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셜D/차량/컴플릿카

 


1. 개요
2. 토우게 최강전설에 대해
3. ZERO 5차 업데이트 추가 차량
3.1. amuse S2000 GT1 (AP1改)
3.2. MAZDASPEED Roadster C-Spec (NA8C改)
4. ZERO 6차 업데이트 차량
4.1. MCR Skyline GT-R 魔王号 (BNR34改)
5. ZERO 7차 업데이트 차량
5.1. 藤田エンジニアリング RX-7 魔王号 (FD3S改)
6. ZERO 8차 업데이트 차량
6.1. HONDA TWINCAM MONSTER Civic Type R (EK9改)
6.2. RE雨宮 幻気-7 (FD3S改)
7. ZERO 9차 업데이트 차량
7.1. MFGHOST 86GT (改) 片桐夏向仕様 (ZN6改)
8. ZERO 10차 업데이트 차량
8.1. J's RACING S2000 魔王号 (AP1改)
9. ZERO 12차 업데이트 차량
9.1. TOP SECRET SUPER G-FORCE Supra (JZA80改)
10. ZERO Ver.2 초기 추가 차량
10.1. NSX-R GT (NA2改)
11. ZERO Ver.2 1차 업데이트 차량
11.1. MFG GT-R NISMO (改) 相葉瞬仕様 (R35改)


1. 개요


이니셜D에 등장하는 차량들 중 애프터마켓 튜닝이나 외주 튜닝을 거친 컴플릿카들을 정리하는 문서. FT86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들은 버전7에서 추가되었고, 버전8에서 추가된 컴플릿카는 없다. ZERO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가 4차 업데이트로 2대를 추가한 뒤 업데이트로 차근차근 리스트를 늘려 나가고 있다.
8 시절 공식 홈페이지에서부터 회사와 상관 없이 무작위로 분류하고 있었고 ZERO 시점에서도 역시 무작위로 분류하고 있으므로, 본 문서의 차량 순서는 그냥 업데이트 순서에 따른다. 참고로 기본 제공 컬러링의 경우 해당 컴플릿카의 카탈로그상 제공 페인트이며, 유료 컬러링의 경우 원본이 되는 차량의 페인트들을 따 왔다.

2. 토우게 최강전설에 대해


2005년부터의 역대 토우게 마왕 정리[1]
ZERO부터는 Hot Version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마왕 3대가 추가되었는데, 이들은 군사이를 바탕으로 펼쳐지는 '토우게 최강전설'의 최종 우승 차량들이다. 대체로 1년에 한 번씩 일본의 스트릿튠 튜닝샵 데모카들을 초청해 개최하고 있으며, 코스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우승한 차량들은 사실상 '군사이 특화차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핀포인트 튜닝으로 승부한다.
2011년에 RE아메미야 FD가 우승한 뒤 2012년부터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토우게 최강전설에 참석하지 않았는데, 이후로는 J'sRacing의 S2000과 후지타 엔지니어링 FD의 2강 체제가 6년 동안 굳혀져 있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RE아메미야가 D1 그랑프리에 집중하면서 군사이 특화 튜닝에 신경 쓸 여력이 없었던 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
중간중간 마왕이 선정되지 않을 때도 있으며, 이럴 때는 대개 이벤트매치로 넘어간다. 실제로 2016년에 공동우승 처리가 된 이후 2017년에도 마왕호 선정 대회가 열리지 않아[2] 2018년 11월까지 3년간 공동 마왕호 체제가 유지되었고, 2018년 최강전설을 통해 겨우 새로운 마왕이 가려졌다.

3. ZERO 5차 업데이트 추가 차량



3.1. amuse S2000 GT1 (AP1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FR/6단
  • 엔진: 자연흡기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그랑프리 화이트, 뉴 포뮬러 레드, 롱 비치 블루 펄, 실버스톤 메탈릭, 벨리나 블랙
전기형 모델 AP1을 기반으로 만든 컴플릿카 중 하나로,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에 '어뮤즈 3종세트'로 나오는 컴플릿카 중 최상위 모델이다. 참고로 버전8에 있었던 유료 컬러링은 다른 버전인 R1과 Street Version에 기본 제공되는 컬러링.[3]
원래 컴플릿 모델은 2.2리터 엔진에 터보를 장착한 형태지만, 이니셜D에 나온 모델은 바디킷만 장착한 버전인지 2리터 순정 엔진을 탑재하고 나왔다. 실제로 내부 튜닝을 제외한 바디킷 모델만 따로 팔기도 하므로 고증에는 맞긴 한데, 버전 8까지는 엔진 업그레이드 사양인 POWER HOUSE amuse 명의로 나왔다가 ZERO에서 바디킷만 올린 라이트 모델의 이름에 맞게 간략화되었다.
마왕 결정전이라는 이름으로 토우게 최강전이 개편되기 전까지 R1이 군사이 최강 자리를 지키고 있었는데, 이후 마왕 결정전이라는 시스템이 정착되면서 GT1이 출전하기도 했으나 마왕의 자리에 오르지는 못했던 아쉬운 역사가 있기도 하다.[4]
참고로 이 모델은 amuse의 창업주인 타나베 히데키가 살아 있었을 시절 마지막으로 직접 손댄 차량이기도 하며, 타나베 히데키는 2008년 9월 21일에 뇌신경교종으로 세상을 떠났다.[5] 타나베 히데키 10주기 전날인 2018년 9월 20일에 유투브 베스트 모터링 공식 채널에 추모영상[6]이 올라왔는데, 여기서 S2000 시리즈와 R35팬텀을 볼 수 있다.
군사이 인바운드 특화 차량이었으나, 밑에 나오는 J's S2000의 출시로 밀려났다.

3.2. MAZDASPEED Roadster C-Spec (NA8C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FR/5단
  • 엔진: 자연흡기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실버스톤 메탈릭, 클래식 레드, 네오 그린, 저스트 화이트, 트와일라잇 마이카, 에볼루션 오렌지 마이카
마쯔다 산하의 자체 튜닝 브랜드인 마쯔다스피드에서 1.8리터 사양의 NA 로드스터를 기반으로 풀바디킷을 채용한 차량. 전체적으로 포르쉐나 란치아 등과 가까운 이탈리안 이미지가 되었는데, 이 차량 이후 NB8C를 가지고 작업한 풀바디킷의 경우 완전히 닷지 바이퍼를 연상시키는 등 의도적으로 이국적 이미지를 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역시나 사고로 손상되면 전면교체를 해야 하는 골치아픈 모델.

4. ZERO 6차 업데이트 차량



4.1. MCR Skyline GT-R 魔王号 (BNR34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 4WD/6단
  • 엔진 : 터보차저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 마왕 레드, 밀레니엄 제이드, 베이사이드 블루, 화이트 펄, 화이트, 스파클링 실버, 블랙 펄
2018년 5월 29일에 Hot Version 콜라보로 등장한 첫 번째 차량이며, 개별 프라모델 키트도 나와 있는 엄청나게 유명한 차량이기도 하다. 2003년 토우게 최강전설에서 후지타 엔지니어링의 FD를 이겨 마왕 타이틀을 얻었으나, 이듬해인 2004년에 RE아메미야 FD에게 져서 마왕 타이틀을 빼앗기는 등 이래저래 FD와 악연이 많은 차량. 기존 BNR34에서 전반적인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느낌이다.
참고로 아케이드 스테이지 버전2부터 3까지 사용되었던 R34의 배기음은 MCR의 라이트튠 버전 R34에서 녹음한 것이었고, 이 때문에 버전3까지 R34의 페인트 중 원래 V-spec II 카탈로그에는 없는 레드와 옐로우가 들어가 있었다. 하지만 마왕호 스펙 튜닝의 MCR 카탈로그에는 노란색 컬러링이 사라졌다.

5. ZERO 7차 업데이트 차량



5.1. 藤田エンジニアリング RX-7 魔王号 (FD3S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 FR/5단
  • 엔진 : 터보차저 로터리 엔진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 마왕 실버, 컴페티션 옐로 마이카, 브릴리언트 블랙, 빈티지 레드, 실버스톤 메탈릭, 몬티고 블루 마이카
오사카에 본점을 둔 후지타 엔지니어링에서 튜닝한 FD이자 Hot Version 콜라보로 등장한 두 번째 차량. 튜닝을 전담한 후지타 엔지니어링은 흔히 일본 밖에서 약자인 FEED로 더 많이 알려진 튜닝 업체이며,[7] 게임상으로도 아케이드 스테이지 버전1부터 마쯔다 차량의 튜닝 파츠의 라이센스를 계속 제공해 주고 있는 업체이다. 계속된 튜닝으로 군사이 특화머신의 대표자격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2016년까지 토우게 최강전설 단골손님이기도 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2016년 마왕 결정전에서 J's Racing의 S2000과 공동 1위를 한 뒤로 4년째 더블 마왕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게임 내 성능도 FD 전기형과 후기형에 필적하는 적절한 성능.

6. ZERO 8차 업데이트 차량



6.1. HONDA TWINCAM MONSTER Civic Type R (EK9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FF/5단
  • 엔진: 자연흡기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선라이트 옐로, 챔피언쉽 화이트, 스타라이트 블랙 펄, 보그 실버 메탈릭, 악틱 블루 펄, 밀라노 레드
시빅 EK9 모델을 혼다의 자체 튜닝 메이커인 TWINCAM에서 개조한 차량. 대형 리어 스포일러까지 빠짐없이 구비된 에어로킷 풀세트를 채택했는데, 현실에서는 서킷이고 고갯길이고 상관 없이 깡패급 FF로 널리 유명했지만 게임상으로는 원본의 성능 문제로 TA가 전반적으로 매우 약한 차량이 되었다.
참고로 버전7에서는 화이트가 첫 번째 컬러링이었으나 8에서 옐로와 자리가 바뀌었다.

6.2. RE雨宮 幻気-7 (FD3S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FR/5단
  • 엔진: 터보차저 로터리 엔진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딥 블루, 라이트 블루, 빈티지 레드, 선라이트 실버 메탈릭, 브릴리언트 블랙, 퓨어 화이트
마쯔다 전용 튜닝 업체인 RE아메미야에서 3번째로 작업한 컴플릿카 버전 FD.[8] 풀바디킷 형식이라 기존 차량의 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사고로 손상되면 전면교체를 해야 하는 골치아픈 모델이기도 하다.[9] 게임 중에서는 딱 중위권 성능의 차량이고 특화나 준특화 두세개씩은 챙기고 있는 원본 FD들에 비해 메리트도 적어서 큰 인기는 없는 편.

7. ZERO 9차 업데이트 차량



7.1. MFGHOST 86GT (改) 片桐夏向仕様 (ZN6改)


[image]
  • 탑승 캐릭터 : 카타기리 카나타
  • 구동방식/변속단: FR/6단
  • 엔진: 자연흡기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라이트닝 레드
MF고스트 3권 발매 기념 이벤트로 나온 카타기리 카나타 사양의 특주 컴플릿카. 외견상으로는 86번 스티커가 붙은 것 이외에 노멀 사양과 차이가 없다는 점을 그대로 계승했다. 카나타 전용 커스터마이징 모델이라 그런지 1색 고정인데, 다만 실제 컬러링인 진홍색 계열 페인트 Ablaze가 아니라 게임 내 86의 기본 컬러인 라이트닝 레드 1색 한정으로 나왔고, 컬러를 변경하려면 EX컬러 티켓을 사용해 정해진 기간에만 할 수 있다. 성능은 일반적인 86과 크게 차이가 없지만 타이어의 마모가 적고 벽 페널티에 강해져서 좀더 대전에 어울리는 형태가 되었다.
실존 모델이 없는 컴플릿카 중 하나로, 외장이야 스티커만 붙이고 휠만 바꾸면 된다지만 내장 튜닝의 경우 카타기리 사양으로 완성차를 튜닝해서 파는 업체가 없기 때문.[10]

8. ZERO 10차 업데이트 차량



8.1. J's RACING S2000 魔王号 (AP1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FR/6단
  • 엔진: 자연흡기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마왕 옐로, 롱 비치 블루 펄, 실버스톤 메탈릭, 벨리나 블랙, 뉴 포뮬러 레드, 몬테카를로 블루 펄, 인디 옐로 펄, 그랑프리 화이트
위의 후지타 엔지니어링 FD와 2016 마왕 결정전에서 공동 1위를 했던 차량이자 Hot Version 콜라보로 등장한 세 번째 차량. 인디 옐로 펄 페인트를 선택하면 기본 데칼이 전부 날아가는 것이 특징[11]인데, 그 외에는 사이드스커트와 차량 후단의 일부 파츠만 색깔이 바뀐다.
코스 상성을 가장 덜 받고 성능이 준수해 첫 차량으로 추천하는 차량이다. 2.2 기준 특화 코스만 11개에 종합 TA 1위라 맵 상관없이 전천후 만능 차량으로 인정받고 있다. 버8의 S2000도 종합 TA 1위였지만 특화는 단 두개뿐이었다. 물론 배틀에서는 배틀 시스템으로 인해 차 성능이 많이 희석되고 타임어택 기록보다는 다른 요소가 더 중요해지기 때문에 전대에서까지 좋다고 무조건 말할수는 없다. 더욱이 성능은 확실하지만 6단의 RPM 관리에 익숙하지 않을 뉴비라면 이 차를 다루기 힘들 수도 있다.

9. ZERO 12차 업데이트 차량



9.1. TOP SECRET SUPER G-FORCE Supra (JZA80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FR/6단
  • 엔진: 터보차저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탑 시크릿 골드, 슈퍼 화이트 Ⅱ, 다크 브라우니쉬 그레이 마이카 메탈릭, 실버 메탈릭, 블랙, 슈퍼 레드 Ⅳ
토요타 전문 튜닝 업체인 TOP SECRET에서 개조한 차량으로, 선임연구원 자격에 해당하는 소속 튜너 '나가타 카즈히코'[12]의 주도 하에 만들어졌으며 도쿄 오토살롱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완성도가 뛰어난 차량이기도 하다. 토요타의 기함인 센추리에 쓰이는 1GZ-FE V형 12기통 5리터 엔진과 니트로 부스터를 전격 채용, 최대 950마력까지 내는 괴물 머신.[13] 게임에서도 뛰어난 가속 성능과 최고속력을 보여 주나, 다른 차량들과의 형평성을 위해 니트로 부스터가 제거된 라이트 버전으로 나왔다.

10. ZERO Ver.2 초기 추가 차량



10.1. NSX-R GT (NA2改)


[image]
  • 구동방식/변속단: MR/6단
  • 엔진: 자연흡기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챔피언쉽 화이트, 뉴 포뮬러 레드, 뉴 인디 옐로 펄, 세브링 실버 메탈릭, 베를리나 블랙
후기형 NSX-R을 베이스로 한 모델로, 슈퍼GT 호몰로게이션 인증을 위해 단 1개월간 한정판매했으나 가격이 무식하게 높았던지라 실제로 시장에 팔린 건 단 1대뿐이었다는 전설의 차량. 외형은 슈퍼GT용 차량과 동일하게 지붕 위로 대형 에어 인테이크 튜브가 올라가며[14] 에어로스커트 풀셋 또한 기본 사양으로 장착된다.
버전8 들어서 여러 가지로 너프를 당한 원본과 마찬가지로 이 쪽 역시 칼질을 당해 중하위권 TA 성능에 머물고 있지만, 버전8 기준 인피니티 계급 유저들의 배틀에서 꽤나 보였던 편. 그래서 ZERO에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해 이상하게 여겨지고 있었는데, ZERO Ver.2의 업데이트와 동시에 부활하면서 드디어 기존 컴플릿카가 ZERO에 전부 돌아오게 되었다.

11. ZERO Ver.2 1차 업데이트 차량



11.1. MFG GT-R NISMO (改) 相葉瞬仕様 (R35改)


[image]
  • 탑승 캐릭터 : 아이바 슌
  • 구동방식/변속단 : 4WD/6단
  • 엔진 : 터보차저
  • 게임 기본 제공 컬러링 : 브릴리언트 화이트 펄
MF고스트 콜라보레이션 2탄으로 기획된 차량으로, 아이바 슌 전용 튜닝이 가미된 1차 페이스리프트 버전의 R35 니스모이다. 츠치야 케이이치가 Hot Version에서 탄 차가 2018년식이었으므로 같은 연식일 가능성이 높지만 자세한 스펙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카나타의 86과 마찬가지로 실제 튜닝카가 없는 차량이기도 하다.
외견상으로는 일반적인 GT-R 니스모와 차이가 없다는 점[15]도 그대로 계승되었으나, 아이바 슌 전용 차량이라는 점을 고려해서인지 컬러링은 카나타 차량과 마찬가지로 1색 고정. 컬러를 변경하려면 EX컬러 티켓을 사용해 정해진 기간에만 할 수 있다.


[1] 2003년과 2004년 자료는 나와 있지 않은데, 2003년에는 후지타 엔지니어링 RX-7이, 2004년에는 MCR 스카이라인 GT-R이 마왕이었다.[2] 2017년에는 녹화 일정이 태풍 직격 예정일과 맞물려 마왕결정전을 전면 취소했으며, 그 대신 츠치야 케이이치의 젊은 시절 돌아보기 특집 이벤트전이 편성되었다.[3] 이 중 R1 모델이 Hot version에서 거의 만점에 가까운 극찬을 받은 차량으로, 츠치야 케이이치가 방송 직후 완성 모델을 곧바로 구입한 것으로도 유명하다.[4] 불어난 마력에 따른 롱기어비화로, 군사이의 타이트한 코너와는 맞지 않는 기어비를 채택했기 때문. 어뮤즈에서 실수로 이렇게 내놓았을 이유는 없기에 출력변화에 따른 컨트롤의 용이성을 해결하기 위해 롱기어비로 그대로 출전했던듯 하다.[5] 당시 부고기사 1 / 당시 부고기사 2.[6] Hot Version Vol.96에 수록되었던 추모영상을 재편집해 올린 것이다.[7] 게임 내 타임어택 새시코드로는 FEEDFD로 표기되었다.[8] 참고로 케이스케의 FD가 최초 등장했을 때의 모습이 RE아메이야에서 1번째로 작업한 컴플릿카 FD의 이미지에서 모티브를 따 왔고, 당연히 아케이드 스테이지 버전1부터 파츠 라이센스를 주고 있다.[9] 하지만 FD의 경우 풀바디킷 튜닝이 그리 희귀한 편이 아니라서 게임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도 그러려니 하는 편. 당장 The Fast and the Furious Tokyo Drift에서 등장하는 FD도 베일사이드제 풀바디킷 모델이다.[10] 애초에 서킷화된 공도에 특화시켜 만든 핀포인트 머신이라 상품성이 떨어지고, 원작자인 시게노 슈이치가 차량 내부 묘사를 거의 안 해서 정확하게 어떤 스펙인지 알 방법도 없다.[11] 마왕 옐로가 인디 옐로 펄을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12] 통칭 '''스모키 나가타'''로 불리며 대마력 차량 튜닝에 일가견이 있는 사람이다.[13] 나가타 카즈히코는 이 차량으로 이론상 420Km/h를 낼 수 있다고 장담한 적 있으나, 실제 이탈리아 나르도 서킷에 이 차량을 끌고 가서 찍은 최고 속도는 358.22km였다. 당시의 기록이 담긴 VIDEO OPTION 분량을 공식 채널 업로드 영상1 영상2로 확인할 수 있다.[14] 기존의 NSX-R에서도 추가 옵션으로 달 수 있었으나 여기에서는 기본으로 들어간다. 참고로 이니셜D 등장 차량 중에 MR2가 버전3까지 인테이크 튜브 튜닝이 있었으나 버전4부터 삭제되었다.[15] 다만 게임상 원래 있던 GT-R NISMO는 2014년식 기반인데 비해, 이 쪽은 작품 고증에 따라 페이스리프트 사양인 2017년 이후 버전 기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