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대한민국
1. 개요
2. 대한민국에서의 후기 성도 교회
2.1. 한국 내 교회
2.1.1. 서울 스테이크(Seoul Stake)
2.1.2. 서울 동 스테이크(Seoul East Stake)
2.1.3. 서울 서 스테이크(Seoul West Stake)
2.1.4. 서울 남 스테이크(Seoul South Stake)
2.1.5. 경기 스테이크(Gyeonggi Stake)
2.1.6. 서울 미군 지방부(Seoul U.S Army Force branch)
2.1.7. 강릉 지방부(Gangneung Branch)
2.1.8. 대전 스테이크(Daejeon Stake)
2.1.9. 청주 스테이크(Cheongju Stake)
2.1.10. 전주 스테이크(Jeonju Stake)
2.1.11. 광주 스테이크(Gwangju Stake)
2.1.12. 순천 지방부(Suncheon Branch)
2.1.13. 부산 스테이크(Busan Stake)
2.1.14. 대구 스테이크(Daegu Stake)
2.1.15. 창원 스테이크(Changwon Stake)
2.1.16. 울산 지방부(Ulsan Branch)
2.1.17. 제주 지방부(Jeju Branch)
1. 개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몰몬교)의 한국 교회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대한민국에서의 후기 성도 교회
서울 신촌에 있는 한국 서울 성전의 모습.
[image]
다른 기독교 교파에 비해 한국 진출이 상당히 늦었으며, 현재 활동하는 기독교 교파 중 가장 늦게 한국에 전파된 교파이다.
한국인 최초의 후기성도교회 회원은 김호직 박사로, 미국 유학 중인 1951년 7월 우연히 선교사들을 만나 복음을 배우고 펜실베이니아 강에서 침례를 받았다. 이 후 김 박사는 침례를 받고 돌아와 당시 몰몬이던 주한미군들과 함께 성찬식을 하기 시작했고, 이걸 본부에서는 한국 몰몬교 역사의 시초로 본다. 1950년대 후반부터 선교사들이 한국에 파견되면서 본격적인 교회 활동이 시작되었고, 몰몬경과 기타 경전들이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1971년 서울 스테이크 건립을 시작으로 교세가 확장되어 1985년 서울 성전이 건립되었고, 현재는 기독교 신흥종교로 어느 정도 교세를 잡아가는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신도수는 10만명에 미치지 못해 한국에서는 소수종교로 분류된다.[1] 이러다보니 한국 후기성도들의 단합력은 상당히 대단하다.
2005년 6월까지 공식명칭은 위에서도 언급되어 있는 '''말일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였다. 현재도 나이 든 개신교 신자들이나 목사는 이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다. 말일성도는 일본에서 쓰이는 동일한 명칭에서 따온 것이며, 일본에서 Latter day를 '''말일'''으로 번역했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그러나 말일이라는 호칭 때문에 일부에서 이 교회를 종말론을 신봉하는 교회로 오해한 적이 많고, 특히 1990년대 후반 다미선교회 등 종말론 교회가 유행했을 당시 이 교회도 그 종말론을 교리로 삼고 있는 게 아니냐며 의심을 받기도 했었다. 이런 오해를 없애기 위해 2005년 7월 한국 선교 50주년을 맞아 공식명칭을 현재의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로 바꾸었으며, 말일성도라는 명칭은 폐지되었다. 일본에서는 여전히 末日聖徒(말일성도) 라고 불리고 있다. 후기라는 표현의 의미는 예수 그리스도가 세운 초대의 교회가 조셉 스미스를 비롯한 선지자를 통해 후기에 다시 회복되었음을 의미한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전국에 160개 정도 되는 집회소가 있었으나 2011년부터 시작된 북아시아 지역정책으로 인해 수도권 근교나 규모가 작은 와드들은 하나로 통합하여 스테이크 센터를 짓거나 대형 와드로 통합시키고 있다. 2019년 현재는 108개로 감소하였다.
한국 내 회원은 8만명 정도 되지만 실제 활동 회원은 2만명 내외이다. 교회에서는 활동하지 않는 사람, 즉 성찬식에 자주 출석하지 않는 사람을 저활동 회원으로 분류한다. 저활동 회원의 교회 참석을 권유하는 일이 선교사의 직무 중 하나라 선교사들은 저활동 회원의 가정을 방문하거나 가정의 밤 등에 초대해 다시 교회 활동에 참석하도록 지속적으로 제안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선교사들에게 자신의 집주소와 전화번호를 적어놨다면 선교사들이 가정방문을 하거나 귀찮게 전화나 문자를 하기도 한다. 이게 싫다면 교회 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 탈퇴를 하고 싶다고 요쳥하면 탈퇴 처리되어 더 이상 전화가 오지 않는다. 단 파문을 당하지 않는 한 침례기록과 회원 기록은 남아있기 때문에 마음이 바뀌면 다시 돌아가 신앙생활을 할 수 있다.
이 교회 하면 유명한 프로그램 중 하나가 바로 영어교실이다.영어 교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SDA 학원만큼의 규모는 아니지만, 원어민 선교사에게 영어 회화를 무료로 배울 수 있어 한 때 수강생이 많았고 현재도 찾는 사람이 꽤 된다. 대도시의 와드에는 하나 이상, 지방 소도시에는 각 시 1,2개 와드나 지방부에 있다. 선교사라고 해서 종교적인 색체를 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는데 영어 교육 내에서 종교적인 내용을 얘기하거나 전도를 하지는 않으니 마음 놓고 가서 배워도 된다. 애초에 후기성도교회 자체가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고, 개종의 길 역시 본인이 선택하는 것이라 보기 때문에 회원이 되겠다고 자처하지 않는 한 강요하거나 싫은 권유를 계속하는 일은 없다. 단 수업 시작 전과 끝나기 전 기도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후기성도교회의 문화 중 하나로, 교회의 이름으로 되어있는 모든 행사나 모임에서는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친다. 기도를 굳이 같이 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다.
한국 내에도 선교사를 파견해서 신촌이나 외국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 대도시에는 이들 선교사를 만나기 쉽다. 보통 하얀 티셔츠와 정장차림에 검은 명찰, 007 가방을 들고 다니며 둘이서 전단지를 건내거나 "안녕하십니까!" 라며 말을 건낸다. 말을 거는데 무시하거나 거절하며 더 이상 붙잡지 않는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이 교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있고, 한 때 이 곳 영어교실 불매 운동도 벌였을만큼 경계성이 강하다. 선교사들을 심하게 배척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 진보적인 교단이라는 성공회 역시 후기성도교회를 이단으로 본다. 그렇다고 신천지나 하나님의 교회 같은 사이비 종교로 보는 건 아니다. 종교적인 이유로 이단이라 배척하는 것 외에 반사회적 집단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예장합동 등 보수적인 교단에 경우 가톨릭도 이단시하기 때문에 보수 기독교 외에 일반 대중들은 그냥 신흥종교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정치적으로 보수 성향인 한국 개신교계는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로 밋 롬니가 나오자 상당히 미묘한 반응을 보였다. 존 매케인이나 조지 W. 부시를 기독교 대통령이라고 극단적으로 칭송해준 것에 비해 몰몬교인이 롬니가 대선후보로 나오자 나름 딜레마에 빠졌다. 만약 롬니가 대통령이 되면 그동안 이단이라고 밀어붙이던 종파를 인정해줘야 되기 때문. 이 때문에 일부 보수 개신교인들은 오바마의 승리를 나름 경축하는 일도 있었다.
제사 문제에 대해서는 천주교, 성공회와 함께 기독교 교파 중에서 가장 관대하다. 조상에 대한 사랑과 각 국가의 전통문화를 존중하는 교리가 있어, 유교식 제사나 절도 허용한다. 교인들이 추도예배나 유교식 제사 중 하나를 선택해서 하게 한다. 물론 제사를 숭배의식으로 받아들이지는 않고, 조상을 기억하고 예를 표할 수 있는 행사의 일환으로 보는 것이다. 절을 하더라도 숭배 대상은 하나님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는 것.
2.1. 한국 내 교회
한국 내에는 12개의 스테이크와 5개의 지방부가 있다. 스테이크 내의 단위 조직은 와드, 지방부 내의 단위 조직은 지부라고 하며, 각 와드 당 활동적인 회원은 50~150명 정도이며, 지부는 10~60명 정도이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스테이크 17개, 지방부 5개로 총 22개의 조직이 있었는데 2010년대 초반부터 규모가 작은 와드 3~4개를 스테이크 센터 하나로 통합시키는 작업을 하면서 규모가 줄었다. 와중에 서울 강서 스테이크와 영동 스테이크, 인천 스테이크,[2] 안양 스테이크가 서울 서 스테이크로 통합되었고, 서울 북 스테이크 역시 서울 스테이크로 통합되었다.
2.1.1. 서울 스테이크(Seoul Stake)
- 신촌 와드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3나길 37[3]
- 녹번 와드 -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63
- 신당 와드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6길 5
- 일산 와드(스테이크 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355
- 파주 와드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355[4]
- 중앙 농아 지부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6길 5
2010년대 초반 서울 북 스테이크과 통합을 거쳐 출범했다. 과거에는 신당와드를 스테이크 센터로 두고 홍제 와드, 서대문와드 등이 있었는데 이를 서울 북 스테이크과 통합시키면서 서대문 와드는 신촌와드로, 홍은와드와 삼청와드는 녹번 와드로 통합시켰다. 2015년에는 원당 와드와 금촌 와드가 일산 와드로 통합되었고, 일산 와드를 스테이크 센터로 다시 지었다.
신촌와드는 한국 서울 성전과 근거리에 있어 성전 봉사자와 그들의 자녀 등이 나오기 때문에 외국인 회원 비중이 높고, 신당와드 역시 용산 미군기지에서 근무하는 미군부대 회원들도 있고, 또 이태원과 가깝기 때문에 외국인 회원 비율이 높다. 단 서울 영어 지부 창립 이후에는 미군 부대 회원들은 대부분 영등포로 가는 듯.
또 신당와드에 한국 관리 본부가 있다.
2.1.2. 서울 동 스테이크(Seoul East Stake)
- 강북 1,2와드(스테이크 센터) - 서울특별시 강북구 덕릉로 176
- 교문 와드 -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84번길 23
- 동대문 와드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22길 43
- 의정부 와드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로 58
- 춘천와드 - 강원도 춘천시 춘천로 211
2.1.3. 서울 서 스테이크(Seoul West Stake)
- 인천 1,2와드(스테이크 센터)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로 197[5]
- 청라 와드 - 인천광역시 계양구 아나지로307번길 25
- 김포 와드 - 경기도 김포시 봉화로 13-13
- 영등포 와드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24-8[6]
- 부천 와드 - 경기도 부천시 소사로 619
2.1.4. 서울 남 스테이크(Seoul South Stake)
- 안양 와드(스테이크 센터)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109번길 8
- 송파 와드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22길 29
- 안산 와드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4길 3[7]
- 강남 1,2와드 - 서울특별시 서초구 법원로 10[8]
2.1.5. 경기 스테이크(Gyeonggi Stake)
- 수지 와드(스테이크 센터)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348
- 신갈 와드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348
- 신풍 와드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841번길 20
- 곡반정 와드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146번길 70-13
- 분당 와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642
- 안성 지부 - 경기도 안성시 낙원길 104
- 이천 와드 -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374-1
- 평택 와드 - 경기도 평택시 지장로7번길 26
2.1.6. 서울 미군 지방부(Seoul U.S Army Force branch)
부산지부 다음으로 생긴 교구이다. 보통 다른 와드의 건물에서 예배를 드리며, 보통 미군들은 부대 밖으로 나와 영어 안식일 모임에 참석한다. 예외로 험프리스 지부는 부대 안에 교회가 있다. 따라서 일반인은 들어갈 수 없다.
- 군산 군인 지부- 전라북도 군산시 팔마로 142[9][10]
- 노던 군인 지부-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261번길 22[11][12]
- 대구 군인 지부-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 436[13][14]
- 서울 영어 지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24-8[15][16]
- 송도 영어 지부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로 197[17][18]
- 오산 군인 지부 - 경기도 평택시 지장로7번길 26[19][20]
- 평택 험프리스 군인 지부[21]
2.1.7. 강릉 지방부(Gangneung Branch)
- 강릉 지부(지방부 센터) :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2267번길 17
- 동해 지부 - 강원도 동해시 가마골길 26-9
- 속초 지부 - 강원도 속초시 번영로105번길 38
- 원주 지부 - 강원도 원주시 동진골1길 63
- 태백 지부 - 강원도 태백시 황지연못길 11
2.1.8. 대전 스테이크(Daejeon Stake)
- 공주 와드 - 충청남도 공주시 버드나무1길 23
- 논산 지부 -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로 1029 2층
- 대전1와드 - 대전광역시 유성구 월드컵대로307번길 23
- 대전2와드 - 대전광역시 동구 한남로7번길 80-8
- 서산 지부 - 충청남도 서산시 호수공원8로 4-16
- 세종 와드 - 세종특별자치시 절재로 194 614, 615호
2.1.9. 청주 스테이크(Cheongju Stake)
- 흥덕 와드(스테이크 센터)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내수동로 111
- 상당 와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직대로361번길 118
- 온양 지부 - 충청남도 아산시 아산로 79 8층
- 제천 지부 - 충청북도 제천시 숭문로4길 4
- 천안 와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구성3길 10
- 충주 와드 - 충청북도 충주시 용정8길 8
2.1.10. 전주 스테이크(Jeonju Stake)
- 덕진 와드(스테이크 센터)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584
- 정읍 와드 - 전라북도 정읍시 구미길 35
- 김제 지부 - 전라북도 김제시 중앙로 125 4층
- 군산 와드 - 전라북도 군산시 팔마로 142
- 남원 지부 - 전라북도 남원시 비석길 210 201호
- 익산 와드 - 전라북도 익산시 선화로31길 18
- 완산 와드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584[22]
2.1.11. 광주 스테이크(Gwangju Stake)
- 충장 와드(스테이크 센터)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60
- 나주 지부 - 전라남도 나주시 남고문로 15
- 농성 와드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60
- 목포 와드 - 전라남도 목포시 마파지로 18-1
- 첨단 와드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815
2.1.12. 순천 지방부(Suncheon Branch)
- 순천 지부(지방부 센터)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5길 42
- 광양 지부 -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로 79 11층
- 여수 지부 - 전라남도 여수시 봉강1길 11
2.1.13. 부산 스테이크(Busan Stake)
- 부산 와드(스테이크 센터)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중로 19
- 광안 와드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564-11
- 괴정 지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355번길 21-10
- 구포 지부 - 부산광역시 북구 시랑로132번길 20
- 금정 와드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 746
- 김해 와드 -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505번길 3
- 연산 와드 -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188번길 26
- 온천 와드 -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59번길 2
- 해운대 와드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대천로 157
2.1.14. 대구 스테이크(Daegu Stake)
- 수성 와드(스테이크 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 436
- 경산 지부 - 경상북도 경산시 경산로 173 2층
- 구미 와드 - 경상북도 구미시 원남로 110
- 김천 지부 - 경상북도 김천시 성안1길 3 2층
- 상인 와드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로9길 38
- 안동 지부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829 5층[23]
- 중리 와드 - 대구광역시 서구 당산로 376
2.1.15. 창원 스테이크(Changwon Stake)
- 마산 와드(스테이크 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앙남6길 41
- 거제 지부 -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중앙로 1846 4층
- 도계 와드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도계로95번길 10-14
- 밀양 지부 - 경상남도 밀양시 북성로2길 19-20 1층
- 사천 지부 - 경상남도 사천시 중앙로 71 2층
- 진주 와드 - 경상남도 진주시 창렬로 94
- 진해 와드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511번길 13
- 통영 지부 - 경상남도 통영시 안개1길 58
2.1.16. 울산 지방부(Ulsan Branch)
- 호계 지부(지방부 센터) - 울산광역시 북구 동대15길 4
- 경주 지부 - 경상북도 경주시 원효로 91-4 2층
- 방어진 지부 - 울산광역시 동구 진성11길 59
- 신정 지부 - 울산광역시 남구 봉월로 14번길 57
- 포항 지부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도로20번길 19
2.1.17. 제주 지방부(Jeju Branch)
- 제주 지부(지방부 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성로 45
- 서귀포 지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솔동산로 11번길 20
[1] 대한민국의 개신교 교회와 비교하자면 대형교회들 중에는 교회에 속한 지교회와 지성전을 제외한 본당(본부)의 성도수만도 몇십만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감이 올것이다.[2] 아예 2016년 9월 서울 서 스테이크 센터를 지으면서 인천 내 모든 와드를 인천 1,2와드에 통합시켰다.[3] 서울 성전과 근거리에 있다.[4] 일산 스테이크 센터와 동일한 건물을 사용한다.[5] 아시아권에서 가장 큰 예배당을 가지고 있다.[6] 영어 지부도 동시 운영.[7] 여담이지만 세월호 참사 당시 이 와드의 헬핑 헨즈(봉사단) 이 봉사활동을 나가기도 했었다. 단원고등학교가 근거리에 있기 때문.[8] 노량진 와드 등 와드 3개를 통합시켜 출범했다.[9] 군산와드와 같은 건물 사용.[10] 군산공항 미군기지에서 근무하는 미군들을 위한 와드이다. 군산공항과는 차로 20분 정도 거리에 있다.[11] 1호선 지행역 근처에 위치하며, 다른 지부들과 달리 단독 와드이다.[12] 동두천 캠프 케이시에서 근무하는 미군들이 온다. 캠프 케이시 정문까지 차로 10분 정도 걸린다. 걸어가면 20분 정도로 꽤 가깝다.[13] 수성와드와 같은 건물 사용.[14] 캠프 워커 소속 미군들이 온다. 캠프 워커 정문까지는 차로 15분 정도이며, 버스를 이용할 경우 30분 정도 걸린다. 참고로 대구 군인 지부는 1950년대 대구 지부 시절부터 몰몬 미군들이 예배를 보러 참석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와드이다.[15] 영등포와드와 같은 건물 사용.[16] 용산 미군 기지 장병들은 대부분 이태원과 가까운 신당와드로 가는 듯 하나, 신당와드는 한국어 예배이다보니 여기로 오는 미군장병들도 존재한다.[17] 서울 서 스테이크 센터와 같은 건물 사용.[18] 미군과는 별 연관성 없이 인천 지역내에 있는 외국인 회원들을 위한 지부이다. 과거 부평에 있었던 캠프 마켓의 장병들은 대부분 부평와드로 갔다. 인천공항 투숙객들을 위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19] 평택 와드와 같은 건물 사용.[20] 오산공군기지 소속 미군들이 온다. 오산기지 입구까지는 차로 약 15분 정도 걸린다.[21] 부대 안에 있어 일반인은 출입증 없이는 부대 내 진입이 불가능하다.[22] 스테이크 센터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23] 영어 와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