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목록/급수별/팁
1. 개요
이 문서는 한국어문회에서 개최하는 한자검정시험에서 알아두면 좋은 팁들을 작성하는 문서.
2. 유형
2.1. 독음
시험에서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이는 모든 급수에서 통용된다. 읽기 한자의 음만 차용되는 데다 쓰기 한자도 종종 섞어 나오기 때문에 난이도는 다른 유형에 비해 쉬운 편이다.
2.2. 한자쓰기
- 문제 모아 놓은 것을 많이 풀어봐야 한다. 채점하면서 틀린 건 은근히 기억에 잘 남기 때문에 단어 외우는데 도움이 된다.
- 문장이나 글 같은 걸 한자로 바꿔서 써보자.
- 헷갈릴 만한 요소
- 現象, 現狀, 現像의 차이점
이 세 단어는 독음이 모두 '현상'이고 두 번째 자의 훈음도 비슷비슷해서[2] 헷갈리기가 쉬운데 現象은 대류 현상, 일식 현상 같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현상(Phenomenon)이고, 現狀은 현재 상황(모습)이라는 의미로, '현상을 유지하다'의 줄임말로 보면 쉽다. 現像은 '사진을 현상하다' 같은 걸 생각하면 된다.
- 賣(팔 매)랑 買(살 매)
둘 다 음도 같은데다 뜻도 상대돼서 혼동하기 쉽다. 賣가 士를 가지고 있으니 누구에게 판다고 생각하고 買는 아무것도 없으니까 士를산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비슷한 원리로 受(받을 수)랑 授(줄 수)도 授가 扌를 갖고 있으니 주고 受는 없으니 받는다고 생각하자. 사족으로 賣買란 단어의 순서는 사고판다는 말 때문에 바꿔 쓸 수도 있는데 그게 아니니 팔고산다라고 반대로 생각하자 비슷하게 授受도 주고받다란 말이니라 받고준다는 순으로 써야한다. 여기서 윗부분 士(사)는 出(출)의 변형이니 물건이 나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마법천자문 13권에 두 한자가 모두 나오는데, 이때 견우가 동자에게 물건을 강제로 사게 하기 위해 살 매(買) 마법을 썼고, 삼장이 저지하였다. 그리고 견우가 비싼 물건을 동전 1개로 사기 위해 상인에게 팔 매(賣) 마법을 썼다. 이 장면으로 외우면 잘 외워진다.
마법천자문 13권에 두 한자가 모두 나오는데, 이때 견우가 동자에게 물건을 강제로 사게 하기 위해 살 매(買) 마법을 썼고, 삼장이 저지하였다. 그리고 견우가 비싼 물건을 동전 1개로 사기 위해 상인에게 팔 매(賣) 마법을 썼다. 이 장면으로 외우면 잘 외워진다.
- 易과 昜
- 이걸 구분하지 않으면 1획 때문에 의미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場은 '마당 장'이지만 埸은 '받두둑 역'으로 읽힌다. 하지만 구분 방법은 간단하게도 그냥 음의 받침이 'ㅇ'이면 昜이다. 당장 봐도 場, 傷, 楊, 陽[3] 다 받침이 'ㅇ'이다.
- 絶과 切
둘 다 대표훈음이 '끊다'란 뜻인데 絶은 杜絶(두절), 絶交(절교) 같이 확 끊기는 거나 관계를 끊는 것을 말하고 切은 切斷(절단), 切取(절취) 같이 천천히 잘리는 걸 의미한다. 여담으로 1급에도 끊을 절(截)이 또 나오는데 이 한자는 絶과 切의미 둘다 포함한다.
- 形과 型
어떤 것의 모양은 形을 쓰고 型은 원래 거푸집을 의미했는데 나중에 모형이란 뜻도 되었다. 그래서 주로 틀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특히 大型(대형), 圓型(원형) 같은 건 형태를 의미하면 거의 型이다.
2.3. 훈음
대부분 음을 배울 때 훈도 같이 배워 쉬운 문제이다.
2.4. 완성형
- 문제의 형태가 많아 보이긴 하지만 2급까지는 1과 2 형식이 대부분이니 안심해도 된다. 다만, 급수가 높아질수록 1과 2의 형식에서 두글자를 비우는 형태도 보이는 편.
2.5. 반의어
- 일부는 상대자만 바꾸면 상대어가 되는 경우도 있다. 大의 경우는 대부분 그냥 반대되는 小로 바꾸면 되고. 勝訴(승소) ↔ 敗訴(패소)처럼 勝(이길 승)도 대부분은 敗(질 패)만 바꾸면 된다
2.6. 뜻풀이
- 가끔 예외도 나오지만 나오는 단어는 대부분 한 번 쯤 들어봤던 단어가 나오고, 그렇지 않다 해도 한문으로 직역히면 대부분 맞다해주니 안심하자.
2.7. 동음이의어
이것은 한자 쓰기문제를 잘하면 쉽게 풀 수 있다.
2.8. 동자다음어
이건 굉장히 헷갈릴 수 있다. 이건 '''글자는 같은데 음이 여러개인 경우다.''' 예를 들면 樂이라는 한자만 해도 즐길 락/노래 악/좋아할 요 이렇게 음이 3개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같은 글자라도 음이 다른 경우가 부지기수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별도의 문제 유형으로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2.9. 부수
- 보통 부수는 좌측, 하단에 보이는 문자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예외의 경우도 얼마든지 많으니, 예외를 중심으로 외우는 것이 좋다.
- 위 예시도 그렇고 弱, 畵같이 예상치 못한 곳에서 부수가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할 것.
- 風(바람 풍), 老(늙을 로), 音(소리 음), 香(향기 향), 高(높을 고), 鬯(술이름 창), 鹿(사슴 록), 麻(삼 마), 鼎(솥 정), 鼓(북 고), 鼠(쥐 서), 鼻(코 비), 齊(가지런할 제), 齒(이 치), 龍(용 룡), 龜(거북 귀) 는 제부수(글자 자체가 부수인 것)가 아니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제부수다. 주의하자. 한자에서 가장 획수가 많은 제부수는 피리 약(龠, 17획)이다.
2.10. 동의어
2.11. 장단음
대부분 매우 힘들어하는 난제 중 하나다..라고 하지만 2급까지는 5개까지 밖에 없어서 목표가 합격만 하면 되는 경우엔 다른 유형으로 덮으면 돼서 그냥 찍어도 상관은 없다. 하지만 난정장학금을 노리거나 장단음이 10개나 되기 시작하는 1급 부터의 경우에는 찍기가 꽤 난감해진다.[8]
- 만약 찍는 경우엔 한 번호에 몰빵하자. 1번 유형같은 경우엔 문제마다 정답번호를 다르게 정하는 경향이 강하니 이러는 것이 안정성 면에서 효율적이다.
- 일단 받침이 ㄱ, ㄹ, ㅂ(입성) 이면 무조건 단음이다.
- '검', '묘', '췌', '취', '탕', '폐', '품', '후'음은 급수내에서 모두 장음이고 '계', '례', '리', '예', '묘', '무' 음은 대부분 장음이다.
- 2급, 1급에선, 고급한자가 한 두개만 나오고 마니까 고급 단계인 경우 좀 단어에 많이 쓰일 거 같은 장음만 외우자. 하지만 특급에선 거의 1급 한자가 포함 되는데다 10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상당히 힘들어진다.
- 대개 장음인 한자가 모양이 비슷한 경우에는(음도 같다면 더더욱) 같이 장음인 경우도 많으니 엮어서 외우는 방법도 나름 유용하다. 예시로 巨(클 거), 距(상거할 거), 拒(막을 거)는 모두 장음이다. 그리고 建(세울 건), 健(굳셀 건), 鍵(자물쇠 건)도 모두 장음이다.
2.12. 약자
준5급부터 나온다
- 대부분 일본의 신자체가 나온다. 그래서 일본어에 능한 사람은 신자체가 아닌 약자 몇 개만 외워도 섭렵할 수 있다. 신자체/목록 아니면 한자/목록/급수별/약자 항목을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 된다.
- 하지만 특급 부터는 간체자도 대거 포함된다. 그러나 간체자는 부수가 간화된게 많아 부수 위주로 외우면 난이도가 훨씬 내려간다.
2.13. 필순
- 대개 초급 급수(8~7급)에서 나오는 유형이기 때문에 급수가 올라갈수록 사라지는 유형이니 고급의 많은 획수를 외워야 하나 걱정할 필요는 없다.
2.14. '''한문'''
한국어문회 준특급~특급에서 출제되는 유형으로 해당 급수의 만점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어려운 유형이다. 한자뿐만 아니라 역사서, 논어, 춘추 등 고대 중국에 나온 편서를 어느정도 이해를 하고 가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로 해당 분야(한국사학과, 한자학과, 역사학과, 중국어학과 등의 인문계)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주로 본다.
[독음답1] 사용[독읍답2] 총탄[한자쓰기답1] 1. 壓縮, 2. 驅使[1] 한 문단을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2] 象: 형상 상, 像: 모양 상, 狀: 형상 상 이다.[3] 장, 상, 양, 양[훈음답1] 값 가[완성형답1] 思[완성형답2] 應[완성형답3] 身[완성형답4] 烏飛梨落[완성형답5] 巷[완성형답6] 蜚[반의어답1] 嚴格. 관대↔엄격[동음이의어답1] 粉飾[부수답1] 工[장단음답1] 1번[4] 특급과 2, 3급, 준3급에서 이런 식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장단음답2] 2, 3, 5, 8, 9번[5] 3급 밑으로 이렇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장단음답3] 가[6] 1급에서 이렇게 나온다[7] 준특급의 경우 이렇게 나온다.[8] 덕분에 높은 급수를 치는 사람들에게 어차피 현대에 쓰이지도 않는데 왜이리 많이 넣냐고 까인다.[약자답1] 戦 or 战[획순답] [image]
③[한문답1] 1. 이보다 앞서 2. 늙도록 아들이 없다 3. 대를 잇는 아들 4. 왕이 탄 말[한문답2] 공자에 대해 자로에게 묻다.[한문답3] 대답 안하다.[한문답4] 너(2인칭 대명사 '너' 맞다. 글자만 보고 여성만 의미하는 거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는데, 이 글자는 여기서 너 여(汝)와 같은 의미다.[한문답5] 왜 말하지 않았나
③[한문답1] 1. 이보다 앞서 2. 늙도록 아들이 없다 3. 대를 잇는 아들 4. 왕이 탄 말[한문답2] 공자에 대해 자로에게 묻다.[한문답3] 대답 안하다.[한문답4] 너(2인칭 대명사 '너' 맞다. 글자만 보고 여성만 의미하는 거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는데, 이 글자는 여기서 너 여(汝)와 같은 의미다.[한문답5] 왜 말하지 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