대 전자 오케스트라까지, 위대한 작곡가와 연주자는 각 문명의 슬픔과 기쁨을 표현했다.
영국으로 플레이 할때 위대한 음악가로 미국 영토에서 위대한 영국 음악가로 순회 공연을 하면 스팀 도전과제 브리티시 인베이전이 달성된다.
미학 정책을 완성시키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다. 현대 이전의 모습은 전형적인 바로크/고전주의 시대 작곡가. 산업 시대 이후에는 전형적인 락 스타 같은 모습을 하고 나온다.
- 이름 목록. 총 70개.
- 존 애덤스(John Adams)
- 알 킨디(Al-Kindi)
- 알라 라카(Alla Rakha)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 루이스 W. 발라드(Louis Ballard)
- 루트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 벤바다나봉세 왕자(Prince Benbadhanabongse)
- 알반 베르크(Alban Berg)
- 데이비드 블라나시(David Blanasi)
-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 벤저민 브리튼(Benjamin Britten)
- 프린스 버스터(Prince Buster)
- 윌리엄 버드(William Byrd)
- 존 케이지(John Cage)
- 카를로스 차베스(Carlos Chávez)
- 프레데리크 쇼팽(Frédéric Chopin)
- 사예드 다르위시(Sayed Darwish)
-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 기욤 뒤페(Guillaume Dufay)
-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Dvořák)
- 듀크 엘링턴(Duke Ellington)
- 엔헤두안나(Enheduanna)
- 울비 케말 에르킨(Ulvi Cemal Erkin)
- 가스파르 페르난데스(Gaspar Fernandes)
- 조반니 가브리엘리(Giovanni Gabrieli)
- 조지 거슈윈(George Gershwin)
- 카를로 제수알도(Carlo Gesualdo)
- 구이도 다레초(Guido d'Arezzo)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George Handel)
- 요제프 하이든(Franz Josef Haydn)
- 구스타브 홀스트(Gustav Holst)
- 찰스 아이브스(Charles Ives)
- 지강(Ji Kang)
- 오를란도 디 라소(Orlande de Lassus)
- 솔로몬 린다(Solomon Linda)
- 프란츠 리스트(Ferenc Liszt)
- 에메리코 로보 데 메스키타(Emerico Lobo de Mesquita)
-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
- 미라 바이(Meerabai)
- 메소메데스(Mesomedes)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 모데스트 무소륵스키(Modest Mussorgsky)
- R. 카를로스 나카이(R. Carlos Nakai)
- 야코프 오브레히트(Jacob Obrecht)
- 요하네스 오케겜(Johannes Ockeghem)
- 니콜로 파그니니(Niccolò Paganini)
-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 한나 페트로스(Hanna Petros)
- 조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
-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 스티브 라이히(Steve Reich)
- 실베스뜨레 레부엘따스(Silvestre Revueltas)
- 카미유 생상스(Camille Saint Saëns)
- 에스테반 살라스 이 카스트로(Esteban Salas y Castro)
- 에릭 사티(Erik Satie)
- 마누엘 소멜(Manuel Saumell)
- 프란시스코 마누엘 다 실바(Francisco Manuel da Silva)
- 요한 슈트라우스 2세(Johann Strauss II)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 토머스 탤리스(Thomas Tallis)
- 타이잔 히구치(Taizan Higuchi)
- 표트르 차이코프스키(Pyotr Tchaikovsky)
-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 와시토디닝라트(Wasitodiningrat)
- 후고 볼프(Hugo Wolf)
- 야마다 켄교(Yamada Kengyo)
- 야츠하시 켄교(Yatsuhashi Kengyo)
- 지르얍(Ziryab)
4. 기술 관련 위인
이쪽 위인들은 과학 기금의 효과로 보너스를 받으며, 예술 기금의 효과로 페널티를 받는다.
4.1. 위대한 상인 (Great Merchant)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도시국가에 보내서 무역 미션을 통해 상당량의 금액과 우호도를 올리거나, 타일 개발인 세관을 건설하여 턴당 금을 뽑아낼 수 있다. 오리지널 시절에는 수입이 증대되는 후반으로 갈수록 황금기 용도로 쓰는 쪽이 금액상 더 유리했었다.위대한 상인은 문명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물건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음식과 의약품 그리고 사치품을 수입하며 문명이 제작한 물건을 수출한다. 또한, 그들은 거대한 작업에 필요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문명의 부를 창출해낸다.
신과 왕 확장팩 이후로는 위인 중 위대한 예술가만이 황금기 발동을 담당하게 되었으므로 그 쪽으로는 쓸 수 없게 되었다. 도시국가 친화 특성상 그리스, 시암 문명에서 생산하면 쓸모가 높고 후원 정책과의 궁합도 좋다.
받는 금은 기본 300 + 시대당 100씩 늘어난다. 받는 우호도는 30으로 시대 상관없이 동일.
여러모로 다른 위인들에 비해 안습한 성능을 보인다. 그나마 위인 시설을 지을 수 있는 점이 위안인데 이마저도 다른 위인 시설들에 비해 상당히 뒤쳐지는 느낌이다. 사실 다른 위인들에 비해 뒤쳐진다 뿐이지 명색이 위인인만큼 허접하기만 한 성능의 위인은 결코 아니지만, 위대한 상인의 등장 자체가 위대한 기술자 및 위대한 과학자의 등장을 늦춘다는 것이 문제. 때문에 대부분의 유저들은 위인 관리를 실패해 위대한 상인이 튀어나오면 한숨부터 내뱉게 된다. 연구를 수 턴 앞당길 수 있는 과학자, 원더를 즉시 하나 먹을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자가 너무 유용하다보니 생기는 문제다. 차라리 사용 가능한 교역로를 영구적으로 하나 늘리는 식이었으면 금 수입이든 내부 교역로든 충분히 써먹을 수 있었을텐데......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상업 정책을 개방하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다. 산업 시대 이전에는 낙타가 끄는 캐러밴을 이끄는 아랍 상인 같은 이미지인데, 산업 시대 이후에는 양복을 빼 입은 전형적인 기업인 같은 이미지가 된다.
멋진 신세계부터는 금의 수입을 교역에 의존하게 되는데, 세관이 생산하는 금이 교역로의 수익 공식에 포함되므로 이제는 확실히 위인시설다운 위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AI가 주로 이런 방식으로 돈을 버는데, 세관이 박힌 도시를 점령해서 교역소 도배하고 무역도시로 운용하면 좋다.
- 이름 목록. 총 28개. 샤넬, 잡스 같은 기업가뿐만 아니라 스미스, 케인즈, 왕안석, 존 스튜어트 밀[11] 같은 경제학자도 상인으로 분류된다.
4.2. 위대한 과학자 (Great Scientist)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소모시켜서 기술을 얻을 수 있는 위인. 오리지널 때는 문명 4와 달리 연구 포인트가 아니라 그냥 무조건 원하는 기술 하나를 던져주는 식이었다. 단, 현재 개발 가능한/개발하고 있는 기술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기술을 유저가 원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기에 굉장히 쓸모가 많았다. 또한 소모시켜 학술원을 만들어서 연구력 생산을 추가할수도 있다. 문자를 개발하자마자 1명이 제공되고, 위대한 과학자 포인트를 50% 더 얻는 바빌론이 이 방면에서 최강 문명. 후반에 놔둘 자리가 없을 정도로 막 생산된다.위대한 과학자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내며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는 것을 알아내기도 했다. 또한, DNA를 판독해 내고 양자역학을 발명하고 소아마비를 치료하며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다. 그들은 문명을 더 현명하게 만들고 미래를 창조한다.
공짜로 얻을 기술의 과학력 + 빠른 기술 개발로 얻을 이득과 아카데미로 박아서 게임이 끝날 때까지 얻을 과학력 - 아카데미에 배치되는 인구와 타일의 산출량을 비교해서 어떻게 쓸지 결정하는게 좋다. 대략 르네상스-근대 초기 정도까지는 아카데미를 심는 게 더 좋고, 이후에는 모아뒀다가 핵분열이나 세계화 등 핵심 기술 연구에 갈아버리는 게 좋다. 나눠서 쓰기보다는 전쟁이 나서 병기 관련 연구가 필요한 경우 등에 몰아넣는 게 유리.
신과 왕 확장팩에서는 크게 하향되었다. 기술 하나를 무료로 제공하는게 아니라 표준 속도 기준으로 플레이어가 지난 8턴 동안 얻은 순수 과학량[12] 만큼 과학을 추가로 준다. 고로 개발하고 싶은 기술을 미리 선택한 후 과학자를 써야 한다. 덕분에 중세시대까지는 그냥 학술원으로 박는 게 더 나을 때가 많다. 하지만 효율은 떨어졌지만 타이밍 잡아 한번에 몰아쳐서 테크를 왕창 올리면 세계의 패권을 잡을 수 있다는건 여전하다.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합리주의 정책을 완성시키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다. 산업 시대 이전에는 점성술사 내지는 천문학자를 연상시키는 포트레잇인데, 산업 시대 이후에는 매드 사이언티스트를 연상시키는 폭탄 머리를 하고, 증기기관 차량을 타고 다닌다.
- 이름 목록. 총 52개. 기술자와 경계가 애매한 경우 주로 과학 이론을 세운 사람이나 철학가가 이쪽에 포함된다.
4.3. 위대한 기술자 (Great Engineer)
[image]
[image] [image]
[[파일:external/well-of-souls.com/great_engineer2.jpg|width=175] [image]
소모시켜 생산력을 추가해 해당 도시에서 생산중인 건물, 유닛의 생산이 빨라진다.[13] 표준 속도 기준으로 300 + 인구 * 30의 생산력을 제공해서 대부분의 것들을 한 턴만에 생산시켜준다. 당연히 주로 불가사의를 만들 때 애용한다. 또한 위인을 소모시켜 타일에 제조공장 시설을 만들어 생산력을 높이기도 한다. 불가사의를 하나 제공하는 셈이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다. 이집트나 한국처럼 불가사의에 목숨을 걸게 되는 문명에게 특히 유용하다.위대한 기술자는 무슨 일이든지 척척 해내는 사람이다. 기념비와 도로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삶을 향상하는 정보 네트워크를 건설한다. 고층 건물이나 이동 수단을 만드는 새로운 공정을 발명하며 운하를 건설하고 사막에 관개를 조성한다. 그들은 문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유지해준다.
신과 왕 확장팩부터는 질서 정책 채택 이후로 신앙으로 구매 가능. 혹시라도 후반 불가사의 싹쓸이를 하기 위해서는 빠른 질서 채택 이후 모아둔 신앙으로 기술자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다.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전통 정책을 완성시키면 산업시대부터 신앙심으로 구매할 수 있다. 산업 시대 이전에는 고대 지중해권의 석공 같은 모습으로 나오며, 산업 시대 이후에는 양복을 입은 공장장 같은 모습으로 나온다.
아주 간혹 운이 없으면 기술자로 불가사의가 다음 턴에 완성되도록 하고 턴을 넘겼더니, 그 사이 다른 AI문명에서 그 불가사의를 완성시켜 기술자가 의미없이 소모되는 경우가 있다 [14]
체제 이념 3단계 옵션 중 기술자로 우주선 부품 생산을 가능하게 해 주는 옵션이 있기 때문에 과학승리를 노리는 사람들이 택하는 경우가 있다. 사실 그 정도라면 진짜배기로 과학에만 올인한 수준이라 효용성은 괜찮은 편이지만, 그 전까지의 군사력은 책임질 수 없다.
- 이름 목록. 총 37개. 과학자와 경계가 애매한 경우 주로 발명가들이 이쪽에 포함된다.
5. 종교 관련 위인
5.1. 위대한 선지자 (Great Prophet)
[image]
[image]
[image]
신과 왕 확장팩에서 추가된 위인. 종교 관련 위인으로 종교를 창설하거나 강화할 수 있고 도시의 신자들을 죄다 자신의 종교로 개종시키는 강력한 전도 능력이 있다. 또한 도시를 개종시키지 않은 새삥 선지자는 특수 시설인 성지를 설치할 수 있다. 보통 처음 얻는 2명의 선지자는 종교 완성과 강화을 위해 사용하고, 이후 얻는 선지자들은 포교나 성지 건설에 이용하게 된다.위대한 선지자'는 종교적 믿음의 영역을 탐사하며 문명의 윤리 도덕적 결정을 인도하는 데에 독특한 통찰력을 사용합니다. 종교를 창시하고 신의 말을 전파하며 민중에게 신앙심을 갖게 합니다. 가장 가혹한 시기에도 그들은 국가에 희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산업시대 이전에는 신앙이 일정량 쌓이게 되면 쌓인 전부를 소모하며 탄생하며[17] 종교가 최대 수만큼 모두 창시되었으면 종교를 가지지 못한 문명은 선지자가 발생하지 않고 신앙은 계속 쌓인다. 산업시대 이후로는 신앙에 따른 자연탄생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대신 신앙을 소비하여 구매할 수 있다.
전도 가능 횟수도 4번이나 되고 타 종교의 신자를 싹 없애고 자신의 종교로 개종시킬 수 있으며[18] 일반 선교사와는 달리 다른 국가의 영토 안에서도 선교력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종교 퍼뜨리기 매우 좋다. 때문에 종교가 없는 도시에는 선교사를 보내고 선지자는 이미 종교를 벋아들인 도시에 뒤늦게 전도하거나 국경을 안 열어줘서 선교사의 위력이 떨어지는 타 문명에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그 타문명이 자기만의 종교를 창시한 문명이라면 외교 관계 악화는 감수해야 한다.
전도능력이 매우 우수하므로 선지자와의 종교 싸움에서 지고 싶지 않다면 도시에 이단심문관을 배치해서 전도를 막아야 하며, 이미 개종당한 도시는 맞 선지자로 대응하거나 이단심문관으로 청소하고 자신의 선교사로 다시 개종시켜야 한다. 전투 유닛으로 공격해서 납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선전포고로 취급되므로 자기 나라 사람에게 위해를 가했다며 침공을 받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이 외에 도시 근처를 유닛으로 둘러싸 선지자가 얼씬도 못 하게 하는 편법[19] 도 있다.
어떤 사회제도를 선택했던간에 다른 위인과 달리 종교만 있다면 신앙으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위인보다 자주 볼 수도 있다. 최대 4번까지 개종 가능. 젠네 모스크를 지으면 어째서인지 선지자도 종교 전파 횟수+1이 돼서 종교 1번 전파 후 성지를 짓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위인(장군, 상인 등)이 군사 유닛으로 잡으면 아예 사라져버리는 것과 달리, 선지자는 잡아서 우리편으로 만들 수가 있다. 그러나 선교사와 마찬가지로 원래 문명의 종교로만 개종시키므로 개종에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종교전파를 하지 않은 선지자는 그대로 성지로 박을 수 있고 심지어 종교 창시까지 된다.[20] AI가 종교 강화까지 끝내고 선지자를 성도 밖에 내놨을 정도면 다들 종교 하나 쯤 만들었을 시기라 창시 가능한 종교가 없거나 쓰레기 교리만 남게 되므로 대개는 땅에 박아서 성지로 만드는 것이 이득이다. 하지만 이미 종교전파를 사용한 선지자는 성지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쓸모가 없다. 유지비만 낭비되니 그냥 삭제해버리자.[21]
단, 적의 종교가 더 좋다면 일부러 개종하는 경우도 생긴다! 초반엔 별로지만 나중엔 생산력 보너스를 최대 15%나 주는 종교공동체를 갖고 있다거나 하면 고려해볼만한 플레이가 된다. 스팀에는 내 수도에 일부러 남의 종교를 박는 도전과제도 있다.[22] 덧붙여 개종당한 도시에서 뽑는 선교사나 이단심문관의 경우 해당종교를 따라가지만 선지자의 경우에는 어떤 도시에서 뽑더라도 원래 자신이 창시한 종교를 유지하고 있다. 원래의 종교를 되찾고 싶다면 선지자를 뽑아 덧씌우자.
논란 방지를 위해서인지 문명 4 때와는 달리 이름이 따로 나오지 않는데, 예수, 모하메드, 석가모니, 차라투스트라 등의 이름을 붙여 주는 모드도 있으며 후속작에서는 4 때처럼 이름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