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행보살

 


1. 개요
2. 관련 항목


1. 개요


逆行菩薩.
불교에서 사용하는 불교 용어.'그릇된 짓의 나쁜 과보를 남에게 보여 주기 위해 일부러 그릇된 짓을 하는 보살'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반대용어로는 '착하고 거룩하고 위대한 모습으로 나타난 보살'을 의미하는 순행보살(順行菩薩)이 있다.
단어로만 보면 관세음보살, 지장보살과 같은 보살의 한 분류로 보이기 쉬우나, 정확히는 위의 보살과는 전혀 무관한 용어로 악한 행위를 한 악인들을 마냥 비방하지 않고 우리에게 깨달음을 주기 위해 나타난 보살들의 한 분이란 의미로 만들어낸 불교의 신조어에 해당된다. 다만 경전에서는 역행보살에 해당되는 존재가 여러번 나온 바가 있기에 완전 새로 만든 단어까지는 아니다. 대표적인 게 불교 경전에서 희대의 살인마로 묘사된 앙굴리마라.
그러나 시대가 지나면서 이 단어는 자주 쓰이지 않게 되는데, 악인은 무조건 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 및 그런식으로 바라보는 것 자체가 미화라며 불쾌해 하는 인식도 생겨나면서[1][2] 역행보살이란 단어는 존재 의미가 없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대한민국 불교가 이런 저런 병크를 저지르며 아무도 안 믿는 오와콘이 되어간 점도 큰 이유.
2020년작 중국 영화최미역행자와는 별 상관 없다. [3]

2. 관련 항목



[1] 당장 미디어만 봐도, 최근에는 개심하는 빌런 자체가 씨가 마르다 시피한 상황이다. 위에 서술했다시피 그런 캐릭터 묘사가 미화라면서 비판하는 시청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한 게 원인으로 보이며, 특히 아동 시청 작품에서도 최근에는 프리큐어 시리즈를 재외하고는 개심을 묘사하는 전개가 많이 사라져가고 있는 현황이기 때문.[2] 특히 남아있는 불교 신도 중에서도, 까야 재맛인 자들을 관세음보살님과 동급으로 취급하는 것 자체를 불쾌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즉 '''저런 녀석을 보살님들 취급을 하느니 차라리 불교를 탈종하겠다'''라는 인식이라는 것.[3] '역행자'(니싱저, 逆行者)라는 중국의 신조어에서 유래한 영화 제목인데, 이 단어 역시 '궁극적으로는 선을 위해 일부러 대세를 거스른다'는 점에서는 어원적으로 연관이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