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시호)

 


1. 개요
3.1. 혜조(惠祖)
3.2. 혜종(惠宗)
3.2.1. 목록


1. 개요


중국 문화권 (황제)의 묘호, 시호에 사용되는 글자. 묘호에도 사용된 기록이 있다. 시법에서는 분명 좋은 뜻이지만 전한 혜제를 시작으로 실제로는 영 안습한 말로를 맞은 황제에게 주로 주어졌다.
그러나 한편으로 혜제의 시호를 받은 황제들은 호구 취급을 받지만 대체로 인성이 좋은 편이기도 했다. 전한 혜제는 한때 자신의 태자 자리를 위협했던 이복동생 유여의가 여후에게 살해당하지 않도록 노력했고, 바보 황제로 알려진 진 혜제도 혜소가 자신을 지키다가 죽으면서 자신의 옷에 피가 묻자 충신의 피를 닦지 말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으며, 명 혜종은 자신의 황위를 찬탈하려고 반란을 일으키는 숙부를 해치지 말라고 할 정도였다. 고려 혜종은 신체는 강건해서 자객을 직접 때려잡을 정도였지만 성격은 유순했다.

2. 시호


성명
왕조
시호
묘호
재위기간
비고
유영(劉盈)
전한
혜제
(惠帝)
-
BC 195 ~ BC 188
2대 황제
사마충(司馬衷)
서진
혜제
(惠帝)
-
290 ~ 307
2대 황제
주윤문(朱允炆)
명조
혜제
(惠帝)
혜종(惠宗)
1398 ~ 1402
2대 황제
여유신(黎維新)
후여조
현인유경수복혜황제
(顯仁裕慶綏福惠皇帝)
경종(敬宗)
1599 ~ 1619
17대 황제
막경광(莫敬光)
막조
환천성지분문양무혜대왕
(桓天聲地奮文揚武慧大王)
계종(系宗)
1661 ~ 1681
10대 황제

3. 묘호



3.1. 혜조(惠祖)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이율#s-1(李聿)
후당혜조(後唐惠祖)
효공황제
(孝恭皇帝)
-
후당명종 추존

3.2. 혜종(惠宗)



3.2.1. 목록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왕무(王武)
고려혜종(高麗惠宗)
인덕명효선현의공대왕
(仁德明孝宣顯義恭大王)
943~945
2대 왕
왕연균(王延鈞)
혜종(閩惠宗)
제숙명효황제
(齊肅明孝皇帝)
926~935
2대 황제
이칭 태종(太宗)
이지(李志)
남당혜종(南唐惠宗)
효안황제
(孝安皇帝)
-
남당 열조 추존
이병상(李秉常)
서하혜종(西夏惠宗)
강정황제
(康靖皇帝)
1067~1086
3대 황제
보르지긴 토곤테무르
(孛兒只斤 妥懽帖睦爾)
혜종(元惠宗)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1]
순황제(順皇帝)[2]
1333~1370
11대 황제
주윤문(朱允炆)
혜종(明惠宗)
혜황제(惠皇帝)[3]
공민혜황제(恭閔惠皇帝)[4]
1398~1402
2대 황제
이호참(李昊旵)
이조혜종(李朝惠宗)
자천통어흠인횡효황제
(自天捅御欽仁橫孝皇帝)
1211~1224
8대 황제
[1] 북원 추증.[2] 명 추증.[3] 남명에서는 사천장도성의연공관문양무극인독효양황제(嗣天章道誠懿淵功觀文揚武克仁篤孝讓皇帝)라는 새 시호를 올렸다.[4] 청나라 건륭제 추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