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실/부산/폐업
1. 작성 전 유의사항
2.1. 부산대 메가게임랜드
2.2. 구서2동 두실 게임랜드
2.3. 구서2동 선경 게임랜드
2.4. 구서2동 솔로몬 게임랜드
2.5. 구서2동 007 게임랜드
2.6. 부곡동 UFO게임랜드
2.7. 부곡동 행운게임랜드
2.8. 장전1동 밀레니엄 게임랜드
3.1. 정관 어뮤즈월드 청소년오락실
4.1. 감만2동 원 컴퓨터 게임랜드
4.2. 감만2동 맘모스 오락실
4.3. 못골시장 동성 게임랜드
4.4. 경성대 그린투게임랜드
4.6. 경성대 매니아게임장
4.7. 경성대 신나는 게임존
4.8. 경성대 CNN오락실
4.9. 우암동 성지 오락실
4.10. 우암동 함안 오락실
4.11. 우암동 88 오락실
10.1. 연산동 동그라미 게임랜드
1. 작성 전 유의사항
2. 금정구
2.1. 부산대 메가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2 (장전동)
- 위치 : 부산대학교 정문 앞에 있다.네이버 로드뷰
- 가동 했던 게임
- 철권 6 BR 1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조와 1대
- 텐가이, 건버드, 스트라이커즈 1945 고전 슈팅게임 3대
- 테크모 월드컵 98
- EZ2AC : EVOLVE 1대 300원 (Ver. 2.02b)
- EZ2AC : TIME TRAVELER 2대 400원
- 동전노래방
2.2. 구서2동 두실 게임랜드
선경1,2차아파트보다 약간 밑에 있는 산호맨션 정문 옆에 위치했던 오락실로, 1992년 스트리트 파이터2가 유행할 당시 그 분위기와 버블에 힘 입어 개업하였다. 스트리터 파이터2, 아랑전설, 사무라이 스프리츠 등 대전격투 뿐만 아니라 캡틴 코만도, 천지를 먹다2 등 4인용을 할 수 있는 기기가 많아서 당시 국민학생들이 좋아했다. 그 외에 퍼즐이나 슈팅도 꽤 구비해 놓았는데, 1997~98년도 기준으로는 버츄어캅2, 세가 랠리 챔피언십, 던전오브드래곤, 갈스 패닉 S, 스트라이커즈 1945, 사립 저스티스 학원(일본판)등도 존재했었다. 당시 고급아파트였던 선경1,2차아파트가 주변에 있어서 양아치가 없었다.
후술된 솔로몬 게임랜드의 현황을 확인할 겸 이 곳의 존재여부도 파악하기 위해 2000년도에 찾아갔으나, 이미 폐업한 이후였다. 정확한 폐업시기는 1999년도였으며, 피시방이 생겨나는 사회현상에 맞추어 폐업했다고 한다.
2.3. 구서2동 선경 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565번길 11, 2층 (구서동)
2000~2001년도 기준으로는 스틱 게임기들이 모두 사라졌고 건슈팅 게임, 레이싱 게임기와 같은 아케이드 게임들만 남아있는 상태였다. 폐업시기는 불명. 이후 당구장으로 바뀌었다.
2.4. 구서2동 솔로몬 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565번길 22 (구서동)
2000년도에 폐업한 것으로 추정되며, 1999년도에 찾아갔을때는 무슨 이유인지는 몰라도 내부 구조가 이상하게 바뀌면서 이동이 불편할 정도였고, 2003년도에 다시 찾아갔을때는 이미 사라진 뒤였다.
2.5. 구서2동 007 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실로37번길 76 (구서동)
폐업 전까지 모든 아케이드(리듬게임 및 개조플스, 레이싱 게임 제외)하고는 전부 100원이었다.
이 오락실이 마지막으로 폐업함으로써 구서2동의 모든 오락실은 문을 닫아버리고 말았다.
2.6. 부곡동 UFO게임랜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장전역 2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앞 세븐일레븐 옆에 있었던 소형오락실. 거의 모든 오락기가 100원으로(당시 철권6 BR, 오래방은 제외) 타 오락실에 비해 고전게임들의 비중이 꽤 높아 일부 매니아층에게 인기가 있었다.
2011년 초 폐업 후, 현재는 탐앤탐스가 구 오락실 자리에 들어서있다
2.7. 부곡동 행운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1706번길 17 (부곡동)
2.8. 장전1동 밀레니엄 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4번길 149 (장전동)
2007년도 3월까지만해도 영업중이였으나 2008~2009년 사이에 폐업을 했던 것으로 추정. 문구팬시점이 영업중이었다가 현재는 국수집이 영업중이다
3. 기장군
3.1. 정관 어뮤즈월드 청소년오락실
-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정관덕산길 29, 지하 1층 (방곡리)
정관신도시로 한창 개발 중일때 폐업하였다. 현재 해당 건물의 지하 1층은 막혀있는 상황
4. 남구
4.1. 감만2동 원 컴퓨터 게임랜드
부산외국어대학교 우암캠퍼스 정문 바로 옆에 위치하였다. 2층 구조로, 1층에는 대형 아케이드 기체와 소수 스틱게임, 2층에는 모두 스틱 게임이였다. 하지만 펌프 잇 업이 본격적으로 유행을 타면서 이 오락실에도 펌프 기체가 들어오면서 1층에 있던 스틱게임기들은 전멸했다. 그러나 2000년도 후반기쯤 펌프 잇 업도 끝물을 탈때 쯤, 펌프기체가 1,2대씩 빠지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2007~2008년도에는 1층을 아예 매각하면서 규모를 축소시켜 부산외대 학생들을 상대로 장사를 했으나 이마저도 역부족이였는지, 2009년~2010년쯤에 완전히 폐업을 하였다.
현재 그 자리에는 1층에는 마당쇠 껍데기와 소금구이, 2층에는 네잎클로버스토리라는 공방카페가 점해있다. 그러나 여기 마저도 부산외국어대학교의 남산동 이전영향으로 유동인구수가 크게 줄어들었고 2층 공방카페는 폐업을 한 것으로 추정. 1층같은 경우, 마당쇠 껍데기와 소금구이집은 현재 돼지갈비 전문 체인점으로 바뀐상태.
4.2. 감만2동 맘모스 오락실
상술된 원컴퓨터게임랜드 바로 맞은 편이자, 부산 버스 51의 종점 앞에 위치해있다. 지하1층에 위치하다보니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쾌쾌한 냄새가 많이 났었다. 지하1층에 위치했었다보니 접근성이나 수요 경쟁에서 원컴퓨터게임랜드에게 모두 열세를 보였다.
폐업시기는 원 컴퓨터게임렌드보다 빨랐던 것으로 추정된다. 폐업 이후 해당건물은 모 교회가 통째로 인수하면서 그 교회가 자리잡고 있다.
4.3. 못골시장 동성 게임랜드
동성하이타운 바로 옆편에 있던 오락실이였다. 바로옆에 부산공고가 있고 못골시장을 축으로 대연정보고교 외에 여러학교들이 운집해있어서 고등학생들이 주 고객이였던 오락실. 펌프열풍이 한참 불때 펌프 잇업 SD 기체가 2대, DDR이 1대가 있었다. 펌프 열풍이 식으면서 그대로 철수되었고, 이후에는 일부 스틱게임기들을 플스로 개조시켜서 운영하기도 했다.
2005~2006년 사이에 폐업한 것으로 추정.
4.4. 경성대 그린투게임랜드
경성대 쪽의 최장수 고전 오락실로 부산의 EZ2 유저들 사이에서 유명한 오락실이었다.
2018년 9월 19일에 폐업했다. 주인장이 2017년부터 폐업을 생각하고 있었다고 한다. 체감형 게임기들은 근처에 있는 게임D 대연점[4] 과 대왕게임센터[5] 로 분산되어 이동되었고 스틱형 게임기들과 노래방은 어디로 이동되었는지 불명.
IIDX의 경우 냉정 그린게임랜드로 갈 예정이였다가 취소되어서 게임D 대연점으로 이동되었다.
4.5. 경성대 모펀게임센터
문서 참조.
4.6. 경성대 매니아게임장
-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7번길 10 (대연동)
- 가동 했던 게임
- 리듬 게임
- EZ2AC NT 1대 300원
- EZ2AC EV 1대 300원 (2.02b)
- 네오드럼X 뉴 패러다임 1대 300원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500원 (FX 기체, 1.00.0)
- 기타
- 철권 7 2대 500원 2크레딧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4대 300원
- 철권 6 BR 2대 2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2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400원
- 인형뽑기 다수
- 리듬 게임
2016년 9월 25일, 노래방을 매각시키고 그 자리에는 인형뽑기가 추가로 입고되었다.
2016년 11월 22일에 아케이드 게임들마저 매각시키고 인형뽑기가 또 추가로 입고되면서 인형뽑기방으로 바뀌었다. 기존 아케이드 게임들의 행방은 불명.
4.7. 경성대 신나는 게임존
-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7번길 6-1 1, 2층 (대연동)
- 위치: 경성대 센츄리 빌딩 뒷 길
- 보유 했던 기기
4.8. 경성대 CNN오락실
경성대학교에서 못골시장 방향으로 두 블럭 옆에 있던 오락실이자, 남구도서관으로 올라가는 길목 입구 앞에 위치하고 있었다. 펌프 잇 업 DX 기체가 2~3대 정도 있었으며 규모가 상당하였다. 현재 영업중인 대왕게임센터보다 훨씬 컸다고 보면 된다.
2000년도에 접어들고 PC방 열풍이 불면서 그대로 폐업하였다.
이후 그 자리에는 MLB 의류매장이 들어왔다가 현재는 건물 자체가 허물어져 공터 상태로 남아있다.
4.9. 우암동 성지 오락실
우암동의 전설로 남은 오락실. 우암동 우룡산 올라가는 길목에 위치했던 소규모 오락실이였다. 전부 콘솔 아케이드 게임기들만 존재했으며, 대부분 오래된 게임들이 존재하였다. 바로 옆에 구.성지공고/성지중이 붙어있었기에 주로 구.성지공고/중학교(특히 신연초등학교 출신 학생들) 학생들이 상주했었다.
2000년쯤에 PC방 열풍으로 발길이 뜸해지기 시작하면서 소리소문도 없이 폐업하였는데 업주가 사망하면서 폐업했다는 소문이 있다.
4.10. 우암동 함안 오락실
후술된 88오락실 바로 옆에 있었던 오락실. 하지만 88오락실에 비해 인지도가 떨어지는 곳이였다. 그런데 의외로 88오락실이 먼저 폐업을 했다.
현재는 일반인 주택으로 바뀐 상태.
4.11. 우암동 88 오락실
우암로198번길에서 왼쪽 골목에 위치했던 오락실로 양아치들이 꽤 상주하였다. 스틱 게임은 사립 저스티스 학원,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6, 97, 98과 스트라이커즈 1945 II가 있었다.
1999년도 이전에 폐업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진원암이라는 점집으로 둔갑한 상태.
5. 동래구
5.1. 복천동 대왕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136번길 11 (복천동)
- 위치: 동래구청에서 복천박물관 가는 방향(동래시장 쪽 골목 말고 왼쪽의 2차선 도로)에 있다.
- 가동 중인 기기
- EZ2AC : EVOLVE (Ver. 2.03a)
- EZ2DJ BONUS EDITION revision A (Ver. 1.2a)
- 철권 태그 토너먼트 다수
5.2. 온천동 아이존 게임플렉스
-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523, SK허브스카이 6층 (온천동)
- 위치 : 동래 CGV 매표소 주변에 있는데, 여러 구역으로 흩어져 있다.
- 영업시간
- 가동 중인 게임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대 (FX기체)
- EZ2DJ 7thTRAX ~Resistance~ (1.01)
- DJMAX TECHNIKA 2
- 타임 크라이시스 2
- 타임 크라이시스 3
- 배틀기어 2
- 히든캐치 3
- 부스형 노래방 4대 (금영 KMS-K70)
펌프는 노래방하고 같이 있는데 아이존 게임플렉스 홈페이지엔 EZ2DJ와 DJMAX TECHNIKA도 있는 사진이 있다. 그런데 이 두 기기의 위치는 펌프하고 동떨어진 위치에 있다. 2% 부족한 컨셉 동전노래방이 있는 곳의 공간이 부족해서 분리한 것으로 추정.
일자 미상에 폐업.
5.3. 명륜동 대양게임장
-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115 (명륜동 네이버 거리뷰
- 위치 : 4호선 수안역 3번 출구에서 명륜로를 따라 동래전화국 방향으로 걸어가다 보면 있다.
- 가동중인 기기
- EZ2DJ PT 1대
- EZ2DJ 4TH 1대
- 아타리 테트리스
- 보물을 찾아라
- 히든캐치
- 스트라이커즈 1945 3
- 라이덴 파이터즈
- 라이덴 파이터즈 2
- 스트리트 파이터 2
- 세가 랠리 챔피언십
- 테크노 월드컵 98
- 철권 태그 토너먼트 5조
- 스타디움 히어로 96
- 보글보글
- 철권 6 플스개조 1대
- 철권 5
- 버블 메모리즈
- 메탈슬러그 3
- 더 킹오브 파이터즈 2002
- 더 킹오브 파이터즈 97
- 스트라이커즈 1945
- 베스트라이[8]
- 금영퀴즈 동전 노래방 6대
2018년1월25일(목) 기준 폐업되었다. 간판은 최근1년이내 재설치 한 걸로 추정되며 6개월전엔 인형뽑기방으로 변경되었었다.
5.4. 명륜동 엣지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115 (명륜동) 네이버 거리뷰
- 위치 : 4호선 수안역 3번 출구에서 명륜로를 따라서 동래전화국 방향으로 걸어가다 보면 있다.
- 가동중인 기기
- EZ2DJ 4thTRAX ~Over Mind~ 1대
- 세가 랠리 챔피언십
- 고전게임 다수
- 인형뽑기 다수
폐업했다. 현재 건물 임대중이라고 붙어있다.
6. 부산진구
6.1. 가야동 자유공간
- 건 슈팅 게임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300원
- 건블레이드 NY 1대 200원
- 레이싱 게임
- 크루즌 월드 1대 200원
- AB CAP AIR BAKE 100원
- 슈팅 게임
- 스트라이커즈 1945 2 1대 1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3 100원
- 대전 액션 게임
- 철권 6 1조 - 200원
- 철권 5.1 1조 - 100원(3판2승)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조 100원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 100원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1 100원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 100원
- 일반 고전게임
- 스타디움 히어로 96 100원
- 퍼즐보블 2
- 테크모 월드컵 98
- 삼국전기 IGS
- 틀린그림찾기98
- 테트리스
- 펭귄브라더스
- 사천성 BLACK TOUCH
- 세가 파워스매쉬
- 카우보이 오브 무 메사 (제작사가 코나미)
- 기타
- 동전 노래방 8대 (1000원 4곡)
- 화면이 불량하거나 기판의 문제 또는 수익의 문제로 꺼진 게임들.
- 닌자 베이스볼 배트맨
- 슈퍼상하이
- 드래곤즈아이 제조사HOTB
- 포트리스2 블루 아케이드
- 미션 크래프트
철권 6조차도 200원... 하지만 건슈팅게임이나 리듬게임은 200~300원 정도인 듯. 그래도 500원짜리를 100원짜리 쓰듯이 하는 오락실에 있다가 여기 오면 적응이 안된다.(...) 하오데4는 있긴있는데 꺼질 때가 많아 하는 사람도 보기 힘들다. 펭귄 브라더스도 있는데 레버상태가... 삼국전기 플러스와 스트릿 후프 등 희귀게임도 돌아가고 있다.거기다 미션 크래프트에(화면이 깨짐) 포트리스 2 아케이드판도 돌아가고 있다. 단 오락기들의 상태들이 좋지 않다.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게임이 100원이다.
2017년 10월 24일, 가야3구역 주택재개발로 인하여 폐업하였다.
6.2. 전포동 지오플레이스 CGV 사이버타운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천로 4, 지오플레이스 6층 (전포동)
- 보유 했던 기기
- EZ2DJ 2ndTRAX ~It rules once again~ 1대 (상태 최하)
- 퍼쿠션 프릭스 4th 1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1조 (콘솔 개조)
- 철권 6 1조 (콘솔 개조)
- 컴온 베이비 1,2
- 타임 크라이시스 2 2대, 3 1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2 1조(2대)
- 데이토나 2 USA 1조(2대)
- 사일런트 스코프
- 소게키
- 크레이지 택시
- 레일 체이스
- 쥬라기 공원
- L.A 머신건
- 히든캐치 3 3대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3
7층 점포로 올라가는 입구[11] 쪽에도 뽑기와 거치형 게임기들이 있었다.
2016년 2월 15일자로 폐업되었으며 그 자리에는 게임D가 들어섰다.
6.3. 양정동 솔로몬게임랜드
한때 부산의 철권성지라고도 불렸던 곳. (KOF98로도 유명하다. 부산 최고수들은 전부 여기 모였음) 양정역 2번출구에서 롯데리아방향으로 걷다가 왼쪽의 오르막길을 2블록쯤 오르면 있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DDR 3rd mix를 가동하기도 했었다.
2010년도 초반 폐업하였다.
6.4. 양정동 골드게임랜드
양정동 롯데리아 옆건물 1층내에 대패삽겹살 전문점 바로 옆 위치했던 오락실이다. 폐업한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셔터문이 닫힌채로 흔적이 남아있었다.
그런데 얼마전 옆에 있던 대패삽겹살 집이 폐업되고 그 자리에 마!오락실이 생겼는데, 사세를 확장하여 바로 옆 골드 게임랜드 자리까지 흡수했다. 따라서 사실상 마!오락실로 부활한거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6.5. 서면 넷아레나
삼보게임랜드의 댄스 리듬 게임 구역 쪽 문으로 나와서 "묵고갈래, 싸가갈래" 라는 이름의 분식집 오른쪽 입구로 들어가면 된다. 혹은 바로 아래층(2층)에 있는 신화포토를 찾아도 된다. 올라가는 계단에 넷아레나 로고가 붙어 있으니 참고바람. 기기대여는 1시간에 3천원, 2시간에 5천원. 매일마다 선착순 10명은 5000원에 3시간 대여가 가능한 이벤트를 상시 진행중이다.
기기 라인업은 철권 7 FR 20대가 유일하다. 다른 기기는 '''없다'''.
철권 7 FR 기기의 레버는 카제레버다.
2016년 4월 6일 서레나 담당 매니저가 바뀌면서 시간당 기기대여가 임시적으로 없어졌다. (홍대, 건대점을 담당했던 매니저)
매장 운영 시간도 기존 10:00 ~ 25:00 에서 12:00 ~ 24:00 로 변경되었으며 마감시간은 손님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된다고 한다.
그 외에도 방송석 설치 및 레버&버튼 세팅, 매칭 렉 제거 등의 개선사항을 알렸다.
음료수로 닥터페퍼, 코카콜라, 아카페라, 선키스트.음료를 1000원에 팔고 있으며 자체 wi-fi도 가동중이다. 그리고 충전기도있다.
철권 BJ 엠아재의 방송 장소이다.
매장 임대기간 만료로 2017년 5월 22일 영업을 마치고 폐점하였다. 남은 철권 기기들은 전국 각지로 옮겨졌다.
7. 북구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진 덕천1동에만 대략 9곳의 오락실이 밀집하였다고 한다.
2020년 전후로 에 북구 덕천동이랑 화명동에 오락실있었으나 화명동에는 폐업을 했다.
이제는 북구쪽에는 오락실이 거의없다.
7.1. 구포동 대왕오락실
북구에서 얼마 없는 오락실 중 하나. 1층에는 아케이드, 2층에는 PS2방을 설치해서 운영했었다. 2009년도에는 댄스 매니악스나 키보드매니아같은 희귀 비마니게임을 들여놓기도 했다. 북구의 철권유저들이 자주 모이는 곳이기도 했으나 2011년 11월 23일 갑자기 폐업하였다.
EZ2DJ가 2009년 기준 바이올렛 300원, 7.5th가 100원이었다.
7.2. 구포동 기타 오락실들
구포동에 3군데(?)나 오락실이 80년대 말부터 2000년 중순 까지 있었지만 인터넷상에 흔적을 찾을 수 없는 것 같다.
구포3동에 대왕오락실과 비슷한 규모인 유나오락실이 있었고, 이외에 포천초등학교 주변에 3군데의 오락실이 더 있었다.
80년대 말에서 2000년 초에 개업 추정, 2000년대 중순 쯤 폐업 추정.
7.3. 덕천1동 개미 오락실
1980년대에 개업하여 2000년대 초중반까지 운영하였던 오락실이었다. 당시 위치는 덕천시장 맞은편 지금 썬더치킨이 입점중인 건물의 지하층에 위치 하였다. 당연히 게임비는 100원이었고 90년대에 주로 운영되다 보니 그 흔한 철권 시리즈, 동전 노래방, 각종 리듬게임들은 입고되지 않았었다. 당시 사장님이 할머님이셨는데 꽤 성깔이 있으신 사장님이었다.
한창 운영했을 때의 게임 라인업
- 킹오파시리즈 95, 96
- 세이부 컵 축구
- 나이츠 오브 더 라운드
- 갈스 패닉
- 헤비 스매쉬
- 마계촌
폐업은 PC방의 광풍이 불던 2000년대 초중반에 된 것으로 추정.
7.4. 덕천동 기타 오락실들
덕천동에 3군데(?)나 오락실이 80년대 말부터 2000년 중순 까지 있었다.
80년대 말에서 2000년 초에 개업 추정, 2000년대 중순 쯤 폐업 되었다.
어느 한 곳은 현재 PC방이 입주해있다.
7.5. 야사노 화명점
-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303번길 25, 503호 (화명동)
- 홈페이지: http://yasano15.modoo.at/
- 영업시간 (연중무휴)
- 평일 12:00 - 24:00
- 주말 11:00 - 02:00 [공휴일포함]
- 보유 중인 게임
- 펌프 잇 업 XX 1대 (TX기체 , 온라인 , 1크레딧 1000원 , 4라이프)
- 장총사격
- 권총사격
- 피칭
- 풍선다트
- 펀치
- 스피드하키
8. 사상구
8.1. 학장동 땅이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123번길 43 (학장동) 네이버 거리뷰
- 가동중인 게임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1조 [13]
- DJMAX TECHNIKA 3 1대
- EZ2AC : ENDLESS CIRCULATION 1대
- 태고의 달인 11 1대 [14]
- 드럼매니아 V7 1대
- 펌프 잇 업 2011 FIESTA EX 1대
- 동전 노래방 6대
- 그 외 다 수의 뽑기와 스틱 게임
특이사항으로는 부산에 몇 남지 않은 테크니카 1대가 운영중이며 기기의 상태는 양호하다. 다만, 사설서버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2017년 4월 14일 확인한 결과 폐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층 건물도 오리촌에서 횟집으로 바뀌고...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위치가 좋지 않은데다가 2층에 있는 점등이 악재로 작용한것 같다.
8.2. 주례동 그린게임랜드
냉정이라는 작은 번화가에 오락실 윗주변에 경남정보대와 동서대학교 및 각종 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까닭에 그 쪽 대학생들과 고등학생들이 인형뽑기와 노래방을 하러 많이 찾아오니 혼잡을 싫어한다면 오전과 밤 시간대에 가자.
2018년 9월 기준 ez2ac nt를 정리하였다.
2019년 1월 중순에 폐업. 리듬게임 기기들은 대부분 경성대 게임D로 이동했다.
8.3. 야사노 사상점
보유 중인 기기
EZ2AC : NIGHT TRAVELER 1대 500원
펌프 잇 업 EXCEED 2 1대 500원
9. 사하구
9.1. 하단동 디즈니 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1 (하단동) 네이버 거리뷰
- 위치: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로 가는 경사진 길목 아래쪽에 있다.
- 보유 중인 기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4조
- 철권 7 FR 4조
- 철권 5 DR 4조
- 철권 6 BR 1조 (300원, 5전 3선승)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3조 (300원, 5전 3선승)
- 타임 크라이시스 2 1대
- EZ2AC -FINAL-
- EZ2AC : TIME TRAVELER
- 보글보글
- 테트리스
- 부스형 노래방 20대
2020년경 폐업.
9.2. 하단동 엔젤게임랜드(구 시공게임장)
-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16번길 37, 1층 (하단동)
- 위치: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오르는 길목 왼쪽편 골목 안쪽 오피스텔 1층에 위치했음
- 보유 했던 기기
- EZ2AC : EVOLVE 2.03c 1대 (LCD) [17]
- EZ2DJ : BERA 1대
- EZ2AC : TIME TRAVELER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 철권 5
- 철권 6
- 타임 크라이시스 2
- 갈스패닉 S -EXTRA EDITION-
- 퍼즐보블
- 틀린그림찾기 2
- 노래방
9.3. 감천동 아톰게임랜드
- 주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 위치: 삼성여고 버스정류소 뒤 상가에 있다.
- 보유 했던 게임
- 고전게임 다수
- 노래방
- EZ2DJ CV
- EZ2DJ AEIC
- 펌프 잇 업 ZERO (고장)
9.4. 괴정동 맥스게임랜드
주택가 한가운데 있는 게임장치고는 꽤 크다.
하지만 화장실이 좀 후지다. 특히 가는 길이... 가보면 안다.(...)
그리고 거의 매일 오락실 앞에 양아치들이 상주한다. 학생들은 괜히 오래있지 말자.
비교적 최근에 알려진 오락실으로 이전에는 동네 작은 오락실처럼 일반 오락기들만 있었지만 2010년 중순을 기준으로 리듬게임(유비트, 테크니카, EZ2DJ등), 격투게임(철권6 BR)등이 들어오면서 부산에서도 나름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맥스라이더(!)'''가 가동되고 있는 오락실.
유비트는 처음에 니트 2대를 들여놨지만, 워낙 끝물에 들여놓아 매상이 크게 오르지 못해 코피어스로는 한대만 업그레이드 되었다. 넷 연결이 끊긴 니트 한대는 1코인 2크레딧으로 가동되는 중이었다가 2012년 9월중 철수하였다.
DJMAX TECHNIKA 2는 유비트와 같이 한대가 들어오고 후에 한대가 추가 되었다. 그런데 왼쪽 기계의 터치스크린 인식이 상당히 불량... 수리가 되었음에도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안습. 결국 오른쪽 기계만 DJMAX TECHNIKA 3으로 업그레이드 시키기로 결정. 남은 한대는 처분한다고 한다.
철권6 BR은 2조가 존재.(3조 2P 화면이 불량하더니 결국 1P까지 같이 처분) 그 외에 철권5 2조, 태그토너먼트 4조등이 존재.
이니셜D 3 1조가 가동되고 있다. 1크레딧에 200원.(카드는 지원하지 않는다.)
타임크라이시스 2가 존재한다. 화면 인식이 불량했으나 수리 된 상태. 크레딧 당 300원이다.
이 외에도 이전 모습을 찾아볼수 있는 기기들이 많은데, 섹시 파라다우스같은 희귀게임부터 미션크래프트(1945에 스타크래프트를 합성한 짝퉁이다.)같은 괴작까지 있는 여러가지 의미로 신기한 곳.
오래방 9부스가 존재한다. 1곡에 400원으로 인상되었다가 결국 300원으로 인하되었다.
2012년 3월 28일부로, 유비트 코피어스 1대가 철수되었다.
2014년 2월, 폐업을 준비하는 것 같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2014년 11월, 맥스라이더가 철거되고 규모가 축소됐다. 2015년 8월 기준 철거된 자리에는 식당이 들어섰으며 가동기기도 20대 내외로 감소했다. 2016년 2월 기준 가동기기가 더 줄어들어서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 2013년 맥스게임랜드 리듬게임 라인구성은 다음과 같다.
* Ez2DJ AEIC 1대 (300원) / Ez2DJ BERa 1대 (300원) - (총 Ez2DJ 2대)
* DJMAX 테크니카3 1대(500원에 2크레딧)
2015년 10월 현재, 리듬게임은 없고 철권 몇대와 고전게임만 돌아가고 있다고 한다.(사하구 리겜시장 전멸...)
2016년 5월 기준으로 다른 가게가 들어와있다.
10. 연제구
10.1. 연산동 동그라미 게임랜드
- 주소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225번길 5 (연산동)
- 위치 : 연산8치안센터 버스 하차 후, 다이소 안 골목으로 얼마 안가서 문구점 쪽 지하 1층
- 영업시간 : 10:00~23:00
- 가동중인 게임
- 철권 6 1조
- 철권 5 1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3조
- EZ2AC : NIGHT TRAVELER 1대
- 퍼커션 프릭스 1st 1대
- 더 하우스 오브 데드3 1조
- 동전노래방 10칸
- 그 외 테트리스, KOF 2002, 메탈슬러그5, 1945 3등 다수
안타깝게도 폐점된것으로 확인되었다. 폐업 시기는 2018년 2월~3월 초 사이로 추정된다.
11. 영도구
11.1. 제일 오락실
위치는 영선동에 있던걸로 기억하고 남항 초등학교에서 내려가면 나오는 오락실이다. 지하특유의 음침한 분위기가 났고 영선동에서는 바로 옆 로타리 오락실을 제외하곤 갈만한 유일한 오락실로 기억한다.
폐업시기는 불명.
11.2. 너구리 오락실
영도구 남항 시장쪽에 위치하고 있던 오락실인데, 지하 오락실이었다. 유형이 지난 고전게임들이 많이 배치가 되어있었는데, 꼬마애들이 많이 찾았다. 이 오락실에서 가장 인기 있던 게임은 4인용 서유기 게임이었다. 시설이 많이 낙후되어있어서 당시 50원짜리를 빙그르 돌려서 넣으면 코인이 올라가는 꼼수가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할머니가 다 알고도 눈감아줬던 것 같다.
소문에는 할머니가 몸이 많이 안 좋아지셔서 폐업한걸로 기억.
11.3. 따봉 오락실
너구리 오락실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남항시장 부근 오락실이다. 주로 철권태그 유저가 주 이용객.
11.4. 4차원 오락실
대평초등학교에서 쭉 내려오면 사거리가 나오는데 사거리쪽 오락실이다. 자리가 좋아서 유동인구가 꽤 많았다.
12. 중구
12.1. 광복 롯데몰 롯데시네마 큐브존
- 주소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2, 롯데몰 광복 10층 (중앙동6가)
- 위치 : 1호선 남포역 8, 10번 출구와 연결된 롯데몰 광복(엔터테인먼트동) 10층 롯데시네마 내에 있다.
- 가동 중인 게임
- 건슈팅 게임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 다크 이스케이프 4D 1대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 렛츠 고 정글 1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레이싱 게임
- 스피드 라이더 2 2대
- 격투 게임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대
- 철권 6 2대
- 고전게임
- 버블보블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 기타
- 틀린그림찾기 5 1대
- 펀치기기 1대
- 인형뽑기 (UFO 캐처)
- 농구게임
- 건슈팅 게임
기기가 모두 없어졌다.
12.2. 남포동 노리존
- 가동 했던 게임
- 유비트 소서 2대
- 테크니카 3 1대
- 펌프 잇 업 FIESTA EX 1대
- 펌프 잇 업 FIESTA 1대
- EZ2DJ AE 2대
- EZ2DJ BErA 2대
- 태고의 달인 6 1대
- 철권 6 1대
2013년 5월에 폐업하였다.
연도/일자 미상에 이 위치에 영풍문고가 입점했다.
여담으로 들리는 얘기인데, 노리존 철수 후 주인은 경성대에 신나는 게임존 이라는 오락실을 열었다고 한다.참고
참고로 이 유비트 2대는 현재 경성대·부경대에 있는 대왕게임랜드에 있다.
12.3. 창선동 와이즈파크 펀잇
- 주소: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39번길 6, 와이즈파크 부산점 B1층 (창선동1가)
- 위치: 와이즈파크 부산점 B1층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FX 기체, 온라인, 500원, 4라이프)
- EZ2DJ AEIC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 레이징 스톰 1대
- 렛츠 고 정글 1대
- 오바케야시키 1대
- 데이토나 USA 2 2대 (DX 기체)
- 아웃런 2 SP 2대
- 철권 6 1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대
- KOF 98
- 퍼즐보블
- 버추어 스트라이커 2
- 건버드 2
- 스트라이커즈 1945 II
- 더 비시바시 1대
- 히든캐치 5
- 천방지축 1대
- 다라이어스 버스트 어나더 크로니클 1대 (500원 / 무한잔기 2000원)
- 노래방 9실 (500원 2곡, TJ S60F)
- 농구대 3대
- 해피 프라이즈(인형뽑기)
13. 해운대구
13.1. 센텀시티 신세계백화점 CGV 펀잇
-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남대로 35,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7층 (우동)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1,000원 (TX 기체)
- 철권 6 BR 2대 5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5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500원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1,000원 (일본 내수판, 카드 사용 불가)
- 스피드 라이더 2 2대 1,000원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대 1,000원
- 렛츠 고 정글 1대 1000원 (DX 기체)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1000원 (DX 기체, 한국어판)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10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1000원 (DX 기체, 일본어판)
- 레이징 스톰 1대 1000원 (SD 기체, 한국어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000원 (1p 에임 불량)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1000원 (DX 기체)
- 아이스맨 1대 1,0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II 2대
- 버블보블 1대 (해적판)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 더 비시바시 1대
- 히든캐치 5 2대
- 천방지축 스마트 스매커 1대
- 픽셀크래프트 1대
- 에어하키 1대 1,000원 (패스트트랙)
- 인형 뽑기 소수
- 사탕 뽑기 2대
- 부스형 노래방 6대 1곡 500원, 2곡 1000원 (금영 KMS-K100 2대, KMS-S100 2대, TJ B70 2대 / 퀴즈모드 가동)
- 스티커 사진기 1대
13.2. 골든벨 오락실
위치는 반송우체국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아랫반송로 23번길로 3~4분간 걸어 올라가면 나왔던 곳이다. 모 슈퍼마켓 옆에 지하로 통하는 문이 있었는데, 그 곳이 이 오락실이었던 것으로 추정. 근처에는 영산대가 있다. 폐업시기는 불명. 여기에 펌프 잇 업/Zero가 있었다고 한다.
이 오락실이 위치했던 지하는 현재 막혀있다.
13.3. 타임머신 게임랜드
스펀지 철길 건너편으로 1분정도 올라가면은 약국이 있는 건물 지하에 있었다. 여기는 시간제로 운영하였고 시간당 1500원이다. PS2게임하고 리듬게임, 동전노래방 등 보유했었는데 2011년쯤 폐업한걸로 추정된다. 현재는 공장 물류창고로 되어 있다.
13.4. 맘모스 게임랜드
위의 타임머신 게임랜드가 있는 건물에서 오른쪽 골목(우동 2로 14번가길)으로 올라오면 있다. 건물도 그대로 있고 간판이 아직까지 철거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2003년 이전에는 폐업한 것으로 추정된다.
13.5. 해운대 스펀지 메가박스 큐브존
- 주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648, 스펀지 7층 (중동)
- 위치 : 2호선 해운대역 1번 출구로 나가면 보이는 스펀지 7층 메가박스 내에 있었다.
- 가동 했던 게임
- 레이징 스톰 1대 (일본어판)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일본어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렛츠 고 정글 1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5 2대
- 동전노래방 3대 (엣지플러스 부스 + TJ B60)
- 철권 6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대
- 기타 스틱게임들
- 인형뽑기들
[1] 하지만 이 학교는 산업체 부설학교라서 일반 학생들이 들어가는 학교는 아니었고 학교 특성상 비행 청소년들을 아무렇게나 끌어모을 정도의 학교도 아니었다. 오히려 주야 교대로 근무하면서 주경야독 식으로 학교를 다니던 바쁜 학생들이었을뿐...[2] 1994~1995년도 당시 평산리(현.평산동)에 제대로 된 목욕탕이라곤 새진흥 5,6차 아파트 인근에 있는 약수탕이라는 곳 뿐이었고, 심지어 약수탕 사장이 봉고차를 직접 구매하여 자체적으로 봉우아파트까지 가는 셔틀노선을 만들어서 운행할 정도였다.[3] 뿐만 아니라 그당시 웅상읍의 교육환경도 굉장히 열악해서 집은 웅상읍인데 학교가 구서동에 있어 장거리 통학을 하는 경우가 흔했고, 그 때문에 자녀가 중학교 입학시기가 가까워졌을때, 이남지역(부산)이나 이북지역(울산)으로 이주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았다. 당시에는 구서동 학군의 명성이 있다보니 웅상읍 일대에 거주하면서 주소지는 구서동으로 위장전입하는 사례 또한 굉장히 많았었다.[4] EZ2 5대, 팝픈뮤직 1대, 유비트 2대, 사운드 볼텍스 2대, IIDX 1대(3층에 설치) 예전엔 펌프와 타임 크라이시스도 있었으나 기기 노후화 문제로 인해 철거되었다.[5] EZ2 1대[6] USB가 반대로 인식된다.[7] 카드 인식부는 스티커로 가려져 있다.[8] 국산미니게임인 듯 하다.[9] 페달소음이 매우 시끄러운데 3번 이펙트가 불량하다. 소리는 커서 키울 필요는 없다.[10] 역 이용자 대부분이 동의대학교 학생들이고, 그들은 거의 대부분 학교버스를 타고 올라가거나 버스타고 서면에 간다.(...) 그들을 제외하면 일반 주택가 수준의 유동인구 정도다.[11] 현재는 입주한 점포가 없는지 셔터가 닫혀있으며 이쪽에도 과거에 오락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경에는 6층 전체가 오락실이었지만 2007년경에 확인했을땐 7층으로 이동하고 일부 오락기가 7층으로 올라가는 계단부분에 있었다(그 당시 있던 오락기는 퍼즐보블,틀린그림찾기,아타리 테트리스등 약 8~9종정도 존재했었다) 2013년에 확인할 당시에는 현재의 위치에 존재.[12] 웃기게도 일반 게임코너와는 칸막이가 일절 없었다.[13] 1P의 화면이 불량이므로 2P로 플레이할 것을 권장한다.[14] 1P 북 상태가 좋지 않다. 동을 치면 오른쪽 캇이 같이 쳐지기도 한다.[15] 보통 평일 오후 3시에 가면 개점되어있다.[16] 해당 게임의 플레이 비용은 500원이다.[17] 타이틀 로딩이 느린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