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연재/선수 경력

 



[clearfix]

1. 2010년


2010년 2월 모스크바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후,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자신의 존재를 알렸다.
여담으로 본인은 아시안 게임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하면 리듬체조를 포기할 생각이었다고 한다. 훈련비를 포함해서 매번 수천만원의 비용이 발생해 이를 계속 이어나가기 힘들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아시안 게임 결선 영상을 보면 눈빛이 살아있었다. 줄에서 약간의 실수가 있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눈에 띄는 큰 실수 없이 마무리 했다. 또한 이 메달로 한국에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2. 2011년


2011년 9월 프랑스에서 열린 세계선수권에서 개인종합 11위를 기록하여 신수지에 이어 2번째로 올림픽 개인종목 출전권을 따낸 선수가 되었다.

3. 2012년


2012년 4월 페사로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네 종목 모두 결선에 진출하였다.

3.1. 2012 런던 올림픽


[image]
2012 런던 올림픽
개인종합 예선에서 총점 110.300을 기록해 6위로 결선에 진출하였다. 이는 한국 리듬체조 역사상 최초의 결선 진출이다.[1] 다음 날 열린 결선에서 총점 111.475를 기록해 5위에 올랐다.

사실 예브게니야 카나예바다리아 드미트리예바가 1위와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실질적인 경기는 나머지 선수들과 3위를 다투는 양상이었기 때문에 선수 본인은 부담 없이 경기를 마치겠다는 입장이어서 나름 메달을 기대하였다. 곤봉과 리본을 제외한 나머지 두 종목에서 클린 경기를 펼치며 선전하여 2번째 로테이션까지는 3위를 기록하며 우리나라 리듬체조 최초의 메달 획득을 기대하게 했으나, 마지막 곤봉에서의 실수로 최종 5위를 기록하였다.

4. 2013년


시즌 첫 대회로 모스크바 그랑프리에 참가해 개인종합 10위 및 곤봉 3위, 리본 6위를 차지했다.
시즌 첫 월드컵 대회였던 리스본 월드컵에서 개인종합 9위 및 후프 4위, 공 3위, 리본 7위에 올랐다.

4월 페사로 월드컵에서 종합 9위, 곤봉 5위, 리본 2위에 올랐다. 후프와 공은 각각 13위와 17위로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소피아 월드컵에서 개인종합 4위를 기록하고 4종목 모두 결선에 진출해 후프 공동 3위, 공 8위, 곤봉 7위, 리본 공동 5위를 기록했다. 개인 종합에서 4종목 모두 17점대를 기록하고, 특히 후프는 17.800점으로 1위를 기록했지만, 결선에서는 잦은 실수로 결국 후프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민스크 월드컵에서 개인종합 4위 및 후프 2위, 볼 4위, 곤봉 공동 2위, 리본 4위를 기록했다.
2013년 6월 7일 아시아선수권 개인종합 1위 및 후프 1위, 공 4위, 곤봉 1위, 리본 2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한국 리듬체조 최초로 국제대회 개인 종합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되었다. 손연재가 국제대회에서 개인 종합 메달을 딴 것은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동메달 이후로 3년만이며, 한국 선수의 아시아선수권 메달은 2009년 신수지의 동메달 이후 2번째이다.
7월 2013 카잔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공 2위, 곤봉 5위, 리본 7위를 기록했다.
8월 상트페테르부르크 월드컵에서 개인종합 4위, 후프 3위, 공 4위, 곤봉 4위, 리본 3위에 올랐다.
9월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열린 세계선수권에서 예선 6위로 개인종합 결선에 진출해 개인종합 5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후프 6위, 공 7위, 곤봉 6위에 올랐다. 한가지 흥미로운 일화가 있다면 이 날 마문의 실수로 인해 개인종합에서 나가 떨어지면서 1위부터 5위까지 전부 다른 국적의 선수들이 차지하게 되었다.
10월 20일에 진행되었던 전국체전 일반부에서 1위에 오르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5. 2014년


3월 1일, 모스크바 그랑프리로 새 시즌을 시작해 개인종합 6위 및 후프 3위, 공 4위, 곤봉 3위, 리본 3위에 올랐다. 3월 9일에는 러시아 주니어 대회인 스프링 컵에 비경쟁 자격으로 출전했는데, 주니어 선수들의 멘토 자격으로 나간 것이라고 한다.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리는 가즈프롬 월드컵에 출전했다. 총점 68.915로 개인종합 7위에 올랐다. 곤봉에서는 여러 차례 실수가 나오며 18위로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후프 5위, 공 8위, 리본 2위로 마감했다.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리는 리스본 월드컵에 출전, '''한국인 처음으로 개인종합, 곤봉, 공, 리본에서 1위'''에 올랐다.
4월 11일부터 14일까지 이탈리아 페사로에서 열리는 페사로 월드컵에 출전하여 곤봉과 공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곤봉은 18.000점, 공은 17.850점을 기록하고 개인종합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8월 던디 월드컵에서 개인종합, 공, 후프에서 동메달을 차지했다.
'''9월 세계선수권에서 개인종합 4위[2]를 기록'''하고 종목별 결선에서는 후프 3위, 곤봉 4위, 공과 리본 5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선에서 안나 리잣디노바를 제치고 후프 동메달을 따냈는데, 이에 대해서도 말이 많았다. 리잣디노바가 후프에서 자잘한 실수를 했고 손연재가 실수 없이 루틴을 마무리한 건 사실이지만, 리잣디노바는 '솔직히 모욕감을 느꼈다'라고 답했고, 이리나 데리우기나는 이에 더해 '한국의 소녀와는 친하지만 그래도 리잣디노바를 제칠 수준이 아니다. 그녀는 아직 기술적으로 완성되어 있지 않다'라고 말하며 '선수라기보단 그저 광고 상품이다'라고 독설을 날렸다. 이미 실권했는 데다 워낙 망언과 실언을 많이 한 탓에 국내 언론도 데리우기나의 독설을 우습게 여기고 넘어갔지만,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하다는 평가는 마냥 가볍게 넘어갈 정도는 아닐듯 하다. 2014년이 유독 손연재의 경기 기량과 대비해서 실적이 높았다는 오버스코어 논란이 이어졌다.
[image]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담으로 아시안 게임의 리듬체조 입장권이 A급으로 배정되었는데, 이는 표 값이 비싸다는 말이다. 보통 5,000원~20,000원 정도였는데 리듬체조는 40,000원이었다. 한 마디로 손연재를 위한 이벤트라고 봐도 좋다. 물론 공무원 단체관람[3]은 인천 아시안 게임 리듬체조엔 없었다. '''단체전에서는 김윤희, 이나경, 이다애와 함께 은메달'''을 땄다.

6. 2015년


'''7월 12일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개인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후프와 공에서 1위, 곤봉과 리본에서 2위에 올랐다. 이에 대해서는 홈버프와 오버스코어에 관한 말이 많았고, 본인 스스로가 '습기가 많아서 리본이 꼬였다'는 인터뷰로 리본 매듭을 인정했다. 하지만 리본에 꼬인 매듭은 무려 4개였고, 다른 선수들은 이런 실수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선 명백히 손연재 본인의 기량 부족이다.
2015 세계선수권에서 개인종합 11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곤봉 8위, 리본과 후프 5위, 공 4위를 차지했다.

7. 2016년


[image]
[image]
2016 모스크바 그랑프리
2016 에스포 월드컵
시즌 첫 대회로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린 모스크바 그랑프리에서 개인종합 2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공 3위, 리본 3위, 후프 2위, 곤봉 4위에 올랐다.

2월 25일부터 27일까지 열린 핀란드 에스포 월드컵에서 총점 73.550점으로 개인종합 2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후프 3위, 공 1위, 리본 2위, 곤봉에서는 댄스 스텝 중 수구를 떨어뜨리는 실수로 인해 7위를 기록했다.
3월 17일부터 20일까지 열린 포르투갈 리스본 월드컵에서 리본에서의 실수로 인해 네타 리브킨에게 점수를 역전당하며 총점 72.300점으로 개인종합 4위를 기록했다. 종목별 결선에서는 후프 3위, 공 2위, 곤봉 2위, 리본에서는 예선에서 실수를 범하며, 다른 3명의 선수와 공동 7위에 올라서 8명이 출전하는 결선 예비출전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끝내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

7.1.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image]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16년 8월 19일 치뤄진 개인종합 예선 5위로 결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금메달과 은메달은 야나 쿠드랍체바마르가리타 마문이 가져갈 것이 거의 확실한 상황이었고, 결국 지난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3위로 메달을 획득하느냐 마느냐의 싸움이었다. 월드컵 대회와는 확연하게 다른 올림픽만의 엄격한 채점 성향이 메달을 가를 결정적인 변수로 떠올랐다. 결국 결선에서는 경기 전 예상과 거의 비슷하게 마르가리타 마문, 야나 쿠드랍체바, 안나 리잣디노바가 1-2-3위를 차지하며 포디움에 올랐고, 손연재는 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지만 지난 올림픽보다 한 단계 위인 종합 4위라는 성적을 거두었다.
사실 불공정한 판정이 있는 건 분명 사실이었다. 어차피 금메달과 은메달은 마문과 쿠드랍체바가 가져가는 것이 기정사실화된 상태였고 리잣디노바, 스타니우타, 손연재가 동메달을 두고 경쟁을 벌였으나, 유독 리잣디노바와 스타니우타에게 낮은 점수가 주어졌다. 심지어 스타니우타는 공과 후프에서 모두 재심을 요청했을 정도였다. 리잣디노바는 침착하게 곤봉과 리본을 마무리짓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경기가 끝나고 팬들 사이에선 '무슨 현미경을 끼고 채점했냐'는 비아냥이 나올 정도로 점수가 짰다. 스타니우타는 긴장을 이기지 못하고 곤봉에서 무너져 2번이나 매트에 수구를 떨어트렸다. 리본은 다시 정신을 차리고 마무리했으나 말도 안 되게 낮은 점수를 받으며 5위로 마감했다. 국내 해설에선 '스타니우타가 손연재보다 난도가 낮다'고 설명했다. 물론 루틴 자체가 스타니우타는 난도 계획이 채 10점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 점수를 제대로 받고 있는지 의심될 정도로 낮은 점수를 받는 반면[4], 손연재는 충분히 후하게 점수를 받고 있어 판정이 불공평하다는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손연재는 포에테 피봇 10회전을 계획했는데, 자세히 보면 중간에 hop을 하여 자리 이동을 해서 원칙적으로는 10회전 치에 해당되는 난도 점수를 받을 수가 없다(거의 2점을 차지한다). 그러나 아무리 계산해도 10회전 치의 포에테 난도를 인정받지 않는다면, 실제 경기에서 받은 손연재의 난도 점수가 나오질 않는다. 손연재도 쓸데없는 비난을 피하고 스타니우타도 억울함을 면하려면 심판진이 경기 후 채점 과정을 공개하면 되지만, 리듬체조는 채점표가 공개되고 있지 않는 종목이다. 그러니 판정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리듬체조를 올림픽에서 빼자는 주장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1] 2008 베이징 올림픽신수지는 예선 12위로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2] 한국 리듬체조 역사상 세계선수권 개인종합 최고 순위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오버스코어 논란이 있었다.[3] 런던 올림픽 당시에도 있었고, 전 세계 어디든 있는 거다.[4] 구사하는 기술 자체에서 스타니우타가 손연재보다 기량이 더 좋다. 스타니우타가 A+~A 수준의 기술을 보여준다면 손연재는 A~B+ 수준을 보여주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