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두섭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심두섭'''
'''沈斗燮'''

<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894년 10월 24일
경상남도 진주군 진주읍 비봉동
<color=#fff> '''사망'''
1975년 5월 30일
부산광역시
<color=#fff>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color=#fff>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심두섭은 1894년 10월 24일 경상남도 진주군 진주읍 비봉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전국적으로 3.1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이강우·김재화(金在華)·강달영(姜達永)·박진환·박용근·강상호 등과 만나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3월 10일경 독립선언서와 격문을 제작하여 비밀리에 배부하였다.
이 사실을 눈치챈 일본군경은 삼엄한 경계를 하며 각 학교에 임시 휴교령을 내리고 타지방에 사는 학생들에게는 여비까지 주어가며 귀향시키는 한편, 일본인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들을 정탐하도록 지시하였다. 이같은 상황하에서도 그는 다른 동지들과 함께 조직을 확대시켜 나가면서, 광림학교(光林學校)의 악대원으로 활동하다가 졸업한 천명옥(千命玉)·박성오(朴星午)·김영조(金永祚)·이영규(李永圭) 등에게 시위행진 때의 주악을 부탁하였다.
3월 18일 오후 1시경, 이영규가 비봉산(飛鳳山)에 올라가 불어대는 나팔소리를 신호로 3개지역에 분산되어져 있던 시위대열은 악대를 선두로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을 시작하였다. 사태의 급박함을 느낀 일제는 헌병과 경찰력만으로는 이를 저지할 수 없자 소방대까지 출동시켜 물감과 오물을 뿌리며 곤봉으로 시위군중들을 난타하였다.
오후 4시경, 이같은 일제의 폭력제지도 물리치고 경상도청 앞에 모인 시위군중은 3만여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저녁 무렵에 일제는 옷에 물감이 묻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검거작업을 시작하였다. 이때 3백여명이 체포되었다. 결국 그도 함께 체포되었으며, 이해 6월 17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부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75년 5월 30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심두섭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96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