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대중매체
1. 설명
<빨간머리 앤>의 배경이 위에서 언급된 청교도 종파라서 크리스마스가 언급되지 않는다는 루머가 있지만 작중에서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한 에피소드는 몇 개 있다. 매슈가 앤에게 부풀린 소매 옷을 선물로 준 것이 애본리 학교의 크리스마스 학예회 때고 이후에도 교장으로 일하던 앤이 같은 학교의 여선생을 그린 게이블즈로 초대하여 함께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에피소드가 있다. 그 외에도 몽고메리는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한 몇 개의 단편을 썼고 국내에는 <빨간 머리 앤>의 두 에피소드를 포함한 단편들만 묶어 <빨간 머리 앤과 함께하는 크리스마스>(은행나무아이들, 2001년)로 소개되었다.
<작은 아씨들>에서도 네 자매의 집이 크리스마스를 쇤다.
학교대사전에서는 크리스마스를 '학생들 입장에서 달력에 빨간 색으로 칠해진 평일'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유는 크리스마스에는 '''학교가 방학을 했지만 학원들이 정상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렇기 때문에 시골 학생들에겐 크리스마스가 휴일이지만, 도시 학생들에겐 사실상 평일이나 다름이 없다. 특히 대치동, 목동, 은행사거리, 범어동 등 학원이 몰려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크리스마스는 그저 학원 가는 날로 여겨지며, 수능을 1년 카운트 찍고 있는 고2와 대학의 예체능 계열 학과 입시생에게 크리스마스는 거의 평일 취급을 받는다. 대학교는 무조건 크리스마스가 겨울방학에 들어가 있어 축제의 감흥이 덜하다.
<고수 현대생활백서>는 크리스마스가 평일이 된 한국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 중 '영재'는 '''12월 25일에 입대'''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크리스마스가 평일로 된 것은 대통령이 공문으로 내려 보내 선포한 것이라고 하며 하필 그 해 크리스마스는 월요일이었다. 게다가 소문으로는 크리스마스에 솔로들 대부분이 입대한다고 했을 정도.
푸른거탑 리턴즈에서는 크리스마스 불행 대결 장면이 나왔다. 최 말년은 '''크리스마스에 휴가도 외박도 없이 제설작업만 했다.'''는 불행을 토로했고, 결국 이 대결에서 우승하였다.
포켓몬스터 시리즈에도 크리스마스는 있다. 로켓단의 로이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또가스[1] 를 받았다거나 루주라[2] 가 산타클로스 역으로 등장하는 크리스마스 관련 에피소드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여기에서 로사는 산타클로스를 기다렸다가 루주라가 자신의 인형을 가져간 아픈 추억이 있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산타클로스는 포니타[3] 가 끄는 썰매를 타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3편의 에피소드[4] 가 크리스마스에 방영되었다. 게임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벤트는 하지 않으나, 계절은 다양하게 변했다. 4세대 게임에서는 크리스마스의 계절이 게임에서 구현되는 계절을 따라갔으나[5] , 4계절 시스템이 있는 5세대 게임에서는 크리스마스가 있는 12월 25일을 겨울[6] 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1,5,9월을 봄, 2,6,10월을 여름, 3,7,11월을 가을, 4,8,12월을 겨울로 분류했기 때문이다. 남반구에서 반대로 적용하지 않은 오류가 있기는 했지만.
프리큐어 시리즈에서는 매년 어김없이 크리스마스 관련 에피소드가 나오고 Yes 프리큐어 GoGo에서는 대놓고 산타클로스가 등장한다.
괴도 조커에서는 애니판은 아니지만 만화판에 산타클로스의 손자가 등장하는 등 크리스마스 묘사가 나온다.
동물의 숲 시리즈 역시 크리스마스는 존재하지만, 놀러오세요 동물의 숲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벤트가 통째로 잘려서인지 크리스마스 이벤트를 볼 수 없다.[7] 하지만, 타운으로 놀러가요 동물의 숲에서 크리스마스 이벤트가 부활하고, 이런 크리스마스 이벤트는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으로까지 이어졌다. 해당 시리즈에서는 12월 24일에 '루돌'이라는 캐릭터가 나타난다. 해당 시리즈에서 크리스마스의 계절은 겨울[8] 이라고 한다. 역시 남반구에서는 반대로 적용하지 않은 오류가 있다.
몇몇 게임에는 12월 25일이 구현되지 않는데,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가 그 예다.[9] 하지만 풋볼 매니저[10] 나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시리즈, 크리스 소이어의 로코모션은 12월 25일이 구현되어 있다. 컴투스 프로야구와 9이닝 시리즈에서도 12월 25일이 야구 비시즌이라는 이유로 없고[11] , 플래닛 코스터의 경우도 12월 25일은 구현되지 않는다. 다만, 플래닛 코스터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플랜코'에는 크리스마스에 해당하는 단어인 Creoshama가 존재한다.
포켓몬 GO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벤트로 '''산타모자 피카츄'''와 딜리버드가 나오며 얼음 타입 포켓몬들이 평소보다 많이 나온다.[12] 한국에서는 2017년 이후로 볼 수 있다. 포켓몬 GO를 만든 회사가 미국에 있다 보니 '홀리데이 시즌'이라고 나오며 '''크리스마스 전 주 수요일부터 크리스마스 당일과 새해 첫날을 지나 1월 2일까지 이어진다.''' 역시나 남반구에서는 반대로 적용하지 않은 오류가 있다.
프린세스 메이커에서는 아예 평일로 처리된다.
PSYCHO-PASS에서는 크리스마스와 관련된 풍속이 사라졌다.[13]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에서는 '난방절(Hearth's Warming)'이 현실의 크리스마스에 대응된다.
DDR A는 2018년 12월 25일 가동 1000일을 맞이했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시리즈에서는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한정으로 락으로 어레인지한 크리스마스 캐럴이 로비 BGM으로 나온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은 <기쁘다 구주 오셨네>가 나왔다. 지금은 섭종한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도 마찬가지로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나 <징글벨>,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행진곡> 등이 로비 배경음으로 나왔다. 특히 2편의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는 카스2 유저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Warhammer 40,000의 인류제국에서는 생귀니우스를 기리는 축일인 생귀날라(Sanguinala)가 현실의 크리스마스에 대응된다.
1.1. 크리스마스가 배경인 작품
- 101마리 달마시안 (결말 부분 한정)
- 나 홀로 집에: 크리스마스 영화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영화로 잘 알려져있기에 어느새 매년 크리스마스가 되면 꼭 한번씩은 TV에서 나온다.
- 다이하드
- 라라랜드 (일부)
- 러브 액츄얼리
- 멋진 인생: 영미권에서 가장 사랑받는 크리스마스 영화.
- 샤잠!
- 성냥팔이 소녀
- 크리스마스의 악몽
- 크리스마스 캐럴: 오늘날의 크리스마스의 이미지를 만든 소설이다.
- 폴라 익스프레스
[1] 더빙판 기준. 크리스마스가 공휴일이 아닌 일본에서는 '연말 선물'이라고 나온다. 같이 나왔던 로사의 아보는 생일 선물로 나온다. 물론 그 또가스는 나중에 또도가스로 진화했고, AG 6화 이후로는 아예 나오지 않는다.[2] 당시에는 딜리버드가 없었으므로 비슷한 포지션의 루주라가 산타 역을 맡은 것이다. 만약 크리스마스 에피소드가 다시 나온다면 루주라는 딜리버드에게 산타 포켓몬 역할을 넘길 것으로 추측된다.[3] 당시에는 순록 포켓몬인 노라키가 없었기 때문에 비슷한 포지션의 포니타로 대체한 것이다. 만약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한 에피소드가 다시 나온다면 2세대 이후 포켓몬이 등장했으므로 포니타는 노라키에게 순록 포켓몬 역할을 넘겨 주고 노라키가 끄는 썰매로 바뀌게 될 가능성이 높다. 덤으로 루주라는 딜리버드에게 산타 포켓몬 역할을 넘길 것으로 추측된다.[4] AG 1편, DP 1편, XY 1편. 무인편, BW, 썬문은 하나도 없다.[5] DP는 여름, Pt는 겨울, HGSS는 가을.[6] 해당 게임 시리즈에서 동방교회의 크리스마스인 1월 7일은 봄.[7] 이에 관해서는 용량 문제라는 설이 유력하다. 놀동숲 자체의 게임 용량은 32MB인데, 데이터 마이닝을 하면 더미 데이터 없이 31MB 정도를 썼기 때문에 크리스마스 이벤트를 넣을 공간이 없었다고 한다.[8] 단, 튀동숲의 남쪽 섬은 실제 시간과는 상관없이 항상 여름이므로 크리스마스 역시 여름이다.[9] 해당 게임은 3월부터 10월까지만을 구현하고 있으며, 게임 관계자들이 '''겨울은 놀이공원이 개장하기엔 너무 춥다.'''고 해서 11~2월을 통째로 빼는 바람에 크리스마스는 이 게임에서 '없는 날'이 되었다. 다른 이유로는 크리스 소이어가 거주하는 나라인 영국에서 야외 놀이공원은 3월부터 10월까지만 개장하도록 돼 있었고 11월부터 2월까지는 시설 점검 및 리뉴얼을 위해 놀이공원의 문을 닫았던 탓에 이를 반영하느라 크리스마스가 '''없는 날'''이 되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를 플레이하고 있다면 기간 제한이 있는 시나리오를 진행할 때 유의할 것.[10] 12월 25일은 당연히 구현되어 있고, 2010 버전까지는 OFC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를 홀수 해 크리스마스에 1~2경기 정도 하는 방식으로 크리스마스 경기가 구현되었다. 다만, 리그나 국내 컵 경기는 크리스마스를 피해서 경기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크리스마스 경기를 보고 싶다면 오세아니아 국가들로 플레이하면 된다. 2013 버전 기준으로 새로운 리그를 만들 때 '크리스마스에 경기 일정 배정 가능 여부'를 묻는 항목이 추가되어 이런 경우는 더 확장되었다. 이렇게 크리스마스에 경기 일정 배정 가능 여부에 체크한 리그를 선택했을 경우 크리스마스에도 리그 경기를 볼 수 있다. 유저 로스터 중에는 크리스마스에 게임이 시작하도록 만든 버전도 있다.[11] 이 경우는 게임 날짜로만 없지 선수 생일에는 12월 25일도 나온다. 이재주 (1973년 12월 25일생)가 대표적.[12] 2018년에는 스콜피 계열과 동미러 계열, 삐딱구리 계열, 눈쓰개 계열도 처음 등장했다.[13] 크리스마스 외에도 다른 종교, 심지어 신토 행사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