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 스트레이독스(애니메이션 1기)
[clearfix]
1. 개요
문호 스트레이독스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1기. 2016년 4월 7일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총 2쿨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송국은 도쿄 MX와 WOWOW다.
2. 방영 전 정보
2015년 8월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됐다. 감독 및 시리즈 구성은 오란고교 호스트부와 STAR DRIVER 빛의 타쿠토에서 호흡을 맞췄던 이가라시 타쿠야와 에노키도 요지가 담당한다.[3] 방영 시기는 2016년 4월. PV영상이 빠르게 공개된 것 때문인지 1월 신작으로 착각하고 있는 팬들도 있었다. OST 담당은 작곡가 이와사키 타쿠. 오프닝곡을 GRANRODEO가 부른다고 한다. 엔딩은 LUCKLIFE가 담당했다.[4]
캐릭터 디자인은 본즈 위주로 활동하는 중견 애니메이터 아라이 노부히로(新井伸浩)가 담당하였다. 아라이와 함께 본즈 애니메이터 칸노 히로키가 공동 총작화감독을 맡고 있었으나 실질적인 메인은 쭉 아라이였고 이후 시리즈에선 아라이는 총작화감독에서 빠지게 되나 계속 참여는 한다. 아라이는 본즈의 전작 관희 챠이카에서 처음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던 사람으로, 이번 문호 스트레이독스에서 팬들의 큰 호응을 받았기 때문에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해봄 직하다.
'''분할 2쿨'''로 방영이 결정되었다.[5] 2분기에 '''12화'''까지 방영 후 13화부터는 4분기에 방영한다.
2.1. PV
- PV 제1탄(1기 1쿨)
- PV 제2탄(1기 1쿨)
- PV 제3탄(1기 2쿨)
- 애니플러스
3. 등장인물
- 1쿨
- 나카지마 아츠시(CV.우에무라 유토)
- 다자이 오사무(CV.미야노 마모루)
- 쿠니키다 돗포(CV.호소야 요시마사)
- 에도가와 란포(CV.카미야 히로시)
- 미야자와 켄지(CV.카구라 히로유키)
- 타니자키 준이치로(CV.토요나가 토시유키)
- 요사노 아키코(CV.시마무라 유)
- 이즈미 쿄카(CV.모로호시 스미레)
- 타니자키 나오미(CV.오미가와 치아키)
- 후쿠자와 유키치(CV.코야마 리키야)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CV.오노 켄쇼)
- 나카하라 츄야(CV.타니야마 키쇼)
- 히구치 이치요(CV.세토 아사미)
- 히로츠 류로(CV.오노 아츠시)
- 타치하라 미치조(CV.하야시 유우)
- 긴(CV.나츠카와 시이나)
- 카지이 모토지로(CV.하타노 와타루)
- 오자키 코요(CV.코시미즈 아미)
- 2쿨
- 나카지마 아츠시(CV.우에무라 유토)
- 다자이 오사무(CV.미야노 마모루)
- 쿠니키다 돗포(CV.호소야 요시마사)
- 에도가와 란포(CV.카미야 히로시)
- 미야자와 켄지(CV.카구라 히로유키)
- 타니자키 준이치로(CV.토요나가 토시유키)
- 요사노 아키코(CV.시마무라 유)
- 이즈미 쿄카(CV.모로호시 스미레)
- 타니자키 나오미(CV.오미가와 치아키)
- 후쿠자와 유키치(CV.코야마 리키야)
- 오다 사쿠노스케(CV.스와베 준이치)
- 사카구치 안고(CV.후쿠야마 준)
- 앙드레 지드(CV.미키 신이치로)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CV.오노 켄쇼)
- 나카하라 츄야(CV.타니야마 키쇼)
- 히구치 이치요(CV.세토 아사미)
- 히로츠 류로(CV.오노 아츠시)
- 타치하라 미치조(CV.하야시 유우)
- 긴(CV.나츠카와 시이나)
- 카지이 모토지로(CV.하타노 와타루)
- 오자키 코요(CV.코시미즈 아미)
- 모리 오가이(CV.미야모토 미츠루)
- 엘리스(CV.아마미야 소라)
- 프랜시스 스콧 키 피츠제럴드(CV.사쿠라이 타카히로)
- 너새니얼 호손(CV.신가키 타루스케)
- 마거릿 미첼(CV.나즈카 카오리)
- 루시 모드 몽고메리(CV.하나자와 카나)
- 존 스타인벡(CV.카와니시 켄고)
-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CV.타케우치 슌스케)
- 유메노 큐사큐(CV.쿠도 하루카)
- 에드거 앨런 포(CV.모리카와 토시유키)
- 루이자 메이 올컷(CV.우에다 히카루)
- 허먼 멜빌(CV.스고 타카유키)
- 마크 트웨인(CV.요시노 히로유키)
4. 주제가
4.1. 1기 1쿨[6]
4.2. 1기 2쿨[9]
5.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에노키도 요지
6. 평가
한마디로 '''원작초월'''.
제작사가 제작사이니만큼[15] 작화와 연출 퀄리티가 굉장하다. 액션신의 수준이 비주얼, 구도, 연출, 생동감을 재창조를 한 수준이다.[16] 그 중 TVA 16화에서 오다 사쿠노스케와 앙드레 지드의 건카타 연출이 압권. 그리고 배경의 경우 요코하마의 풍경을 그대로 구현한 듯한 작화로 그려놓았고, 어두워서 안보이는 곳까지 일일이[17] 그려넣는 장인정신을 보여줬다. 원작에서는 어색한 흐름이나 설명이 부족한 부분도 잘 보충하였다.[18] 특히 암흑시대 편은 화려한 영상미와 뛰어난 액션을 보여주며, 본작에 부정적인 시청자들마저도 잘 만들었다고 할 정도로 평가가 매우 좋다. 주제가와 OST도 전부 호평.
주 타깃층인 여성팬들 사이에서 무척 인기를 끌었고,[19][20] BD/DVD 판매량 역시 8000여장으로 분기 상위권. 2쿨도 1쿨과 마찬가지로 8000장을 넘겼다. 보통 2쿨짜리 애니메이션은 1쿨보다 2쿨 판매량이 대체로 낮게 나오는 편인데, 그걸 생각하면 정말 좋은 성과를 보인 것이다.
7. BD&DVD
8. 기타
- 해외에서는 1기 1쿨과 2쿨을 각각 시즌1, 시즌2로 구분지어 표기했다.
-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동시방영만 되었다. 근대문학 작가들을 소재로 삼아서 그런지 자막의 경우 인명은 전부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을 따랐다.[24] 참고로 애니플러스는 2010년 5월에 푸른 문학 시리즈[25] 를 방영했던 전적이 있으나, 안타깝게도 문스독이 방영될 무렵에는 이미 판권 계약이 만료되어 VOD가 내려간 상태였다.
-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을 통해, 한국과는 달리 현지어로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1] 1기 1화~12화. 참고로 ova로 나온 25화에서도 1쿨 op/ed이 쓰였다.[2] 1기 13화~24화. 오프닝인 Reason Living은 극장판인 DEAD APPLE에서 최종전투시의 삽입곡으로 쓰이기도 했다.[3] 그 때문인지 오란고교 호스트부의 작풍이 드러나기도 하고, 이가라시 타쿠야의 경우 소울 이터의 감독이었던만큼 개그씬이나 이따금 보이는 괴기스러운 앵글(..)에 소울 이터의 느낌이 묻어난다는 반응도 있다.[4] 애니메이션 최유기 RELOAD BLAST에서도 오프닝/엔딩에 똑같은 조합이 적용되었다.[5] 2쿨의 애니플러스 방영 제목이 '문호 스트레이독스 '''2기''''이다보니 2기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보통 1년을 텀으로 방영해야 2기라고 한다.(물론 단편은 2기, 3기가 분기 연속으로 방영되는 경우가 꽤 있다.) 한 분기를 쉬면 '분할 ◯쿨'이라고 하며, 이 경우 가끔씩 한 쿨마다 제목이 바뀌는 경우는 있지만 '''화(話)수 카운팅은 이어서 한다.'''#13화 방영 예고 그리고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차회 예고에는 확실히 '암흑시대' 편 2화가 14화라고 확실히 적혀있다''' (현재는 극장판 제목 공개 이후 사이트가 리뉴얼 되어 유투브 검색으로밖에 볼 수 없음). 물론 분할 시즌제가 아닌데도 화수 카운팅을 이어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한 분기 쉬고 방영하면 분할 시즌으로 분류한다.(단편 제외)[6] 1기 1화~12화. 참고로 ova로 나온 25화에서도 1쿨 op/ed이 쓰였다.[7] 나카하라 츄야의 성우이자 GRANRODEO의 보컬이다.[8] 참고로 배경이 된 장소는 요코하마에 있는 조노하나파크(象の鼻パーク)이다.[9] 1기 13화~24화. 오프닝인 Reason Living은 극장판인 DEAD APPLE에서 최종전투시의 삽입곡으로 쓰이기도 했다.[10] 보컬인 하야시 유우는 작중 타치하라 미치조의 성우이다.[차이점] 아티스트판과 곡 구성이 다른데, 아티스트판에서는 구성이 1. Reason Living/2. Mr. Satisfaction/3. Distance ~風の先へ~/4. Reason Living (off vocal) 이다.[11] 영상을 잘 보면 MV를 요코하마에서 찍었다는 걸 알 수 있다(!)[12] 국내 번역 제목은 애니플러스 방영분의 번역 제목을 기준으로 한다.[13] 원문: 「黒の時代」(흑의 시대).[14] 다만, 2쿨 op&ed이 아닌, 1쿨 op&ed이 나온다.[비공식] 단행본 13권(한정판) 부록 블루레이 ova라 국내에 정식 방영되지 않았다.[15] 애니 제작사 본즈는 액션 신을 잘 만들기로 유명하다.[16] 간단 비교: #1, #2[17] 심지어 카펫 문양까지.[18] 대체로 애니 쪽의 스토리 진행이(특히 만화 에피소드가) 호평받기는 하지만, 소설 쪽 에피소드의 경우 감독의 자체적 해석이 많이 개입되어 원작 쪽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창왕 편에는 원작에 없던 아츠시가 뜬금없이 등장해 어색하다는 평을 받기도 했고, 특히 암흑시대 및 15세편 분량은 다자이의 캐릭터 해석이 원작과는 많이 다르다.[19] 그렇다고 남성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미남 캐릭터들이 줄줄이 등장하는 작품인지라 상대적으로 여성팬의 비중이 큰 편이다. 제작 과정만 해도 본즈 D스튜디오의 프로듀서인 스즈키 마리가 여러모로 이 작품을 밀어줬던 모양이고 대표이사인 미나미 마사히코 역시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언급을 했다.[20] 그런데 의외로 픽시브 등지에서의 2차 장작 비율은 장르 자체의 인기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편이다. 꼭 커플링 관련 작품이 아니더라도 팬아트 수가 굉장히 적은 편.[21] 문호 스트레이 라디오(文豪ストレイラヂヲ), 미야노 마모루(다자이 오사무 役).[22] 참고로 PV에는 길드편이 나왔었다.[23] 참고로 라디오 퍼스널리티는 우에무라 유토. 덕분에 혼자 애니에 안 나와서 소외감 들었다고..[24] 개국 무렵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1기, 회장님은 메이드 사마!, WORKING!! 1기, 엔젤 비트! 등 몇몇 작품들에서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을 사용한 적이 있으나 시청자들로부터 좋지 못한 반응을 얻어서 결국 이후 작품들은 왠만해선 통용 표기법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갔으나 이 작품만큼은 예외적으로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했다. 일본 순수문학을 읽는 느낌이 들어 평가는 나쁘지 않은 편.[25]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이 1~4화에서 다루어졌다. 캐릭터 원안은 데스노트로 유명한 오바타 타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