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푸

 


[image]
그리스어 Κέρκυρα (케르키라)
고대 그리스어 Κόρκυρα (코르퀴라)
이탈리아어 Corfù
라틴어 Corcyra
영어 Corfu / Kerkyra

1. 개요


그리스 서북부의 이오니아 해에 위치한 섬. 이오니아 군도에서 케팔로니아 다음으로 큰 섬이며, 그리스에서 7번째로 큰 섬이자 지중해에서 13번째로 큰 섬이다. 인구는 11만명. 하단 역사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고대 그리스 시대와 15세기 이후 지중해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지역이다.

2. 역사



2.1. 고대


섬은 기원전 1300년경 미케네 인들의 문서에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기원전 730년 경에 코린트의 이주민이 주축이 되어 그리스화가 되었다고 한다. 당시 이름은 케르키라로, 곧이어 에우보이아 섬의 에레트리아에서도 상당 수의 이주민들을 보낸듯 하다. 케르키라는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큰 함대를 소유한 폴리스 중 하나가 되었고, 페르시아 전쟁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후 아테네의 급성장으로 뒤쳐졌다. 케르키라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원인이 되며 역사상으로 유명해진다.
케르키라와 코린트는 서로 모자 도시의 관계였는데도 사이가 좋지 않았고, 기원전 436 ~ 433년간 코린트와 케르키라는 현재 알바니아의 항구도시 두러스 (주로 디라키움으로 알려져 있다.)인 에피담노스를 두고 대결하였다. 그리고 기원전 432년, 케르키라가 동맹인 아테네에 도움을 요청하자 코린트 역시 동맹이던 라케다이몬 (스파르타)에 지원을 요청하며 전 그리스 문명권이 둘로 나뉘어 싸우게 되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하게 된 것이다.

2.1.1. 외세의 지배


기원전 410년, 아테네가 시칠리아 전역에서 대패하자 그전까지 아테네의 보급 기지 역할을 하던 케르키아는 중립을 선포, 전쟁에서 빠져나왔다. 하지만 기원전 377년에 스파르타 함대에게 공격을 받은 후 케르키라는 기원전 375년에 재차 아테네와 동맹을 맺게 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코르푸 섬은 기원전 305년에 디아도코이 중 한명인 카산드로스의 공격을 받았고, 간신히 이겨내었으나 그해 말에 스파르타의 공격을 받아 결국 그에 굴복하였다. 독립은 곧 회복되었지만 몇년 못가 이번에는 시칠리아 섬의 시라쿠사의 왕인 아가토클레스에게 점령되었다.
아가토클레스는 자신의 딸 라나사의 결혼 지참금으로 섬을 사위인 에피로스 국왕 피로스 1세 (로마와 싸운, 한니발이 존경한 그 장군) 에게 주었고, 기원전 255년에 그의 아들이자 에피로스의 마지막 왕인 알렉산드로스 2세가 죽자 케르키라는 다시 독립하였다. 하지만 기원전 229년, 북쪽의 일리리아 인들과 그리스 연합군 (케르키라, 아이톨리아 동맹, 아카이아 동맹) 군이 대결한 팍소스 해전에서 그리스가 지면서 섬은 일리리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일리리아 인의 지배도 몇년 가지 못하였고, 섬은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어 해군 기지로 쓰이다가 마케도니아 전쟁 후로는 마케도니아 속주에 포함되었다. 기원전 31년에는 2차 삼두정치 이후 벌어진 내전에서 옥타비아누스의 해군 기지로 쓰였다. 로마 제국의 성립과 함께 팍스 로마나를 누리던 코르푸는 동로마 제국에 배당되었고 동로마가 동쪽의 아랍, 북쪽의 불가르 문제에 치중하는 동안 무관심 속에 있었지만 동시에 평화 상태에 있었다.

2.2. 중세


동로마 제국 기에 에피로스 남부의 항구 도시인 니코폴리스에 가려져 별 주목을 받지 못하던 코르푸 섬은 노르만 인들의 침공으로 다시 기록에 등장한다. 남부 이탈리아의 노르만 장군 로베르 기스카르가 1081년부터 1085년까지 섬을 지배했고, 1147년부터 1154년까지는 시칠리아 왕국의 로제르 2세의 지배를 받았다. 동로마 제국이 쇠퇴하자 1197년부터 1207년까지 제노바 공화국이 섬을 지배했고, 1207년부터는 그들을 격퇴한 베네치아 공화국이 코르푸를 지배하였다. 하지만 그역시 오래가지 못하였고 1214년, 섬은 동로마 제국의 후계 국가중 하나엔 이피로스 친왕국의 소유가 되었다. 그리고 1259년, 코르푸는 재차 지참금으로서 시칠리아 왕국의 만프레디 (신성로마제국프리드리히 2세의 아들. 시칠리아는 1186년부터 독일의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에게 넘어갔다.
하지만 1267년에 그가 죽고 1268년에는 시칠리아 왕국이 프랑스 앙주 가문의 샤를에게 넘어가자 코르푸도 역시 앙주의 영토가 되었다. 1282년에 동로마 제국과 만프레디의 사위인 페드로의 사주로 일어난 '시칠리아의 만종'으로 앙주의 영토는 남부 이탈리아 (편의상 나폴리 왕국으로 불린다. 시칠리아는 스페인의 아라곤 왕국이 차지.) 만이 남았지만 코르푸는 여전히 앙주 영토였다. 이 혼란을 거치며 섬은 유럽 최초의 집시 (인도 구자라트 출신의 유랑민) 정착지가 되었다. 한 세기가 흐른 후인 1386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가 되어 1401년에 인정받았고, 400여년간 베네치아 만 (아드리아 해)의 입구를 지키게 된다.

2.2.1. 스타토 디 마르[1] 최후, 최강의 요새


''' 베네치아의 관문 '''
한편, 오스만 제국은 14 ~ 15세기에 걸쳐 동남부 유럽을 평정하였고 16세기 부터는 중부 유럽과 지중해로 빧어나가기 시작하였다. 오스만 제국은 프레베자 해전에서 베네치아를 격파한 후 아드리아해 진출을 시도하였는데, 1537년, 1571년, 1573년에 섬을 공격하였으나 모두 격퇴되었다. 오스만 측의 마지막 시도는 대 튀르크 전쟁에서 베네치아가 점령했던 모레아를 수복한 뒤인 1716년 이었는데, 역시 실패하였다. 코르푸 섬이 포함된 이오니아 제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은 유일한 그리스 영토이다.
[image]
코르푸 요새
1431년에 첫 포위. 1537년의 포위는 오스만-프랑스 연합군의 함락 시도였다. 1716년의 승리는 베네치아의 작곡가 비발디에 위해 승리를 축하하는 곡으로 기념되었다. 코르푸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3. 근대


1797년, 베네치아는 프랑스에게 멸망하였고 코르푸도 프랑스 령이 되었으나 1798-99년의 포위 끝에 오스만-러시아 군에게 함락되었다. 이후 코르푸와 이오니아 제도는 오스만 제국에게 귀속된 에프타니소스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하지만 1807년, 틸지트 조약으로 이오니아 제도는 다시 프랑스 령이 되었고, 이에 영국 해군이 섬들을 함락시켰지만 코르푸는 프랑스 수비대에게 격퇴되었다. 1815년, 나폴레옹의 몰락과 파리 조약으로 이오니아 제도는 영국 보호령이 되었다. 그리고 코르푸가 그 위임통치령의 중심이 되었다.
1824년, 코르푸에는 첫 그리스 대학이 세워졌고 1864년에 덴마크크리스티안 9세의 차남 빌헬름이 그리스 왕국요르요스 1세로 즉위하는 대관식의 선물로서[2] 이오니아 제도는 그리스의 영토가 되었다. 1차 세계대전 시기 코르푸는 오스트리아-불가리아 군에 밀려 후퇴하던 세르비아 군의 피난처가 되었고 1923년에는 이탈리아 왕국그리스-알바니아 국경에서 피살당한 이탈리아 장군 텔리니의 죽음을 빌미로 그리스의 사죄 및 배상을 요구하며 섬을 폭격하기도 하였다. (코르푸 사건) 2차 세계대전 시에는 1941년부터 이탈리아, 1943년부터는 나치 독일이 섬을 점령하였다. 이후 섬의 유대인들은 상당수가 살해되었다. 그리고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대한 양동 작전으로 코르푸를 폭격하였다.
코르푸는 1944년 10월에 독일군이 철수하며 해방되었지만 1946년부터는 냉전의 전초전인 코르푸 해협 사간이 일어났다. (알바니아 군의 영국 함대에 대한 폭격) 따라서 코르푸 일대가 지뢰밭이 되기도 하였고, 40여명의 영국 해병이 사망하였다.

[1] 베네치아의 해상 영토를 뜻한다. 반대로 내륙에 육지로 붙어 있는 땅은 Terraferma라고 부름[2] 당시 영국 왕세자 (훗날의 에드워드 7세)의 아내가 요르요스 1세의 누나 알렉산드라 왕비 (당시 왕세자비)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