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게임: 레드 드래곤/핀란드

 



1.1. 지휘(LOG)
1.1.1. 지휘
1.1.2. 보급
1.2. 보병(INF)
1.3. 지원(SUP)
1.3.1. 포병
1.3.2. 방공
1.4. 전차(TNK)
1.5. 정찰(REC)
1.6. 차량(VHC)
1.6.1. 수송차량
1.6.3. 화력지원차량
1.7. 헬기(HEL)
1.7.1. 수송헬기
1.8. 항공(AIR)

연도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WRD핀란드군 항목.

1. 핀란드 공화국 전투단


냉전 당시 중립국이었지만 친소적인 성향을 고려하여 레드포 국가로 추가되었다. 유고슬라비아와 같이 DOUBLE NATIONS PACK DLC로 추가되었다. 레드포 소속이긴 하지만, 원래는 중립국이므로 서방제 장비를 많이 도입했다.
핀란드는 빵빵한 정찰유닛들과 좋은 성능의 보병진, 준수한 대공능력이 장점이지만, 단점으론 전차진의 대부분이 명중률, 공격력은 좋은데 장갑은 부실한 유리대포라는점과 지상공격기가 약간 부실하다는점이다. 전체적으로 전차의 주포의 성능은 좋은데 T-55, T-72기반의 개량형이라 전선 돌파능력이 떨어지고[1], 거기에 헬기와 지상공격기 전력도 부실하여 전선이 돌파 당했을때 즉응 능력도 떨어지는 편이다. 이 점이 크게 작용하여 라인전보단 보병/정찰유닛을 활용한 게릴라전에 특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폴란드와 연합 덱인 발틱 동맹을 구성할수있으며, 서로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수있는 좋은연합이다. 핀란드에겐 폴란드로부터 부족한 헬기전력과 지상공격기, 유리대포 전차진을 보조할 WILK 시리즈들을 대려올수 있으며, 폴란드는 강력한 비레이더 방공과 하이엔드 제공기, 탄탄한 보병진과 정찰유닛들을 얻을수있다. 핀란드에겐 워게임 최고의 정찰 유닛들과, 탄탄한 보병진, 동독의 LStR과 영국의 SAS 뺨치는 대공+대전차 조합으로 이글라+APILAS를 들고 나오는 '''정찰보병'''과 20mm 대전차 소총을 들고오는 예비군 화력지원반등 다양하고 특색있는 유닛들이 많고, 그만큼 많은 조합과 전술을 펼칠수있다.

1.1. 지휘(LOG)



1.1.1. 지휘


  • 보병
    • Komentojoukkue (지휘 분대) [100]
[image]
[image]
무장)Rk 62 돌격소총 / Kk 62 LMG
평범한 지휘보병이다. 시가지나 숲에 숨겨두면 거의 들키지 않지만 가용량도 적고 일단 차량에서 내리면 다른 지휘유닛들보다 이동속도가 훨씬 느리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차량화 지휘 차량 트리
    • GAZ-69 KOPA[2] (GAZ-69 지휘소) [100]
[image]
100원이라는 값싼 가격과 많은 가용량이 장점이지만 대신 포격 등에 취약하다.


  • XA-180 KOPA (XA-180 지휘소) [125]
[image]
무장)NSV MMG
이동속도가 빠르고 수륙양용인 장갑차 CV. 장갑이 1이기때문에 포격을 버티기는 어렵다.



  • 기계화 지휘 차량 트리
    • BTR-50YVI[3] (BTR-50 여단급 통신지휘시스템) [100]
[image]
무장)NSV MMG
이동속도가 느린 대신 얇은 장갑과 수륙양용 기능을 가진 장갑차 CV.


  • BMP-1K KOPA (BMP-1 지휘소) [125]
[image]
무장)73mm 2A28 Grom 주포
BTR-50YVI보다 속도와 장갑이 약간 오르고 25포인트가 비싸졌다.



  • 지휘 전차 트리
    • T-55A KOPA (T-55A 지휘소) [120]
[image]
무장)100mm D-10T 주포 / DShK MMG
지휘전차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 이 T-55지휘전차는 값은 싸지만 상면 장갑이 1이라 포격에 여전히 취약하다..


  • T-72 KOPA (T-72 지휘소) [160]
[image]
무장)125mm 2A46 주포 / NSVT MMG
이 유닛은 상면 장갑이 2여서 포격에 어느정도 저항할 수 있다. 포격이 날아오는 최전선에 숨겨두는 용도로 쓰인다.



  • 헬기
    • Mi-4 KOPA (Mi-4 지휘소) [100]
[image]
무장)KPT MMG
지휘헬기는 숲에 숨지도 못하고, 시가지에 엄폐도 못한데 심지어 별로 빠르지도 않다. 써먹고 싶어도 못 쓸 유닛.

1.1.2. 보급


  • FOB [75]
  • 트럭
    • Terra 865BM KPI (테라 865BM KPI) [10]
[image]
보급량 500L. 평범한 보급트럭이지만 도하가능하다.


  • SA-150 KPI (SA-150 KPI) [15]
[image]
보급량 800L. 위의 것과 다르게 도하는 못하지만 야지속도가 약간 빠르다.
10원짜리 보급은 보급량이 너무 적어서 보통은 이걸 쓴다



  • 헬기
    • Mi-8P KPI (Mi-8P KPI) [35]
[image]
보급량 1500L로 적은편이다.

1.2. 보병(INF)


공병대를 제외하면 모든 종류의 보병을 갖추고 있다.
  • 소총분대
    • Jääkäri (엽병) - 정규보병 [10]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M72 LAW LAW / Kk 62 LMG
현대화버전보다 가용량이 좀 더 많지만, 성능적으론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 Jääkäri '90 (90년도 엽병) - 정규보병 [10]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M72A4 LAW / Kk 62 LMG
대전차 화기만 A4 LAW[4]로 바뀐다. 그래서 가격도 여전히 10포인트. 기관총의 연사력이 491 r/min으로 연사력 594 r/min의 mg3이나 미니미로 무장한 일부 상비군(이들 대부분이 그에 대한 패널티로 대전차 무기가 AP 16임에도 15pt이다.)를 제외하면 가장 빠른 수치이므로 10pt라는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최상위권 대보병 능력치를 가진다.
그리고 워겜 적폐로 욕 먹는 사기유닛 XA-185KT를 타고 나오는 값싼 보병이다.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Raikka LAW / Kk 62 SAW
현대화버전보다 5원 저렴하지만 대전차화기와 소총의 성능이 떨어진다.


  • Panssarijääkäri '90 (90년도 장갑엽병) - 충격보병 [25]
[image]
[image]
무장) Rk 90 TP 돌격소총 / APILAS LAW / Kk 62 SAW
현대화 되면서 장비를 Rk 90TP소총과 APILAS 대전차로켓으로 갱신한다.
이 대전차로켓은 연사력도 빠르고 관통력도 뛰어나서 뭣모르고 들이대는 미들급도 잘하면 보낼 수 있다. 다만 대보병은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 Rannikkojääkäri (해안엽병) - 정예보병 [30]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Raikka LAW / Kk 62 SAW
핀란드의 해병대 정예보병이다. 현대화버전보다 5포인트 저렴하지만 대전차화기와 소총의 성능이 떨어진다.


  • Rannikkojääkäri '90 (90년도 해안엽병) - 정예보병 [35]
[image]
[image]
무장) Rk 62/76 TP 돌격소총 / APILAS LAW / Valmet M78 SAW
현대화 되면서 소총과 대전차화기를 바꾼다. AP23짜리 APILAS 대전차로켓을 분당 20발씩 쏠뿐더러 시가전에서 강력한 DPS를 보여준다. 타국가 정예보병과 비교하면 대보병 능력이 좋은편은 아니다.



  • 경보병
    • Kaartinjääkäri (근위엽병) - 충격보병 [25]
[image]
[image]
무장) Suomi KP SMG / M72A4 LAW LAW / RPD SAW
수오미 기관단총, LAW, RPD로 무장한 15인 분대 경보병. 여타 경보병들과는 달리 무반동총 대신 LAW, 전투소총 대신 기관단총을 들고 나오는걸로 보아서 좀 더 대보병에 초점을 맞춘 유닛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관총이 RPD라는게 아쉽다.



  • 대전차조
    • PstOhj[5] 82M (대전차미사일 82M, 9M113 콩쿠르스) - 정규보병 [20]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Konkurs SACLOS ATGM
콩쿠르스M도 아니라서 명중률도 별론데 사거리만 너무 길어서 날라가다가 시야에서 사라지거나 빗나가버리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PstOhj 94가 약간의 사거리를 제외하면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


  • PstOhj 94 (대전차미사일 94, 스파이크-MR) - 정규보병, 프로토타입 [20]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Spike MR SALH ATGM
Spike-LR이 아닌 MR이라 사거리가 짧은 것이 아쉽지만 빠른 탄속과 높은 명중률로 인해 워게임에서 가장 좋은 대전차유닛중 하나이다. 밀란의 2배에 가까운 미사일 속도에 65%라는 엄청난 명중률을 가지고도 20원에 불과하므로 이 또한 op 유닛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거 여기저기 박아두고 정찰병으로 시야 확보하면 상당히 성가셔진다.



  • 화력지원분대
    • Nostoväki - 예비군, 프로토타입 [10]
[image]
[image]
무장) M/39 전투소총 / Lahti 저격소총
라티 L-39 20mm 대전차 소총을 들고 나오는 5인 예비군 화력지원분대. KE특규가 붙어서 대물저격총처럼 접근할수록 화력은 증가하지만, 예비군이라 발이 느려 자주 묻힌다. 모신나강이 개인화기이다.


  • Raskassinkoryhmä (중(重) 로켓발사기반) - 정규보병 [15]
[image]
[image]
무장) M/39 전투소총 / Musti LAW
중국의 전차살수랑 비슷한 스탯의 95mm 무반동총을 사용한다. 화력지원반 중에선 괜찮은 성능이다.



  • 대공반
다른 국가들과 달리 대공 특기병들도 IFV를 타고 나올 수 있다.
  • ItO[6] 78 (대공미사일 78, 스트렐라-2M) - 정규보병 [5]
[image]
[image]
무장) M/39 전투소총 / Strela-2M 적외선 SAM
사거리도 딸리고 명중률도 처참하고... 방공이라 하기도 부끄러운 수준이다.


  • ItO 86M (대공미사일 86M, 이글라) - 정규보병, 프로토타입 [15]
[image]
[image]
무장) Rk 62 돌격소총 / Igla 적외선 SAM
이글라를 쓰는 팀인데 정찰탭의 정예보병도 정확히 똑같은 맨패드를 들고 나온다.

1.3. 지원(SUP)



1.3.1. 포병


  • 자주박격포
    • 82mm
      • TelaKrh[7] 71 (자주박격포 71) [30]
[image]
무장)82mm M37 박격포
82mm 박격포는 연사력이 빠르고 조준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탄 하나하나의 효과는 떨어지는 편이다.


  • 120mm
    • TelaKrh 84 (자주박격포 84, 2B11 툰챠) [40]
[image]
무장)PKT / 120mm 2S11 Tundscha 박격포
동독의 자주박격포와 동일하다.
120mm 박격포는 연막 크기와 위력, 연사력이 적절해서 화력지원용으로도 잘 써먹고 연막 전개시에도 좋다.



  • 160mm
    • TelaKrh 66 (자주박격포 66) - 프로토타입 [60]
[image]
무장)160mm M-66 박격포
ATS-59 차체 후방에 M-66 160mm 박격포를 단 자주박격포. 한발 한발이 죽창이긴 한데 조준시간이 길기 때문에 120mm와 비교하여 화력지원은 잘해도 연막을 치기엔 별로이다.



  • 자주포
    • 122mm
      • PsH[8] 74 (장갑자주포 74, 2S1 그보즈디카) [55]
[image]
무장)122mm 2A18 곡사포 / 122mm 2A18 주포
122mm라고 무시할 수도 있지만 이 자주포는 한번 조준에 10발을 계속 꽂아넣는 자주포다.
서로 전선이 고착화되면 이걸 두들겨서 신나게 괴롭혀 줄 수 있다.


  • 152mm
    • TelaK[9] 91 (자주포 91, 2S5 Giatsint-S) - 프로토타입 [100]
[image]
무장)152mm 2A36 곡사포
152mm 곡사포를 오픈탑으로 장착한 자주포로, 2S7 과 비슷하게 생겼다. 조준시간이 10초로 꽤나 준수하며, 1회 사격시 5발을 연속으로 사격한다. 사격속도는 의외로 꽤 빠른편. 분당 7발이나 쏜다. 다만 오픈탑의 특성상 대포병 사격에 굉장히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155mm
    • TelaK 84 (자주포 84) - 프로토타입 [110]
[image]
무장)155mm 155K70 How 곡사포 / 155mm 155K70 AP 주포
왠지 이스라엘의 Sholef를 닮은 시제형 자주포. 실제 핀란드군이 운용한적은 없다. 1팩 4대가 가용하며 K9 처럼 3발 쏘고 사격을 멈춘다. 덕분에 시프트 키를 이용하여 행동을 미리 지정하여 대포병 사격을 편리하게 피할 수 있는게 장점. 현대화 자주포 판정이라 조준속도와 사격속도도 상당히 빠르다. 다만 포의 공산오차가 무려 6370m(2S19 므스타의 경우 4550m) 나 되는 자유분방한 명중율을 보여줘 대포병사격을 했는데 적을 하나도 못잡는 비극을 연출하기도 한다. 그리고 철갑탄은 명중률부터 AP까지 정말 참담한 수준이니까 괜히 근접전에서 써보려고 하지말자. 아니, 그전에 사통부터가 구데기라서 실제 전차랑 만나면 조준하다가 쏘지도 못하고 터지기 일쑤이다.



  • 다연장로켓
    • RakH[10] 76 (로켓발사기 76, BM-21) [75]
[image]
무장)122mm 9M217 MLRS(집속탄)
관통력 3의 약한 클러스터를 쏜다.



  • RakH 89 (로켓발사기 89, RM-70) [100]
[image]
무장)122mm M-210F MLRS(네이팜)


  • RakH 91 (로켓발사기 91, BM-27) - 프로토타입 [120]
[image]
무장)220mm 9M27F MLRS
핀란드가 BM-27을 실제로 운용하지는 않았지만, 냉전이 지속된다는 세계관이라 나온듯 하다. 고폭로켓을 쓰는데다 1팩 2대만 가용하여 사용하기가 여러모로 애매하다.
탄 분산이 작은 편이므로 섹터 광역 제압같은 용도로 사용가능하며, 높은 고폭위력과 제압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연장의 목적인 스턴 및 사기저하에 효과적이다. 최소사거리가 7000m로 굉장히 기므로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1.3.2. 방공


  • 자주대공포
    • 목측
      • Sergei (세르게이) [15]
[image]
무장)23mm ZU-23-2 쌍열자동기관포
ZU-23-2를 트럭에 얹은 방공 테크니컬. STAT 속성이 있다.


  • Sergei Mod (세르게이 개량형) - 프로토타입 [30]
[image]
무장)23mm ZU-23-2 쌍열자동기관포
위의 세르게이랑 같은 무장인데 광학추적장치라도 달았는지 명중률이 매우 높아졌다. 다만 발칸처럼 끊김 없이 쏘는 건 아니므로(10발 사격 후 재장전) 재장전기간 동안 적 헬기가 정신차리고 역공해서 죽을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그리고 이동간 사격을 못하므로 적 헬기가 접근하면 정지시키자.



  • ItPsv[11] SU-57-2 (대공전차 SU-57-2, ZSU-57-2) [25]
[image]
무장)57mm T69 쌍열자동기관포
대헬기사거리가 2800이나 되지만 명중률은 15%에 불과하다.
하지만 제압력이 상당해서 헬기 실신 먹이거나 보병 화력지원 때 탁월하다.
  • 레이더
    • ItPsv Marksman (대공전차 막스맨, T-55 막스맨) - 프로토타입 [60]
[image]
무장)35mm Twin KDA 쌍열자동기관포(레이더)
어디서 많이 본 이름인것 같다면 맞다. 영국의 Marksman 방공 시스템을 T-55에 장착했다. 센추리온 막스맨과 비슷한 느낌이다.



  • 대공 미사일
[image]
무장)Igla 적외선 SAM
SA-150트럭에 2연장 이글라 발사기가 달린 방공 테크니컬. 2발 사격후 재장전을 한다.


[image]
무장)Crotale NG 적외선 SAM
프랑스의 최강 비레이더 방공, 크로탈을 핀란드에서도 만나볼수있다. 85포인트로 8연장 크로탈 발사기를 달고 오므로 탄이 부족해서 헬기를 놓치는 일은 없을 것이고, 헬기 사거리가 3325미터인데다 차륜형이라 도로이동이 빨라 초반 헬리본을 박살내버릴수있다. 그리고 원본 크로탈에서 장탄수만 증가한 것이 아니라 대항공기 사거리 2800m(크로탈은 2625m), 명중률 65%(크로탈은 60%)로 강화된데다가 야지기동성도 약간 더 증가해 단점이라고는 좀 쎈 가격 말곤 없다. (이런 스펙에 85원이라는 가격은 단점이 아닌 장점에 가깝다) . 차륜형 '비레이더' 방공이 이런 사거리와 명중률에 장탄수를 8발이나 가지면 더 이상 할 말이 없어진다. 유겐의 DLC 만행 중 하나. OP 유닛


  • 레이더
    • ItO 79 (대공미사일 79, S-125 Neva) [55]
[image]
무장)V-600P 레이더 SAM(레이더)
북한의 번개2와 같다. 사거리와 HE는 위협적이지만 명중률이 낮은편이다.


  • ItO 96 (대공미사일 96, 9K37M1 Buk-M1) - 프로토타입 [85]
[image]
무장)9M38M1 레이더 SAM(레이더)
핀란드가 1996년에 불곰사업처럼 채무 상환의 일환으로 현물인 BUK을 받아온것.[12] 원판 BUK처럼 장거리 방공망을 담당한다. 두세대 배치되면 그 주변에 비행금지구역이 생기는 수준인데 그렇다해도 시드기는 주의하자.

1.4. 전차(TNK)


핀란드 전차진에서 뽑아 먹을 것은 두가지 정도가 있다. 하나는 T-72M1MOD고 하나는 채리어티어다. 주포의 화력과 정지사격 명중률은 탑클래스지만 스테빌라이저가 심각하게 안좋다. 하이엔드급인 T-72M1 MOD 조차도 정지상태 70%의 명중률과는 달리 스태빌라이저는 40%밖에 되질 않는다. 채리어티어는 아예 스태빌라이저가 없으니 이동간 사격은 봉인한다고 생각하자.
[image]
무장)84mm QF 20-Pdr 주포
태생은 구축전차인데 차량 카테고리 대신 전차 카테고리에 와있다. 15pt밖에 안 하는 싸구려 전차지만 전면장갑 5, 사이즈 보통, 1925m 8AP 8rpm KE 주포 등 모든 면에서 T-34/85와 같은 동포인트 전차들은 그냥 씹어먹고 타국가 20pt 전차와 비슷한 성능을 가져 화력지원 전차로 많이 써먹는다. KT와 함께 핀란드의 OP유닛이다.



  • T-55트리
    • T-55A [25]
[image]
무장)100mm D-10T 주포 / NSV
딴 나라는 정찰용인데 핀란드는 전차탭에도 있다.


  • T-55M Matti [50]
[image]
무장)100mm D-10T 주포 / NSVT
화력몰빵버전 T-55. 명중률 60%, AP 17의 주포를 달고있는 흉악한 T-55다. 하지만 전면장갑이 7이라 대전차화기나 상대 전차에 그대로 비명횡사해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니 조심해야 한다. 다만 포의 성능만큼은 동급 최고 수준이니 소방수 역할로써는 적절한 편.



  • T-72트리
    • T-72M1 [75]
[image]
무장)125mm 2A46 주포 / NSV
  • T-72M1Päiv - 프로토타입 [120]
[image]
무장)125mm 2A46M 주포 / NSVT
아래의 T-72M1 MOD와 동일한 스펙에 방어력만 다르다. 그러니까 주포가 AP23에 명중률 70%짜리다(!).
하지만 120포인트의 비싼 가격과 달리 방어력은 T-72M1의 전면 14포인트 그대로라 상대전차와 남자답게 1대1로 멱살잡고 완타치를 붙는다면 그대로 터져나간다. 조심해서 구축전차처럼 운용하자.
숲에 숨어 있다가 측면을 노리거나 두세대가 한번에 뛰쳐나가 죽창을 먹여주자.


  • T-72M1Mod - 프로토타입 [165]
[image]
무장)125mm 2A46M 주포 / NSVT
핀란드의 하이엔드 전차. AP 23, 명중률 70%의 후덜덜한 주포를 가지고있다. 깡패같은 영국의 챌린저 2를 제외하고는 모든 블루포 전차를 뚫을수있다. 다만 전면이 21이라 적 대전차미사일이나 적 하이급 전차 주포에 버티기는 조금 힘들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가 매우 낮은 편이니 쏠 때는 꼭 멈추자.

1.5. 정찰(REC)


  • 보병
    • 수색분대
      • Sissi (장거리 정찰대) - 충격보병 [20]
[image]
[image]
무장)Suomi KP SMG / Raikka LAW / Dragunov SVD 저격소총
핀란드 국경수비대 소속 장거리 정찰 경보병. 준군사조직인 국경수비대 소속이지만 정규군에도 정식으로 편재된 집단으로, 대 게릴라전/정찰임무를 수행한다. 구성은 군 전역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게임 내 성능은 JSDF레인저나 스페츠나츠 GRU와 비슷하다. 여담이지만 sissi는 핀란드어로 파르티잔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 특수부대
    • Erikoisrajajääkäri (특수 국경수비 엽병) - 정예보병, 프로토타입 [35]
[image]
[image]
무장)Jatimatic SMG / APILAS LAW / Igla 적외선 SAM
핀란드 국경수비대/육군 산하의 특수부대. Sissi랑 비슷한 성격을 띈다. 동독의 LStR-40이나 영국의 SAS처럼 APILAS+이글라의 대전차+대공 로드아웃을 갖춘 정찰보병. 주화기로 SMG를 사용한다. 이 유닛도 KT와 채리어티어와 함께 OP라고 욕먹는 유닛이다. 그도 그럴게 SMG를 가져서 숲에서 싸우면 어느정도 저항이 가능하고 대전차화기도 연사력이 빨라 어지간한 깡통 스팸이나 미들급도 조심해야하는데 맨패드까지 있어서 헬기도 접근하기 껄끄럽다. 그리고 후방침투를 오면 이 세개가 합쳐져서 더 혈압이 오르게한다.



  • 차량
    • GAZ-69A (GAZ-69A) [25]
  • Mönkijä (ATV) [30]
[image]
WRD 최초의 1인승 ATV 정찰차량. 스트렝스가 3이라던가 스텔스가 웬만한 보병보다 좋다던가 사이즈가 Very small이라던가 상당히 유니크하다. 흠좀무한것은 이것이 야지에서 시속 80km, 도로에선 150km을 찍는다는것.



  • 장갑차
    • BMP-1TJJ [35]
[image]
무장)73mm 2A28 Grom 주포 / Konkurs SACLOS ATGM
73mm Grom 저압포와 콩쿠르스 대전차 미사일을 들고온다. 아래 것과 가격도 같고 무장만 차이나므로 취향따라 쓰면 된다.


  • BMP-1KT[13] (BMP-1 기관포, BMP-1) - 프로토타입 [35]
[image]
무장)30mm Bushmaster II 자동기관포 / NSV MMG
원판의 73mm Grom 저압포를 철거하고 30mm 부쉬마스터 II 기관포를 단 정찰형 BMP-1. 기관포가 강력하므로 공세적 정찰에 좋다. 하지만 장탄수가 적음에 주의.



  • 전차
    • PT-76B TiedPsv[14] (PT-76B 정찰전차, PT-76B) [15]
[image]
무장)76mm D-56T 주포


  • T-55M PionPsv[15] (T-55M 개척전차, T-55M) [65]
[image]
무장)100mm D-10T 주포 / NSVT MMG
네덜란드의 레오파르트1-V 정찰형과 비슷한 위치를 가지고있다. 주포의 정지사격 명중률이 70%로, 저격수에 가까운 명중률을 보였었지만... 패치로 60%로 너프당했다. AP는 미들급 전차를 뚫을 수 있을만큼 충분한 AP17이고, 광학장비 수치가 '매우 좋음'으로 시야또한 충분히 확보하고 사격할 수 있다.
정찰전차 특유의 은밀성 때문에 상대가 정찰 유닛 없이 접근하면 일방적으로 팰 수 있고 측면을 노릴 수 있다면 적 하이급에게도 위협적이다.



  • 헬기
    • Alouette II (알루에트 2) [35]
[image]
값싸면서도 시야가 좋다. 하지만 속도가 진짜 궤멸적이니까 초반 전개확인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image]
알루에트보다 속도도 빠르고 시야도 좋지만 문제는 너무 비싸다...

1.6. 차량(VHC)



1.6.1. 수송차량


  • 트럭
    • ZiL-157 (ZiL-157) [5]
[image]
그냥 흔한 트럭.



  • 장륜 장갑차
[image]
무장)KPVT HMG
BTR시리즈는 15원인데 기관포조차 안 달려있다.


[image]
무장)NSV MMG
그냥 VAB이다. 보병 내리고도 보병 화지로 잘 써먹을 수 있다. BTR따위와는 비교도 안되는 가성비니까 차륜형 장갑차를 쓰려면 KT 아니면 이걸 쓰자


  • XA-185KT (XA-185 기관포) - 프로토타입 [15]
[image]
무장)30mm Bushmaster II 자동기관포 / NSV MMG
부쉬마스터 II 30mm 기관포를 단 IFV. 기관포의 명중률과 AP가 절륜해서 많이 사용된다. 1/1/1/1로 장갑은 거의 없으며 장탄수가 적지만 애초에 15포인트 장륜 장갑차의 역할은 탱킹을 하면서 전선을 뚫어내는 하이엔드 전차의 역할이 아니라 전방으로 빠르게 보병을 수송한 후 보조화력을 지원하는 역할이다. 다른 진영의 15포인트 장륜 수송장갑차들은 약 1500m 사거리의 AP 1~2붙은 20미리 기관포로 적 보병을 쪼아대다가 산화되는게 한계일 때 20포인트 이상의 고급 "궤도형" IFV(주행속력에서 장륜형과 궤도형이 압도적으로 차이나기 때문에 장갑이 얇더라도 장륜형이 훨씬 선호된다.)에나 달릴 사거리 1750m, 명중률 60%, AP 4라는 엄청난 기관포로 상대방 장갑차들을 학살하는 DLC 진영 OP 유닛 중 하나. 레드포 유닛인데도 미국 브래들리 장갑차 최신형보다 기관포 AP가 더 높다. 30mm 포탄을 어디서 사오는지 모르겠다. 참고로 명중률이 끝내줘서 두세대가 뭉쳐있으면 사거리내로 들어온 적 헬기도 잡아낼 수 있다.



  • XA-180 Musti (XA-180 무스티) [10]
[image]
무장)Musti LAW / NSV MMG
95mm 무반동총을 오버헤드 포탑에 단 버전. 경보병 전용이지만 화력지원용 Musti 팀도 타고 나올 수 있다


  • XA-180 KrKk[16] (XA-180 유탄기관총) [15]
[image]
무장)30mm AGS-17 유탄발사기 / NSV MMG
경보병 전용 유탄발사기 장비형 XA-180.



  • 궤도장갑차
[image]
무장)NSVT MMG



[image]
무장)73mm 2A28 Grom 주포
1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을 자랑한다. 대신 소련의 bmp 시리즈들과는 다르게 오토로더가 아니기 때문에 공황상태에 빠지면 주포가 잠궈져버리니 주의.


[image]
무장)30mm 2A42 자동기관포
XA-185KT보다 나은건 장갑밖에 없는데 가격은 더 비싼 불합리함을 겪고 있다.

1.6.2. 대전차차량


  • 비장갑 대전차차량
    • Terra Musti (테라 무스티) [10]
[image]
무장)Musti LAW
Musti 95mm 무반동총을 실은 트럭..


  • UAZ PstOhj (UAZ 대전차미사일, UAZ-469) [15]
[image]
무장)Fagot-M SACLOS ATGM
파곳-M을 사용하는 지프.



  • 장갑화 미사일차량
    • BTR-50 Vigilant (BTR-50 비질란트) [15]
[image]
무장)Vigilant MCLOS ATGM
영국제 ATGM을 단 소련제 장갑차.


  • XA-180 PstPsajon[17] (XA-180 대전차장갑차) [40]
[image]
무장)I-TOW SACLOS ATGM


  • XA-185 PstPsajon (XA-185 대전차장갑차) - 프로토타입 [60]
[image]
무장)TOW 2 SACLOS ATGM


1.6.3. 화력지원차량


[image]
무장)75mm StuK 40L/48 주포 / DT 7,62 MMG
2차 대전때의 그 3호 돌격포 맞다. 북한에 도입년도 1999년이 있다면 이녀석은 도입년도가 1944년이다. 원래는 충격스럽게도 5포인트였다가 10포인트로 가격이 오르고 항속거리가 늘어났다.

1.7. 헬기(HEL)



1.7.1. 수송헬기


[image]
무장)NSV MMG
애석하게도 핀란드의 수송용 Mi-8은 로켓 포드를 달고나오지않는다.



[image]
무장)NSV MMG
국경수비대 소속 슈퍼 퓨마.

1.7.2. 공격헬기


  • 대전차
    • HH-10 (HH-10, MD500E) - 프로토타입
[image]
무장)TOW 2 SACLOS ATGM
여느 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500MD지만 이녀석은 무려 TOW-2를 들고 나온다.



[image]
무장)57mm S-5M 로켓 포드
로켓의 고폭 위력이 1이라 위력이 떨어진다.



  • 기관포+로켓
    • Mi-8T KT (Mi-8T 기관포) - 프로토타입
[image]
무장)23mm Gsh-23L 쌍열자동기관포 / 80mm S-80FP 로켓 포드
핀란드의 KT시리즈중 하나로, 겉보기에는 Gsh-23 기관포 건포드와 80mm 로켓으로 무장한 전형적인 염가형 건쉽인데, 기관포의 연사력이 무려 분당 2499발
진짜 조준하는데 좀 걸려서 그렇지 조준만 끝나면 상대가 뭐든간에 갈아버린다.
단, 기관포가 스터브윙에 고정돼있기 때문에 소련의 mi-24p와 같은 이유로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애초에 장갑도 없는 헬기를 1500m까지 접근시킨 상황에선 안 좋은 헬기가 없기도 하고 실제로는 초반전개때나 상대 방공유닛을 자른 후 싼값에 로켓셔틀로 가끔씩 사용된다. 발틱연합을 해도 HE2 이상 로켓을 가진 헬기는 수송용을 제외하면 이게 가장 싸기 때문.

1.8. 항공(AIR)


제공 전투기들은 고성능을 자랑하는 반면, 지상공격기들은 훈련기들이 맡는 이상함을 보여준다. 발틱 프론트를 할 경우에는 핀란드에서 가져갈 필수항공기는 핀미그 정도다. F-18C는 가용량이 별로고, MiG-21Bis는 대헬기 방공이 충실한 핀란드 특성상 필수까지는 아니다. 아비아도 상대에게 깊은 빡침을 선사해주겠지만 생존성과 즉응성이 워낙 떨어져서...
  • 제공전투기
    • 레이더
      • MiG-29 9.13 (MiG-29S) - 프로토타입 [110]
[image]
무장)30mm GSh-301 자동기관포 / R-77 Vympel 레이더 AAM
110 포인트의 레이더 미사일만 2발인 어처구니없는 구성을 보여주는 항공기. 대신 두발을 한번에 쏘고, 미사일도 빔펠이라 명중률도 괜찮으며 ECM도 40%, 거기다가 엘리트로 2기를 뽑을수 있기 때문에 거진 필수적으로 선택되는 핀란드의 OP유닛이다. 2기씩 페어를 이루어서 미사일 4기를 한번에 날린 후 바로 EVAC을 하면 목표물은 높은 확률로 격파되고 미그기의 잔류시간이 짧아 상대가 제대로 요격하기도 힘들다. 다만 다수의 제공기들과 헤드온 상황은 자제하자, 이 유닛은 일점사로 한번쏘면 무조건 한유닛에게만 쏘고 EVAC할수밖에 없는데 적 제공기가 둘이라면 확률적으로 둘, 확정적으로 하나는 살아서 꼬리물기를 하고 이 유닛을 격추시킬 확률이 매우 높다., 그러나 10 vs 10 저포인트 게임에서는 두발을 한번에 발사하고 곧바로 철수하기 때문에 2대 동시출격하면 하이엔드 기체도 일격필살하는 위력에다 철수가 빨라 반격은 모두 회피해버린다. 상대하려면 A10 이 탱커로 나서 빔펠 4발을 모두 맞아낸 다음 호위하는 제공기로 격추시키는건 어떠한지.



  • 레이더+IR
    • F-18C (F/A-18C) - 프로토타입 [170]
[image]
무장)20mm M61A1 Vulcan 자동기관포 / AIM-9M 적외선 AAM / AIM-120A AMRAAM 레이더 AAM
위의 MiG-29의 무장량이 빈약한 탓인지 반대급부로 호넷은 ECM 50%에 암람 6발, 사이드와인더 2발로 강력하게 무장하고 나왔다.



  • 드라켄 트리
    • 제공전투기(SemAct+IR)
      • J 35S [85]
[image]
무장)30mm ADEN 30 자동기관포 / Rb 27 Falcon 반능동레이더 AAM / AIM-9P 3 적외선 AAM
가지고 있는 SA 미사일의 명중률이 아주 낮다.



  • 지상공격기(네이팜)
    • J 35F [90]
[image]
무장)30mm ADEN 30 자동기관포 / 500kg PTA-Kanisteri 58 네이팜 폭탄×8
500kg 네이팜 폭탄 8개를 들고 나온다. 물론 ECM은 버린지 오래. 네이팜을 한번에 8개 다 떨구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조금씩만 떨구므로 신경써서 컨트롤하자. 그렇지 않으면 나머지 폭탄들을 들고 적 방공유닛에 돌격해버린다.



  • 멀티롤기(로켓+IR)
    • J 35FS [60]
[image]
무장)30mm ADEN 30 자동기관포 / 135mm Sprangraket m/56 로켓 포드 / Rb 28 Falcon 적외선 AAM
135mm 대구경 로켓과 25%라는 처참한 명중률의 IR미사일을 들고 나온다.



  • MiG-21트리
    • 지상공격기(로켓)
      • MiG-21F-13 [70]
[image]
무장)23mm Gsh-23L 자동기관포 / 68mm SNEB 로켓 포드
화력은 특별할거 없이 평범하지만 ECM 10%이 붙어있고 비행속도는 무려 1000km/h이라 생존성은 다른 로켓 공격기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



  • 제공전투기(IR)
    • MiG-21Bis [90]
[image]
무장)23mm Gsh-23L 자동기관포 / R-60 Molniya 적외선 AAM / AIM-9E 적외선 AAM
서방의 AIM-9 사인드와인더랑 동구권의 R-60 묠니야(AA-8 아피드) 둘 다 들고오는 기행을 보여준다. 둘다 단거리 미사일인데다가 명중률이 각각 40%와 30%라 항공기를 잡는데는 적합하지 않지만 최정예로 사용할 수도 있고 기총도 괜찮고 단거리 미사일 2종류를 동시에 쏘기 때문에 헬기를 잡는데는 아주 탁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 지상공격기
    • 고폭탄
      • Avia 28 (IL-28[18]) [110]
[image]
무장)1,500kg FAB 1500M54 항공폭탄×1 / 23mm Gsh-23L 자동기관포
북한과는 다르게 1.5톤 폭탄 하나다. 가격도 110 포인트밖에 안 하고 한 팩에 2기나 주어지기 때문에 북한의 B-5보다 사용하기 쉽다.



  • ATGM
    • CM.170 [60]
[image]
무장)AS-11 MCLOS AGM
일단 대전차 공격기는 맞는데, 기체가 프랑스제 훈련기이고, 들고 오는 미사일이 그 안맞기로 유명한 SS-11의 파생형인 AS-11이고(...), 딸랑 2발 밖에 없다. 그나마 공대지 버전이라 명중률이 조금 오르고 AP가 20인게 위안. 문제는 이게 핀란드군의 유일한 대전차 공격기라는것... 가능하면 폴란드 쪽에서 공격기를 가져오자. 그쪽엔 FnF의 미사일을 단 수호이가 있다.



[image]
무장)30mm ADEN 30 자동기관포 / 500kg FAB 500 항공폭탄×2 / R-60 Molniya 적외선 AAM
60pt라는 염가에 500kg 폭탄 2발에 IR 미사일을 달고 있다. IR 미사일의 HE가 3이라 헬기를 잡는건 어렵지만 그래도 명중률이 40%는 돼서 헬기를 겁줄 정도는 되고 폭장량이 작긴해도 양념만 치고 끝나는 250kg 폭탄이 아닌 확실하게 적 보병을 잡아낼 수 있는 500kg 폭탄이라서 소규모 교전에서 적 보병을 지속적으로 갈아먹으면 쉽게 본전을 뽑을 수 있다.

[1] 하지만 주포의 성능만 믿고 구축전차처럼 저격을한다면 포인트 이득은 적절히 볼 수 있다.[2] KOmentoPAikka, 지휘소.[3] Yhtymän VIestijärjestelmä, 여단급 통신지휘시스템.[4] 여기서 고증오류가 조금 있는데, 핀란드는 M72A2와 M72A5를 각각 66 KeS 75와 66 KeS 88이라는 명칭으로 도입했다. 한국 소총수의 사례처럼 버전별로 따로 만들기 귀찮아서 A4로 통일한듯 하다.[5] PanssarintorjuntaOhjus, 대전차미사일.[6] IlmatorjuntaOhjus, 대공미사일.[7] Telatykistö Kranaatinheitin, 자주박격포.[8] PanssariHaupitsit, 장갑자주포.[9] Telatykistö Kanuuna, 자주포.[10] RaketinHeitin, 로켓발사기.[11] IlmatorjuntaPanssarivaunu, 대공전차.[12] 지금은 전자전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전량 퇴역하고 NASAMS 2로 대체되었다.[13] KoneTykki, 기관포.[14] Tiedustelu Panssarivaunu, 정찰전차.[15] Pioneeri Panssarivaunu, 개척전차.[16] Kranaatti Konekivääri, 유탄기관총.[17] PanssarintorjuntaPanssariAjoneuvo, 대전차장갑차 [18] 원판과 아름이 다른데, 이는 북한의 중국제 B-5처럼 이것도 체코슬로바키아의 Avia社에서 생산했기 때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가 별도로 명시된 경우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