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여객(부산)

 



'''시민여객자동차 주식회사'''
'''市民旅客自動車'''
'''CI MIN PASSENSER CO., LTD.'''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77년 4월 1일
대표
이민재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남구 백운포로 40 (용호동)
전화번호
051-622-7455
차량번호
부산 70자 33××
면허대수
정규 78대, 예비 5대
1. 개요
2. 차고지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3. 면허 체계
4. 차량운용대수
5. 운행 노선
6. 폐선, 철수 또는 타 업체로 이관된 노선
7. 현재 보유차량
8. 과거 보유차량


1. 개요


  • 용호동과 도심을 잇는 버스 노선들을 운영하며 용호동의 교통을 책임지고 있다.
  • 부산시에서 최초로 초저상버스(BS120CN)를 출고한 회사이며 이는 수도권,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최초이다.[1]
  • 부산에서 차량 도입에 대해서는 가장 중립적인 회사다. 현대자동차자일대우상용차의 버스를 혼용하고 있으며, 2008년 전국 최초로 BS106 F/L 디젤을 출고한 회사이기도 하며,[2][3] 부산 대우 일반버스 중 1대 있는 자동변속기를 운행하는 회사이기도 하다.(BS106 크롬형) 그리고 대우 NEW BS버전을 부산 최초로 뽑은 회사이다. 또한 부산에서 최초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를 출고했다.[4] 2014년까지 한동안 대우저상만 출고하다가, 2015년에는 현대저상 3대를 출고했다.[5] 하지만 2016년 이후로는 자일대우상용차 차량만 뽑는걸 보아 대우차로 전향한 모양인듯 보였으나 2018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 차량을 뽑았다. 그리고 부산 최초로 개선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을 뽑았다. 2019년 9월 말, 부산 최초 및 전국에서 4번째로 MAN 라이온스 시티 차량 3대를 출고했다.[6]
  • 업체규모가 큰 편은 아니지만 간판 노선을 따로 가릴 필요 없이, 보유노선들이 하나같이 알짜배기들이고 22번을 제외하면 부산 운송수지 10위 내에 랭크되는 노선들이다.[7] 운송수입 통계를 보면 2017년 5월 기준으로 24번은 유일하게 70만원대를 돌파하여 흑자 1위 노선이 되었고, 20번24번보다 약 1만원 적은 대당 69만원을 벌고 있으나 승객수는 24번보다 더 많으며, 27번도 10위 안에 들고 흑자를 기록할 정도로 상당하다. 반면에 22번의 경은 자사노선들 중 유일하게 적자를 보고 있긴 하나 부산 전체에서 보면 그렇게 심한 수준은 아니다. 2017년 5월 기준으로 24번은 1위, 20번은 2위, 27번은 10위를 기록하였고 22번도 50만원을 넘긴 약 54만원이다.[8]
  • 과거엔 불친절과 난폭운전이 만연한 때도 있었지만 현재는 친절, 안전운행으로 많이 부드러워졌다. 아직까지 난폭운전 하시는 기사들이 일부 있긴하나 안전운행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 삼신교통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차량관리를 잘 하는 편이며, 특히 구내에 매점이 있는 것이 이 회사의 특징이다.
  • 다른 업체들과는 달리, 이 업체는 시속 50km/h로 리밋이 걸려있다.
  • 27번을 제외하고 과거에 실제 경로와 다른 행선판 중간경유지 표기 때문에 많은 지적을 받았다. 20번의 경우에는 연산동으로 표기되었는데, 20번 노선에 해당되는 연산동은 2, 3, 6동이 전부다. 연동시장이 있는 1동, 연산교차로의 4동, 부산시청의 5동, 토곡이라는 지명까지 붙어있는 8~9동은 가지 않으므로 상당히 애매한 표기라는 지적과 동시에 차라리 배산역이나 부산지방병무청 혹은 병무청으로 변경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아직도 고쳐지지는 않았다. 그리고 22번은 부산역을 가지 않는데도 버젓히 부산역으로 표기, 24번은 전포동을 하행 구간만 경유하는데도[9] 행선판에 중간 경유지가 아예 전포동으로 오표기 된 상태로 버젓히 운행되었던 사실이 있었다. 현재 22번은 성북고개 연장으로 중간 경유지 표기가 초량으로 바뀌었지만, 20번은 신도색 차량 출고 시에도 중간경유지를 여전히 연산동으로 표기하고 있다. 참고로 24번의 경은 신도색 차량을 출고할 즈음 한때 문현동으로 정상 변경했으나, 얼마 안지나 다시 전포동 표기를 하고 있다.
  • 이 회사 노선 전부 부경대대연캠퍼스 정문 앞을 경유한다.
  • 남구 시내버스 업체들 중 우암동, 감만동과 관련이 없는 유일한 시내버스 회사다.

2. 차고지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 228 - 차고지 일부를 백운포로 옮길 때까지 사용했던 차고지이다. 현재는 하나로마트가 들어서 있다.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 269 - 차고지를 백운포로 완전히 옮길 때까지 사용했던 차고지이다. 최근 공사에 들어갔다가 완공되어 현재 성모병원 직원주차장으로 사용중이다.

3. 면허 체계


  • 부산 703301 ~ 3391[10]
  • [11]
  • 구 번호판 : 부산 521##

4.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20번: 21대
    • 22번: 12대
    • 24번: 23대
    • 27번: 22대
    • 예비차: 5대
    • 도합: 83대

5. 운행 노선



6. 폐선, 철수 또는 타 업체로 이관된 노선


  • 부산 버스 14 (용호동 ↔ 서면 ↔ 서부터미널) ※ 오성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127 (대연6동(태평양아파트) ↔ 부산역 ↔ 충무동)
  • 부산 버스 131 (용호동 ↔ 시청 ↔ 부산백화점[12])[13]

7. 현재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7.2. 자일상용차



7.3. MAN



7.4. 에디슨모터스



8. 과거 보유차량



8.1. 자일상용차



8.2. 현대자동차



[1] 차량번호는 3336호였고, 해당 차량은 2013년 12월에 NEW BS110으로 대차되어 24번에서 운행중이다.[2] 그러나 이 차량들의 평이 좋지 않았는지 2014년에 NEW BS106, 그리고 2015년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조기대차되었다.[3] BS106 F/L 차량은 화신여객이 먼저 출고했지만, 그 업체에서는 BS106 F/L NGV 차량을 출고했다.[4] 디젤 모델은 일신여객에서 부산 최초로 출고했다.[5] 22번을 제외한 3개 노선에 각각 한대씩 투입 되었다.[6] 역시 22번을 제외한 3개 노선에 각각 1대씩 투입했다. 이후 시운전을 거쳐 10월 22일부터 본 노선에 투입되었다.[7] 삼화PTS만큼은 아니지만 이 업체도 일신여객처럼 모든 노선의 운송수입이 50만원을 가볍게 넘긴다.[8] 22번도 남구국민체육센터, 수정산복도로의 고정수요로 인해 항상 50만원 이상의 수입을 기록한다. 의외로 흑자를 기록하는 셈이다.[9] 그것도 동성고교, 전포고개가 있는 곳으로 간게 아닌 전포역으로 운행되었기에 더욱 말이 많았고, 참고로 전포역은 종점인 서면을 지나야 갈수있다.[10] 시민여객 주 면허. 3300은 세진여객 29번에서 사용. 시민여객에서 양도되지 않고 처음부터 세진여객 면허였다.[11] 2300호 단위 전반부는 세진여객.[12] 부산백화점은 당시 사직동 구.고속버스터미널을 말한다. 현재 여기에는 미남역, 반도보라 스카이뷰가 위치해 있다.[13] 해당 노선은 2007년 5월 15일부터 부일여객에서 잠시 운행하다가, 2008년 2월 15일부터 화신여객에서 운행하고 있다. 131번 철수 이후로 시민여객은 장거리 노선 운행이나, 공동배차를 상당히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 버스 39, 부산 버스 1005(용호동 종점시절)의 공동배차를 거부한 적이 있었고, 비록 무산되긴 했지만 좌석버스 가칭 303번(용호동~백양터널~신만덕) 노선을 단독배차하려 했지만 시민여객 측에서 거절하였다고 한다.[14] 유로4 엔진 시제차량도 있었다. 차호는 335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