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mm
* 무기 관련 정보
총탄의 종류
7.62mm나 7.92mm와 비슷한 위력을 내는 총탄으로 .303 브리티쉬와 7.7mm 아리사카 두 종류가 대표적이다.
[image]
영국은 .303 구경의 흑색화약을 사용하는 리-메트포드 소총을 채택했는데,1886년에 프랑스가 세계 최초로 무연화약을 쓰는 소총 르벨 M1886를 내놓았고, 리-메트포드가 개발된 1888년에는 독일에서도 최초의 무연화약식 연발총 Gew88[1] 이 등장하는 바람에 흑색화약을 사용하는 리-메트포드는 완성되자마자 구식이 될 처지에 놓였다. 이에 1891년, 리-메트포드의 .303(7.7mm)탄과 거의 같은 규격에 장약을 무연화약으로 바꾼 .303 브리티쉬 탄이 개발되게 된다. 초기형은 둥근 탄두를 사용했으나, 할로 포인트탄을 도입하는 등 몇 차례의 개량을 거쳐 1910년부터 뾰족한 탄두가 도입되었다.
이후 .303 브리티쉬는 같이 채용된 리-엔필드에 사용되게 되고 영연방 국가들에서도 채용하게 된다. 또한 빅커스 기관총을 항공기 기총으로 채용한 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에서도 항공기용 기총 탄약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벌어진 제 1차 세계대전과 제 2차 세계대전등의 세계대전과 영국 및 영연방군이 참전한 여러 전쟁들에서 활약하게 된다.하지만 1949년에 NATO가 창설되며 주력 탄종이 7.62mm로 결정됨에 따라 이후 영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들에게서 퇴역되었다.
이후 .303 브리티쉬를 사용하는 새 총기들도 만들어 지지 않고,기존의 브리티쉬탄을 사용하는 총기들도 구식화 되어 군경에서는 완전히 도태되고 말았다.
위력 자체는 7.62mm 나토 탄과 거의 동일하고 동시대 만들어진 다른 소총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탄피 바닥이 튀어나온 림드 탄이라 탄창식 장전을 하는 총에 쓸 경우 불편이 따른다. 리-엔필드용 5발짜리 탄 클립에 끼울 때는, 1, 3, 5번째 탄은 림이 아래에, 2, 4번째 탄은 림이 위에 놓이도록 림을 순서를 맞춰 포개야 한다. 이 순서대로 포개놓지 않으면 장전했을 때 급탄불량이 난다.
어께 부분의 직경이 상당히 좁고 테이퍼각이 큰 다소 특이한 형상을 갖고 있는데, 이는 과거 영국이 사용했던 가느다랗고 길쭉한 줄 형태의 장약인 코다이트 장약을 사용하는 데서 기인한 형상이다.
민간용으로는 영국이나 호주,캐나다 같은 곳에서는 리-엔필드 같은 총이 민간에 많이 풀려있기 때문에 인기있고 탄도 꽤 흔하지만,미국에서는 별다른 메리트가 없어 마이너하고 비싸다.
재밌는 점으론, 소련의 7.62x54mmR탄과 탄두가 호환된다. 이 때문에 한번 사용한 .303브리티쉬 탄피에 7.62x54mmR탄자를 끼어넣어 재생탄을 만들기도 한다.
[image]
'''99식'''
'''92식'''
일본은 그 동안 타 국가들보다 좀 작은 구경의 6.5mm탄을 사용하고 있었고,나름대로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6.5mm는 러일전쟁 시기부터 병사들에게 적군의 탄약에 비해 사거리가 짦고 위력도 낮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었고,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이 불만이 확대되었다,
당시 중국군이 쓰고 있었던 7.92mm 탄약은 일본군의 탄약보다 사거리,위력,명중률이 우월했고, 이에 일본 군부는 해군이 사용하던 .303 브리티쉬 탄을 국산화하여 탄약을 만드는데,이것이 7.7mm 아리사카 탄이다.
처음 개발된 아리사카 탄은 92식으로 불리며 이 탄약은 92식 중기관총에만 사용되었으나[2] 1941년에 99식 소총과 99식 경기관총 등의 화기들이 개발되며 이 화기들에 최적화된 99식 탄약이 나오고,이 탄약이 우리가 잘 아는 표준 아리사카 탄이다.
이후 제 2차 세계대전 종전까지 일본군의 주력 탄약으로 이용되었다.
기존의 6.5×50mm SR에 비해 위력이 향상되었지만 이 탄의 탄 운동에너지는 3200J 정도로, 비록 실전에서 그리 부족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동시대 타국의 제식 소총탄에 비하면 여전히 조금 약한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
1. 개요
총탄의 종류
7.62mm나 7.92mm와 비슷한 위력을 내는 총탄으로 .303 브리티쉬와 7.7mm 아리사카 두 종류가 대표적이다.
2. 종류
2.1. .303 British(7.7×56 mm)
[image]
2.1.1. 제원
2.1.2. 상세
영국은 .303 구경의 흑색화약을 사용하는 리-메트포드 소총을 채택했는데,1886년에 프랑스가 세계 최초로 무연화약을 쓰는 소총 르벨 M1886를 내놓았고, 리-메트포드가 개발된 1888년에는 독일에서도 최초의 무연화약식 연발총 Gew88[1] 이 등장하는 바람에 흑색화약을 사용하는 리-메트포드는 완성되자마자 구식이 될 처지에 놓였다. 이에 1891년, 리-메트포드의 .303(7.7mm)탄과 거의 같은 규격에 장약을 무연화약으로 바꾼 .303 브리티쉬 탄이 개발되게 된다. 초기형은 둥근 탄두를 사용했으나, 할로 포인트탄을 도입하는 등 몇 차례의 개량을 거쳐 1910년부터 뾰족한 탄두가 도입되었다.
이후 .303 브리티쉬는 같이 채용된 리-엔필드에 사용되게 되고 영연방 국가들에서도 채용하게 된다. 또한 빅커스 기관총을 항공기 기총으로 채용한 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에서도 항공기용 기총 탄약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벌어진 제 1차 세계대전과 제 2차 세계대전등의 세계대전과 영국 및 영연방군이 참전한 여러 전쟁들에서 활약하게 된다.하지만 1949년에 NATO가 창설되며 주력 탄종이 7.62mm로 결정됨에 따라 이후 영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들에게서 퇴역되었다.
이후 .303 브리티쉬를 사용하는 새 총기들도 만들어 지지 않고,기존의 브리티쉬탄을 사용하는 총기들도 구식화 되어 군경에서는 완전히 도태되고 말았다.
위력 자체는 7.62mm 나토 탄과 거의 동일하고 동시대 만들어진 다른 소총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탄피 바닥이 튀어나온 림드 탄이라 탄창식 장전을 하는 총에 쓸 경우 불편이 따른다. 리-엔필드용 5발짜리 탄 클립에 끼울 때는, 1, 3, 5번째 탄은 림이 아래에, 2, 4번째 탄은 림이 위에 놓이도록 림을 순서를 맞춰 포개야 한다. 이 순서대로 포개놓지 않으면 장전했을 때 급탄불량이 난다.
어께 부분의 직경이 상당히 좁고 테이퍼각이 큰 다소 특이한 형상을 갖고 있는데, 이는 과거 영국이 사용했던 가느다랗고 길쭉한 줄 형태의 장약인 코다이트 장약을 사용하는 데서 기인한 형상이다.
민간용으로는 영국이나 호주,캐나다 같은 곳에서는 리-엔필드 같은 총이 민간에 많이 풀려있기 때문에 인기있고 탄도 꽤 흔하지만,미국에서는 별다른 메리트가 없어 마이너하고 비싸다.
재밌는 점으론, 소련의 7.62x54mmR탄과 탄두가 호환된다. 이 때문에 한번 사용한 .303브리티쉬 탄피에 7.62x54mmR탄자를 끼어넣어 재생탄을 만들기도 한다.
2.2. 7.7×58mm 아리사카
[image]
2.2.1. 제원
'''99식'''
'''92식'''
2.2.2. 상세
일본은 그 동안 타 국가들보다 좀 작은 구경의 6.5mm탄을 사용하고 있었고,나름대로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6.5mm는 러일전쟁 시기부터 병사들에게 적군의 탄약에 비해 사거리가 짦고 위력도 낮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었고,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이 불만이 확대되었다,
당시 중국군이 쓰고 있었던 7.92mm 탄약은 일본군의 탄약보다 사거리,위력,명중률이 우월했고, 이에 일본 군부는 해군이 사용하던 .303 브리티쉬 탄을 국산화하여 탄약을 만드는데,이것이 7.7mm 아리사카 탄이다.
처음 개발된 아리사카 탄은 92식으로 불리며 이 탄약은 92식 중기관총에만 사용되었으나[2] 1941년에 99식 소총과 99식 경기관총 등의 화기들이 개발되며 이 화기들에 최적화된 99식 탄약이 나오고,이 탄약이 우리가 잘 아는 표준 아리사카 탄이다.
이후 제 2차 세계대전 종전까지 일본군의 주력 탄약으로 이용되었다.
기존의 6.5×50mm SR에 비해 위력이 향상되었지만 이 탄의 탄 운동에너지는 3200J 정도로, 비록 실전에서 그리 부족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동시대 타국의 제식 소총탄에 비하면 여전히 조금 약한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
[1] 일명 "위원회 소총". 독일 육군이 잘나가는 마우저를 배제하고 개발한 총으로, 문제가 많아 나중에 마우저의 Gew98로 대체한다.[2] 이 92식 탄은 99식 탄약과 달리 세미 림드 탄약이라, 99식 탄약을 쓰는 총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림 때문에 약실에 들어가지 않아 장전 자체를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