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ropa Universalis IV/공략/구호기사단

 





'''구호기사단'''
국기
[image]
프로빈스
[image]
1. 개요
2. 운영 전략
2.1. 초반
2.2. 예루살렘으로
2.3. 이후 전략
3. 도전과제


1. 개요


십자군 국가의 후예라고 할 수 있는 키프로스(Cyprus)와 기사단(The Knights)은 예루살렘 왕국으로 변신할 수 있는 디시전을 가지고 있다.[1] 그리고 둘 다 프랑스 문화권이라 프랑스를 멸망시키고 프랑스가 되는 엽기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른 국가로 플레이시 AI는 재미있게도 실제 역사에서 1453년에 비잔티움 제국이 멸망한 이후 성전을 빙자한 해적질을 했던 것을 반영해 오스만을 지속적으로 해적질하며[2] 1520년에 술레이만 1세가 로도스 섬을 함락시켰을때 카를 5세의 자비로 몰타 섬을 할양받은 것을 고증해 로도스 섬이 함락되고 시간이 지나면 몰타 섬을 소유하고 있는 세력에게 몰타를 할양해주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를 받아들일시 몰타 섬에서 세력이 부활한다. 물론 플레이어가 구호 기사단으로 플레이하면 로도스가 함락되면 게임오버 당하므로 주의.
황제 DLC 덕을 많이 본 나라로 그리스 정복 → 라틴 제국 재형성[3]의 미션트리를 통하여 비잔티움 급의 영구 클레임을 마구 퍼주며, 다른 트리로는 안티옥을 점령하여 구호기사단을 복원하여 인력 +10%, 인력 회복률 +10%의 버프를 받고 예루살렘을 수복한 후, 이집트를 정복한 후 언약궤를 찾기 위해 아비니시아를 정복하는 미션을 따라간다. 남이탈리아의 나라와 동맹하여 몰타섬부터 북아프리카 무슬림 해적떼를 소탕하는 미션이 주어져서 북아프리카를 정복할 수 있다. 또한 신세계에 식민지를 펼쳐서 생명의 샘을 찾는 미션[4]을 완수한다면 지도자의 수명이 15% 늘어나는 버프를 바을 수 있다. 사실상 동로마 제국이 전성기 때의 영토에 영구 클레임을 박아주므로 가톨릭 비잔티움이라고 생각하고 플레이하면 된다.

2. 운영 전략



2.1. 초반


1444년 기준 기사단의 초반 상황은 매우 암울하다. 기사단의 시작 위치는 아나톨리아 반도 아래에 위치한 작은 섬 로도스인데, 로도스의 종교는 정교회이며 문화는 그리스인이다. 그러나 기사단의 국교는 가톨릭이고 주문화는 프랑스라서 시작 시 종교 통합도는 0%. 이로 인해 반란도 관리를 조금만 잘못하면 튀어나오는 반란군에게 게임이 끝난다. 게다가 확장을 좀 하려고 하면 여기 저기 경고를 날려대는 오스만이 있어 확장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이 오스만은 시작할 때부터 예루살렘 성립 후는 물론 멸망하기 직전까지 기사단의 좋은(?) 적이 되어 사사건건 방해를 할 것이다.
기사단의 첫 목표는 망하기 직전인 비잔티움이다. 1.8 패치 이전에는 오스만이 알바니아 침공 이후 대부분 비잔티움을 공격했지만, 1.8 이후에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비잔티움이 아닌 다른 국가를 공격한다. 오스만이 비잔티움에 전쟁을 선포하기 전에 최대한 빨리 비잔티움의 땅에 클레임을 걸어야 한다. 비잔티움이 오스만의 공격을 먼저 받았다면 재시작이 필요하다. 시작 시점에서 외교관 하나는 그리스 남부의 비잔티움과 비잔티움의 속국 땅에 클레임을 걸러 보내고 나머지 하나는 베네치아에 보내 관계 개선을 하자. 기사단과 역사적 친구 특성이 붙어 있는 베네치아가 독립보장을 해주고 있으니, 조금만 관계 개선을 하면 초반 해군력이 막강한 베네치아와 동맹을 맺을 수 있다. 이후 외교관을 쉴 새 없이 굴려 비잔티움이 오스만의 공격을 받기 전에 비잔티움과 그 속국의 땅들에 클레임을 걸 수 있는 만큼 걸고 전쟁을 선포하자. 코삭 DLC가 있다면 호의를 모으지 못하기에 베네치아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데, 해적질로 벌어들인 돈의 힘으로 포스리밋을 넘겨서 용병을 뽑고 공격하면 혼자서도 비잔티움 정도는 상대가 가능하다. 콘스탄티노플까지 점령하면 좋겠지만 초반 국력이 약한 기사단이 무거운 콘스탄티노플을 소화하기가 힘들고 점령하기도 쉽지 않으며, 점령하는 즉시 오스만의 어그로를 끌어 높은 확률로 망할 수 있으니 포기하자. 여기서 예루살렘을 만들기 싫다면 그리스로 문화변경을 한 후(웬만하면 종교 개종도 좋고) 에피루스와 코르푸를 먹으면 그리스로 변할 수 있다. 하지만 에피루스는 오스만의 영토이고 코르푸는 베네치아 속국이다. 즉, 그리스로 변하는게 쉽진 않은데다 그리스의 아이디어가 기사단이나 예루살렘의 아이디어에 비하면 좋은 편은 아니다.
1.30에서 새 공용 미션[5]을 받았는데, 발칸/아나톨리아 정복 트리, 성지 정복 트리,[6] 북아프리카 정복 트리[7]의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초반부터 이득을 거두기 좋은 미션들이 포함되어 있다.
북아프리카 정복 트리는 마지막 보상이 신기하게도 지도자의 수명을 늘려주는 영구 모디파이어[8]고, 첫 미션에서 몰타를 공짜로 얻을 수 있으니 몰타를 가지고 시작하는 아라곤과 열심히 관계 개선을 하고 동맹을 맺자.[9]
그리스로 나아가는 첫 미션은 교황청과 관계도가 150 이상이 되어야 달성할 수 있는데, 1.30에서 같이 추가된 면벌부 구매를 하면 교황청 영향력이 오르는 것 외에도 교황청과의 관계도가 75 오른다는 것을 이용해 오랫동안 관계 개선을 돌리지 않아도 깰 수 있다. 이 미션의 보상이 남그리스 지역 영구 클레임이라, 오스만에게 뜯길 에피루스, 비잔틴 지역을 빠르게 가져올 수 있다. 비잔틴 일부 점령에 속국화까지만 해도 두번째 미션을 깰 수 있고, 두번째 미션까지만 깨도 현대의 그리스 강역과 콘스탄티노플 주변까지 영구 클레임을 퍼준다.
성지 트리도 첫 미션부터 해군 한계를 모두 채우고 제독이 있다면 알레포, 팔레스타인 지역에 영구 클레임을 준다.

2.2. 예루살렘으로


남그리스를 점령하고 개종시켜 안정화시켰다면 암울했던 시절은 어느 정도 극복했다고 볼 수 있다. 주변에 경고를 날려대는 오스만 덕분에 당분간은 전쟁으로부터 안전하다. 물론 기사단도 이쯤 되면 오스만의 경고를 받아 확장하기는 까다롭다. 오스만과 싸워서 발칸반도의 땅들을 점령하는 방법도 있지만 폴란드는 단치히를 점령하기 급급하고 프랑스는 영국과 싸우느라 동쪽에 관심도 없을 것이며 심지어 러시아는 존재하지도 않는 상태에서 변변찮은 동맹들과 초반에 막강한 오스만을 상대로 공격전을 펼치는 것은 승산이 없다. 혹시나 오스만이 경고를 날리지 않았다면 발칸반도의 국가들에 CB 없이 전쟁을 걸어 교두보를 마련하는 것도 좋다.
기사단의 다음 목표는 키프로스 섬. 키프로스를 점령해야 클레임이 예루살렘 부근에 닿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점령할 필요가 있다. 오스만과 맘루크가 전쟁할 때 맘루크의 속국 혹은 동맹상태인 키프로스에 전쟁을 선포하면 오스만이 태클을 걸지 않고 맘루크 역시 여기에 신경을 쓸 겨를이 없을 것이다. 맘루크 해군만 조심하면 키프로스는 간단히 점령할 수 있다.
키프로스 섬을 점령했다면 다음 오스만과 맘루크의 전쟁 전까지 예루살렘 형성 디시전에 필요한 지역에 클레임을 걸고 기다리다가 오스만이 맘루크를 일방적으로 밀어버리는 타이밍에 전쟁을 걸고 드랍을 가면 쉽게 예루살렘 형성에 필요한 지역을 얻을 수 있다. 타이밍이 꼬여버리면 오스만이 필요 지역을 가져갈 수도 있으니 유의할 것. 절대주의의 시대 이전에 이 지역들에 코어를 박고 카톨릭으로 개종시키면 예루살렘 형성 디시전이 활성화된다.
단 유저가 아닌 AI가 예루살렘 형성 디시전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라면 AI는 무슨 일이 있어도 디시전을 누르지 않는다. 만약 종속국으로 예루살렘을 만들고 싶다면 저장한 게임에서 프로방스, 구호기사단, 키프로스를 선택해서 직접 디시전을 눌러줘야 한다. [10]

2.3. 이후 전략


먼저 오스만과 예루살렘에게 땅을 빼앗겨 비실거리고 있을 맘루크의 숨통을 끊어버리고 이집트 문화를 수용하는 것이 좋다. 그 이후에는 나일강 하류의 높은 개발도를 얻게 되어 자유롭게 플레이해도 될 국력을 가지게 된다. 오스만은 여전히 두려운 존재지만 다른 주변국들은 그리 무섭지 않다. 아라비아 반도로 진출해서 메카를 함락시켜 선교사를 얻는 것도 좋고 남으로 내려가서 에티오피아와 주변국을 정복하고 아덴만의 무역력을 끌어오는 것도 좋다. 예루살렘의 국가 아이디어는 종교와 개종에 매우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교황청 포인트가 남아도는데 이를 이용해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고 발칸 진출 이후에는 교황청 조종자도 적극적으로 노릴 수 있다. 그리고 철인모드로 진행했다면 기사단용 도전 과제도 모두 달성하게 된다.

3. 도전과제


  • On the Rhodes Again - 1.30
구호기사단으로 예루살렘, 안티오크, 콘스탄티노플을 지배하며 코어를 가지면 달성된다. 같은 버전부터 지원 받은 미션트리로 세 지역 모두 영구 클레임이 주어진다.
  • King of Jerusalem
키프로스나 구호기사단으로 예루살렘 왕국을 형성하면 달성된다.
[1] 황제 DLC부터는 프로방스에 십자군 미션이 생기면서 프로방스도 예루살렘 왕국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2] 물론 기독교도는 약탈할 수 없다. 정확히는 같은 종교 프로빈스면 안된다.[3] 게임상에서 라틴 제국을 만들 수는 없다. 그 대신 국가 랭크가 제국 등급으로 뻥튀기 된다. 기사단은 국가 랭크를 6단계 정부개혁 전엔 못올리기 때문에 이는 매우 파격적인 보너스다.[4] 생명의 샘 미션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모건 블랙과 오리지널 캠페인 1막을 패러디했다.[5] Crusader, 그러니까 십자군으로 세워졌던 국가들의 미션이다. 아테네, 키프로스, 에피루스, 낙소스와 같은 미션트리를 쓴다.[6] 알렉산드리아를 넘어 악숨까지 간다.[7] 후반부 중 두 미션은 아메리카로 간다.[8] 물론 아메리카에서 젊음의 샘이 있는 프로빈스를 차지해야 해서 작정하고 찾지 않으면 깨기가 어렵다. 바로 전 미션에서 육군 전통 100의 정복자를 지원해주긴 한다.[9] 원래는 기사단이 망하고 나서 몰타에서 부활시킬 수 있는 이벤트(The Knights of St. John of Jerusalem)를 미션 보상으로 주는 구조다. AI는 양도하는 선택지를 고르니 확정으로 얻을 수 있다. 몰타를 직접 소유해도 되나, 몰타 소유국과 관계도가 150 이상이면서 동맹이어도 된다.[10] 보통의 경우, 프로이센 형성 디시전 같이 신롬 내부의 국가가 아닌 이상, AI는 어지간해서는 국가형성 디시전을 잘 누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