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나이티드 항공/사건사고 및 논란
1. 개요
사실 항공 사고는 그냥 타 사와 비슷하거나 설계 결함 및 9.11 테러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사고도 있다. 하지만 이 항공사가 진짜로 욕을 먹는 이유는 서비스정신 결여 때문. 한국어로 '''개나이티드'''라는 비아냥을 듣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심지어는 저가 항공사들까지도 한국 항공사들 자체가 유난히 서비스정신이 투철한 편이긴 하지만, 평균적인 타 외항사들의 서비스와 비교해 봐도[1] 유나이티드의 서비스 정신 결여는 명백하다. 유나이티드를 타 보면 '''비싸도 국적기'''를 외치거나, 하다못해 서비스 수준이 준수한 다른 외항사를 찾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심지어 유나이티드의 서비스정신 결여는 미 연방법원도 인정했다.(...)
2. 항공 사고
- 1956년 그랜드 캐니언 공중충돌 사고 - 유나이티드 항공의 DC-7기와 TWA의 록히드 컨스텔레이션 시리즈가 일으킨 사고.
- 1960년 뉴욕 공중충돌 사고 - 또 유나이티드의 항공기와 TWA의 항공기가 공중충돌 하였다. TWA는 컨스텔레이션 시리즈, 유나이티드는 DC-8이었다.
- 1972년 유나이티드 항공 553편 추락사고
- 1978년 유나이티드 항공 173편 추락 사고
- 1989년 유나이티드 항공 811편 사고, 유나이티드 항공 232편 사고
- 1994년 유나이티드 항공 585편 추락 사고
- 2001년 유나이티드 항공 175편 테러 사건, 유나이티드 항공 93편 테러 사건 - 9.11 테러 당시 납치되었던 항공기 4대 중 2대[2] 가 유나이티드 항공 소속의 여객기였다.
- 2017년 유나이티드 항공 170편 연료 누출 사건 - 2017년 6월 13일, 뉴어크를 출발해 베네치아로 가려던 170편이 승객의 연료 누출 신고로 비행이 취소되었다. 해당 항공기는 보잉 767 기종으로, 엔진 시동을 걸고 활주로 이동을 하던 중 이 사건이 발생해 게이트로 돌아갔다.
- 2017년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니어미스 사고 - 유나이티드 항공이 직접 일으킨 사고는 아니었으나, 당시 최소 2대의 항공기가 사고에 휘말릴뻔했던 준사고다. 유도로 맨 앞에 있던 유나이티드 항공 001편이, 유도로로 착륙하려는 에어 캐나다를 보고 경악해 유도로로 착륙시도를 하고 있음을 알려 사고를 피한, 오히려 유나이티드 항공이 사고를 막은 경우이다.
- 2018년 유나이티드 1175편 엔진 공중분해 사고
상당히 심각한 문제였음에도, 유나이티드 항공 측은 사과 없이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했다.
이 사고는 매우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에 NTSB든 다른 국가의 항공 사고 조사 기관이든 무조건 조사를 진행할 사고이다.
- 2020년 유나이티드 2862편 윈드실드 파손사고 - 2020년 5월 13일 홍콩을 출발해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던 유나이티드 2862편 보잉 787의 기장석 앞유리가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 도쿄 나리타공항에 무사히 비상착륙한 사건이다. 하마터면 대형사고가 날 뻔 했으나 사상자는 없었다.
- 2021년 유나이티드 항공 328편 엔진 폭발 사고 3년 전 일어난 1175편 사고와 비슷하지만 이 사고에 대해 FAA가 조사에 들어갔으며, 다른 항공사의 PW4000 엔진을 탑재한 보잉 777들 역시 조사를 받을 예정이라고 한다.
3. 인종 차별 문제
- 2013년 10월 할로윈 행사를 할 때, 동년 7월 일어났던 아시아나항공 214편 추락 사고를 조롱하고, 대놓고 인종차별행위를 했다.기사 심지어 유나이티드항공은 스타얼라이언스의 일원으로서 아시아나와 항공동맹을 맺은 항공사임에도 불구하고 이런행태를 보였다.
- 2015년 5월, 한 객실 승무원이 여성 무슬림에게 따지 않은 콜라 캔 제공을 거부한 차별 사건이 논란이 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피해자 '이맘'은 '이스라엘과 공존을 위한 모임'에 가는 자리에 탄 사람이었다. 게다가 거부한 이유가 콜라 캔도 무슬림에게 무기가 된다고 대놓고 모욕을 줬기에 비난이 거세다. 유나이티드 항공 측은 이 사건을 그냥 덮으려다가, 비난 여론이 확산되고 아랍권에서 불매 움직임이 거세지자 부랴부랴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이로 인하여 타격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 2017년 4월, 후술할 강제 하기 사건 도중 저항한다는 이유로 69세 고령의 베트남계 미국인 의사[4] 의 사지를 질질 끌어내어 폭행까지 저질렀다. 기사 이 베트남계 의사는 다음 날 위급환자에 대한 수술이 잡혀 있었던 데다 입가를 얻어맞아 심한 출혈상을 입기도 했다. 이 여파로 아시아권 국가들은 물론이고 미국 내에서 유나이티드 항공사 보이콧 움직임이 격해지고 있다. 한편으론 아시아권 국가들은 물론이고 동양 쪽에서는 피해자가 동양인라는 점에서 인종차별이라며 분노하는 반면, 서양 쪽에선 "유나이티드의 잘못은 맞지만 인종차별은 아니다"[5] 라는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4. 서비스 문제
- 2008년, 데이브 캐롤이라는 컨트리 송 가수가 유나이티드 항공을 이용했다가 기타가 직원들에 의해 망가진 일이 있었다. 배상을 요구했으나 항공사 측에서는 배째라 식으로 무시, 결국 이를 디스하는 곡과 뮤직비디오까지 만들어 유튜브에 업로드해서 유나이티드에 빅엿을 선사해 주었다.[6] United breaks guitars 참조. 이 사건은 대한민국의 2017 수능특강 영어 영역 교재에도 수록되었다.
- 2015년 6월, 미국판 땅콩항공 사건이 일어났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그 다음에 일어났다. 비상착륙한 승객들을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공항에 그냥 방치하다시피한 것. 한편 승무원들은 인근 호텔에 투숙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아주 비슷한 사건이 겨우 며칠 전에도 있었다는 것. 승무원들이 승객들을 불편한 곳에서 잠들도록 놔두고 본인들은 인근 호텔에 투숙한 것까지도 똑같다. 즉, 이런 사태가 이미 일어났음에도 정책을 수정할 생각은 전혀 안 했다는 것이다.
- 현지시간 2017년 2월 13일, 유나이티드 항공의 한 항공편 기장의 기괴한 행위에 승객들이 항의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제복이 아닌 평상복 차림으로 나타난 기장이, 기내 방송으로 횡설수설하기 시작한 것. 자기가 이혼 소송 중이라는 내용부터 트럼프도 힐러리도 모두 거짓말쟁이라는 등 그야말로 뜬금없는 소리들을 늘어놓았다. 심지어는, 인종이 다른 커플 승객들에게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7] 결국 마지막에는 자신(여성)이 아니라 남성 기장이 운행할테니 안심하라는 말도 안되는 소리로 발언을 마무리했고, 승객의 절반 정도가 놀라서 탑승을 거부하고 비행기에서 내렸다. 기장은 마지막에는 승객들을 안고 눈물을 흘리는 기행을 보이다 경비원들에게 끌려나갔다. 그 이후 기장을 교체하느라 약 90여분 간의 지연이 발생했다고.#1,#2,#3.
승객들 입장에서는 기겁할 만한 게, 단순한 기괴 행위가 아니라 기장의 정신상태가 의심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고에서 볼 수 있듯이 이는 단순히 불편이나 기분의 문제가 아니라 승객 전원의 목숨이 걸린 일이다.
- 2017년 3월 26일(현지 기준) 덴버에서 미니애폴리스로 가는 항공편에서 10대 여성 2명이 레깅스를 입었다는 이유로 탑승을 거부 당했다. 항공사는 '항공사 직원과 그 가족들에게 제공되는 '유나이티드 패스' 항공권으로 이 같은 특별 항공권을 사용하는 승객에겐 일정한 복장 규정이 있다'고 답변을 하였다. 하지만, 이 규정에는 부적절한 의상의 기준이 아예 없고, 승무원의 자의적 판단으로 결정되고, 두 소녀 중 한 명의 아버지는 반바지 차림이었는데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서 논란이 되었다. 이에 여성 승객에 대한 성차별, 심지어 10대 소녀들에 대한 성적 대상화라는 비난이 쏟아졌으며 배우 패트리샤 아퀘트는 "10대가 그럼 비즈니스 정장이라도 입어야 하느냐, 걔네들에겐 레깅스가 비즈니스 정장이나 다름 없다."고 비꼬는 트윗을 남겼다. 이후 주가가 하락하기까지 하였다.허핑턴포스트
- 2017년 4월, 강제 하기 사건으로부터 바로 전 주에, 1등석에 탑승했던 승객이, 갑자기 뛰어들어온 승무원에게 "비행기에 사람이 찼으며,[8] 회장님보다 우선 순위인 분이 왔으니까 나가라. 불응하면 수갑을 채우겠다.[9] "는 말을 듣고 일반석으로 쫓겨나 LA로 오는 사건이 있었다.
이 승객은 Geoff Fearns라는 이름을 가진, 미국 얼바인에 소재한 투자 회사 TriPacific Capital Advisor의 백인 회장이었다. 그는 컨퍼런스 때문에 하와이행 비행기를 탔고, 일정이 촉박했던 그는 하와이에서 LA로 돌아오기 위해 1000불을 들여 할인 없이 1등석을 예매했다고 한다. 기사
대한항공 086편 이륙지연 사건 문서에도 자세하게 언급되어 있지만, 승객이 비즈니스 클래스 또는 일등석을 이용하는 이유는 최상의 컨디션으로 이동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함이고, 엄청난 비용을 들여 탑승한다. 항공사는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1000불은 한화로 약 113만 원, 겨우 한국에서 동남아 여행가는 거리를 시간당 20만 원 가량을 들여가며 탑승하는 것이다. 거기에 대기업 회장 정도라면 당연히 항공사의 VIP 고객인데 그런 사람을 대상으로 저런 만행을 저지른 것이다. 회장님은 현재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 중이며 승소할 자신이 있고, 재판을 진행할 충분한 재산이 있다고 밝히면서, 다시 유나이티드를 탈 생각이 있냐는 기자의 질문에 "장난해요?(Are you kidding?)"라고 답하였다.
- 2017년 4월, 여객기 안에서 한 남성 승객이 머리 위로 갑자기 떨어진 전갈을 치우려다 전갈 침에 쏘이는 일이 있었다. 해당 전갈은 승무원들이 죽인 뒤(...) 기내 화장실에서 처리했다고. 기사
- 2017년 4월, 예비 부부가 지정된 좌석을 다른 사람에게 점유당해 다른 자리에 앉자, 승무원이 원래 자리로 돌아갈 것을 지시하고, 잠깐의 실랑이 후 지정된 좌석으로 돌아갔음에도 공항 경찰이 개입해 하기 시킨 일이 있었다. #
- 2017년 4월 24일, 뉴어크에서 파리로 가야 할 승객을 샌프란시스코행 항공기에 탑승시킨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승객은 영어를 모르는 승객으로, 게이트가 변경되었다는 방송을 프랑스어로 하지 않아 잘못된 게이트에 대기했으며, 담당 직원이 티켓을 확인하지 않아 이런 사건이 발생한 것. 항공사 측은 티켓을 전액 환불해 주고 유나이티드 항공의 파리행 항공기를 태웠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28시간을 허비했다고. ###
- 2017년 4월 26일, 영국의 The Sun, 데일리 메일, The Daily Mirror 등의 매체에서, 런던에서 시카고로 가던 유나이티드 항공의 보잉 767-300기 화물칸에 탑승한 토끼가 숨졌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이 토끼는 일반 토끼가 아닌, 2010년에 세계에서 가장 큰 토끼로 기네스에 등재된 토끼인 다리우스의 새끼인 시몬[10] 으로, 생후 10개월임에도 3피트(약 91cm)나 되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가장 큰 토끼로 성장 중이었고, 미국으로 새로운 주인을 만나러 가는 길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비행 3시간 전에 수의사의 검진을 받았을 때 수의사가 매우 건강하다고 말했고, 처음 짐칸에 놓였을 때도 컨디션이 좋았다고 한다. 이에 유나이티드 항공은 전 주인과 새 주인과의 법적 소송을 준비해야할 상황에 놓였는데, 정작 유나이티드 항공은 이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다.기사
- 2012년 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약 5년 간 유나이티드 항공 편으로 승객과 함께 가던 애완동물 가운데 수송 도중 죽은 사례가 모두 53건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미국 항공사에서 일어난 기내 애완동물 사망 사고 136건의 39%를 점하는 압도적인 수치이고, 또한 애완동물 수송 중 사망 사례 최다에 해당한다고. 기사
- 기타를 부숴먹은 데 이어, 이번엔 다른 악기로 문제를 일으켰다. 2017년 6월, 한 바이올리니스트가 악기를 기내에 가지고 타려다 짐칸에 실어야 한다며 제지당했다. 그런데 이 바이올린은 17세기에 제작된 고가의 바이올린[11] 이었고, 연주자는 상황 설명과 함께 추가 요금 지불 의사까지 밝히며 대책을 요청하였으나 막무가내로 저지당한 것도 모자라 손에 상처까지 입었다.#1, #2, #3
- 2017년 6월 14일 휴스턴 현지 언론에 승객을 내동댕이치는 영상이 공개되어 또 구설수에 올랐다. 해당 사건은 이미 2년 전에 일어났지만, 당시 피해자였던 승객이 소송 과정에서 영상을 공개한 것. 승객을 끌어내린 사건이 있은지 얼마 되지도 않아 또다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 2017년 7월 6일 호놀룰루에서 보스턴으로 향하던 비행기가 중간 기착한 휴스턴에서 오버부킹이 발생하여 어머니와 2살 짜리 아이가 자리 하나를 빼앗겼다. 승객의 항의에 승무원은 나몰라라했고, 결국 어머니는 아이를 3시간 동안이나 무릎에 태우고 가야 했다.뉴스
- 2018년 5월 4일엔 승무원이 만취 상태로 승객들에게 위협을 가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항공편은 지역 항공사인 Trans States Airlines가 운영하지만, 유나이티드 항공과 계약하여, UA 편명[12] 을 달고 다니기 때문에 UA도 이번 사건에서 비켜갈 순 없을 듯.
4.1. 강제 하기 사건
''' '''
5. 전산시스템 문제
- 현지 시간 2015년 7월 8일 오전 9시 경, 컴퓨터 시스템 이상으로 모든 항공편의 운항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다. 덕분에 공항의 유나이티드 부스에는 어마어마한 승객들이 몰려들었다.
- 현지 시간 2017년 2월 8일, 또 전산 장애로 인한 운항 지연 사태가 일어났다. 이번에는 시카고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지난 사례와 같은 전면적인 운항 지연은 아닌 듯.
6. 기내선반 애완견 질식사고
2018년 3월 13일 휴스턴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털 공항을 출발해 뉴욕 라과디아 공항에 도착한 유나이티드 항공 1284편이 비행하는 도중 애완견이 죽는 사고가 발생했다.
주인이 소형 운반 용기에 넣은 프렌치 불도그 '코키토'를 승무원 지시에 따라 오버헤드빈에 옮겼으나, 숨진 채 발견된 것. 한 탑승객은 운반 용기가 좌석 아래 들어갈 수 있도록 고안됐으나, 일부가 기내 통로를 막게 되자 승무원이 강압적인 태도로 승객에게 강아지를 짐칸에 올리도록 했다며 "소유주는 처음엔 반대 의사를 표하다 결국 지시에 따랐다"고 전했다. 죽은 애완견은 짐칸에 올려진 후 30분 이상을 짖어댔으며, 착륙할 때까지 기내 선반 안에서 전체 3시간 30분 가량 갇혀 있었다. 목격자인 매기 그레밍거는 "비행이 끝나고 나서 그 여자 주인은 강아지가 숨진 것을 보고 기내 복도에 앉아 큰 소리로 울었고 주변의 승객들도 완전히 놀랬다"고 말했다.
참고로, 2017년 한 해 발생한 기내 애완동물 사망사고 24건 중 무려 '''75%'''인 18건이 유나이티드 항공에서 발생했다고 한다 #
[1] 다른 3성급 항공사들만 봐도 당장 4성급으로 올려도 될 정도로 서비스의 질에 공들이는 항공사들이 꽤 있다. 사실 같은 4성급이라도 대한항공 처럼 상당히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아에로플로트처럼 틱틱 던져주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도 있다. 즉 서비스는 주관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성급은 참고용으로만 생각하면 좋다.[2] 나머지 2대는 아메리칸 항공 소속이었다.[3] 참고로, 해당 항공기는 1995년 유나이티드 항공에 인도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4번째'''로 생산된 보잉 777이다. 등록 번호는 N773UA. 참고로 이와 비슷한 328편 사고기는 이 기체 다음으로 생산되었지만 일찍 등록된 N772UA이다.[4] 자녀 5명 중 4명도 의사라고 한다.[5] 그도 그럴게 유나이티드 항공은 백인 상대로도 상당히 불친절한 행동을 많이 했다.[6] 그리고 그 결과 유나이티드 항공은 3500달러 안 주려다 주가 하락으로 무려 1억 8000만 달러가 공중분해되었다.[7] 이 짓거리를 당한 승객은 일등석 승객이었다.[8] overfull[9] They said 'they’d put me in cuffs if they had to'[10] 종은 컨티넨탈 자이언트 토끼. 유지비만 해도 1년에 5,000 파운드(약 724만 원)가 들며, 이 토끼의 주인인 아네트 에드워즈의 토끼는 한 차례 대여비만 500 파운드(약 72만 원)에 달하는 비싼 몸을 자랑한다.[11] 메이커는 소개되지 않았으나 최소한 차 한대 값 이상이라고.[12] UA4689, 덴버(DEN)-윌스턴(ISN). 사우스웨스트 항공을 제외한 아메리칸, 유나이티드, 델타 등 미국의 대형 항공사들은 로컬 노선을 지역 항공사와 계약하여 운항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