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D

 


[image]
1. 개요
2. 소설판
3. 애니메이션
3.1. OVA
3.1.1. 주제가
3.1.2. 회차 목록
3.2. TVA
3.2.1. 성우진
3.2.2. 주제가
3.2.3. 회차 목록
4. 코믹스
5. 등장인물
5.2. 독선사讀仙社
5.4. 일반인(작가?)
5.6. 작중 특수 용어
5.7. 도달자


1. 개요


스튜디오 오르페에서 기획한 라이트 노벨, 애니메이션, 만화으로 동시 전개되는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
기본적으로 Read or Die(읽느냐 죽느냐)의 약자지만, 세자매 코믹스 버젼에서는 Read or Dream의 약자. 요미코 판 코믹스는 그대로 Read or Die를 따른다. 만화책은 '학산 문화사'를 통해 정발되었다.
말 그대로 책에 죽고 책에 사는 주인공 요미코 리드맨을 중심으로, 그녀가 속한 대영도서관 특수공작부와 그 대적 세력간의 이야기이다.
소설, 코믹스, 애니메이션은 등장인물만 같을 뿐, 스토리가 전혀 다른데 이것은 원작자인 쿠라타 히데유키「내용이 같다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라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2012년 1월 발매된 게임 히어로즈 판타지아요미코 리드맨낸시 마쿠하리 등 10명이 참전하였다.
동인 작품으로 Elepaper Action라는 게임이 나왔는데, 물론 출판사나 저자와는 관련이 없다.

2. 소설판


원작이라 할 수 있는 라이트 노벨은 「R.O.D READ OR DIE YOMIKO READMAN "THE PAPER"」라는 긴 제목. 줄여서 보통 R.O.D로 표기한다. 쿠라타 히데유키슈에이샤슈퍼 대시 문고를 통해 발간하였다. 일본에서 2000년 7월 1권을 시작으로 2006년 2월 11권까지 발매하였다. 그리고 2015년 8월까지도 12권이 안 나오는 중. 작가가 애니 각본가가 주업이기에 클라이막스에 접어들었으면서도 발간 속도가 극악을 달리고 있다. 참고로 7권과 10권은 번외편. 국내에서는 현재 절판된 지 꽤 오래되었다.
NT노벨 초기 라인업중 하나로 얇은 두께로 '''돈값 못한다'''는 소리를 많이들었다. 하지만 전부 250페이지가 이상.... 그당시 나오던 NT노벨은 두꺼운게 주여서 상대적으로 얇아보였지만 요즘 나오는 200페이지 간신히 넘기는 라노벨에 비하면 두꺼운 편이다.
2011년 발표에 따르면 정작 쓰라는 소설은 안쓰고 신기획을 세우고 있다. 리바이벌이란 의미의 R.O.D -R이라는 가제로 소개되었다. 이 소식을 접한독자들은 '''됐으니까 완결이나 써어어어어어!!!!'''라고 절규했다.
그리고 2013년 그 신작이 발매되었다. 「R.O.D REHABILITATION」라는 제목의 '코믹스'.
2013년 10월에 드디어 '''12권의 발매 정보'''가 올라왔다! 올해 12월에 나올 계획이라고 하며, 전권과 비교하면 7년 10개월만의 신간인셈. 아마존을 비롯한 인터넷 서점에서 예약주문을 받고 있는데, 발매일이 2014년 2월로 되어있다. 결국 8년 다 채우고 발매 예정이었지만... 다시 '''무기한 연기'''되었다. 아마존 등에서도 해당 페이지가 지워졌었다. 이후 2016년 6월 3일 대쉬엑스문고 편집부 트위터에 ''''어떤 작품의 초고를 받았으며, 10년 만의 신간''''이라는 트윗이 떴다.[1] 이어서 24일에 어떤 작품이란 '''R.O.D의 12권이 맞으며''' 외전이나 스핀오프가 아니라는 것, 그리고 8월에 발매할 예정임을 밝혔다.트위터
다만 집필중에 한 권이 추가되어 13권 완결로 변경되었다. 13권은 2017년 발매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12권 발매와 동시에 新애니메이션 화도 기획 중에 있음을 말했다. 그러나 13권은 2020년이 넘어가도록 안 나오고 있으며 당연히 애니화 얘기도 붕 떠버렸다.

3. 애니메이션



3.1. OVA


'''R.O.D -READ OR DIE-'''
작품 정보 ▼
'''원작'''
쿠라타 히데유키
'''시리즈 구성'''
'''각본'''
'''캐릭터 원안'''
우온 타라쿠(羽音たらく)
'''감독'''
마스나리 코지
'''캐릭터 디자인'''
이시하마 마사시
'''비주얼 워크 인핸서'''
나카지마 아츠코
'''메카닉 디자인'''
스가누마 에이지
'''아이템 디자인'''
야마가타 아츠시(山形厚史)
'''프로덕션 디자인'''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訓之)
'''미술 감독'''
오구라 카즈오(小倉一男)
'''미술 설정'''
나리타 히데야스(成田偉保)
'''색채 설계'''
마츠모토 신지(松本真司)
'''촬영 감독'''
콘도 신요(近藤慎与)
'''편집'''
宮本逸雄
'''음향 감독'''
코다마 타카시(児玉 隆)
'''애프터 레코드 연출'''
히라미츠 타쿠야(平光琢也)
'''음악'''
이와사키 타쿠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딘
'''제작'''
SME 비주얼 웍스(SME・ビジュアルワークス)
'''공개 기간'''
2001. 05. 23. ~ 2002. 02. 06.
'''편당 러닝 시간'''
30분
'''화수'''
3화
'''국내 심의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
2001년 스튜디오 딘에서 OVA 애니메이션화 되었다. 제목은 「R.O.D -READ OR DIE-」이고 각 30분으로 3화 완결. 원작자 '쿠라타 히데유키'가 각본을 맡았다.
기본적인 줄거리는 베토벤, 삼장법사, 히라가 겐나이, 장 앙리 파브르등 유전자 샘플을 이용해 특수능력을 지닌체 만들어진 위인의 클론들이 나타나 테러를 일으킨다. 그들의 목적은 늘어난 인구수를 감소시켜 보다 뛰어난 인간들만 남기려는 말살 계획. 이를 독서광이면서 대영도서관 특수공작부 에이전트인 요미코 리드맨낸시 마쿠하리를 중심으로 그 동료들이 저지하려는 내용.
여러모로 높은 퀄리티의 작품이다. 방대한 스케일과 고퀄리티의 작화를 보여줬으며 영화에 가까운 연출감각을 제대로 살려내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애니메이터 이시하마 마사시가 두각을 보인 작품으로 이시하마 마사시와 친한 실력파 애니메이터 들이 다수 투입되어 작화도 뛰어나다. 스즈키 히로후미, 마츠타케 토쿠유키, 타가시라 시노부, 나카타니 세이이치, 치바 타카히로, 우메츠 야스오미, 사이 후미히데, 타카하시 신야, 츠루 토시유키, 무라타 토시하루, 스가누마 에이지 등이 참여했다.
스토리 또한 원작이나 기타 매체를 보지 않더라도 좋을만큼 보기 좋게 깔끔하게 제작되었다. 전체적인 내용을 다 알아야 되는 통상적인 일본 애니와는 다르게 미국드라마인 CSI 과학수사대 시리즈나, 크리미널 마인드 처럼 한 시즌의 전체적인 맥락을 몰라도 각 화를 시청자들이 보는데에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과 비슷하다. 여러 에이전트들이 이런 사건을 해결하고 있다라는 것만 알고 즐겨도 무리가 없다. TVA는 OVA와는 다르게 이쪽은 전형적인 일본식 내용으로 26화 통째로 이어져있다.
이와사키 타쿠가 담당한 애니메이션 OST도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애니원을 통해 한국에서도 더빙으로 방영되어 국내에서 R.O.D 시리즈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킨 작품이다.
전문 성우가 아니라 일반 아이돌인 미우라 리에코(三浦理恵子)가 성우로 활동한 최초이자 최후의 작품. 요미코 리드맨 역을 맡았다. 처음이라고 보기에는 매우 능숙하게 연기했다. 기타 성우 관련은 TVA 편을 참조.
다만 DVD나 비디오나 국내 케이블 방송용까지 작은 화면 오류가 있었다. 바로 요미코가 히라가 겐나이를 쓰러뜨릴때 윗화면이 작게 화면이 에러가 나는 부분이 그대로 방송 및 발매되었다(국내 정발 출시판 및 케이블 방송판이나 국내 미발매전 일어판까지 확인한 사항). 결국 블루레이 판에서는 이게 고쳐졌다.(화면만 보면 잘 모르겠지만 하얀 배경화면에 올려보면 맨 위에 검게 화면이 칠해진 에러를 고쳤다.)

3.1.1. 주제가




3.1.2. 회차 목록


'''회차'''
'''제목'''
'''작화감독'''
'''캐릭터'''
'''메카닉'''
'''프롭'''
OVA 1
読子さん、事件ですよ。
요미코 씨, 사건이에요
이시하마 마사시
스가누마 에이지
스즈키 히로후미
-
OVA 2
読子さん、インドですよ。
요미코 씨, 인도예요
스가누마 에이지[2]
타치바나 히데키
OVA 3
読子さん、ピンチですよ。
요미코 씨, 위기예요
-

3.2. TVA


'''R.O.D -TV-'''
작품 정보 ▼
'''원작'''
쿠라타 히데유키
'''각본'''
'''캐릭터 원안'''
우온 타라쿠(羽音たらく)
'''감독'''
마스나리 코지
'''캐릭터 디자인'''
이시하마 마사시
'''총 작화감독'''
'''프로덕션 디자인'''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訓之)
'''미술 감독'''
이스터 녀석조(イースターやつ組)
'''미술 설정'''
이즈미 히로시(泉 寛)
'''색채 설계'''
타나하시 마유미(店橋真弓)
'''촬영 감독'''
니시다 카즈나리(西田和成)
'''편집'''
사카모토 마사키(坂本雅紀)
'''녹음 감독'''
키쿠타 히로미(菊田浩巳)
'''음악 감독'''
코다마 타카시(児玉 隆)
'''음악'''
이와사키 타쿠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스튜디오 딘
'''제작'''
애니플렉스
'''방영 기간'''
2003. 10. 15. ~ 2004. 03. 17.
'''방송국'''
[image] 후지 TV / (목) 02:58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26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관련 사이트'''

}}}
J.C.STAFF에서 TVA를 제작해 2003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후지 TV에서 방영했다. 제목은 「R.O.D -THE TV-」 총 26화 완결. 이시하마 마사시를 필두로 한 제작진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대부분 배경음은 OVA에서 작곡했던 곡들을 그대로 차용해서 썼다.
주요 성우 배역(CV)
줄거리는 홍콩에서 '세 자매 탐정사무소'를 운영중인 3명의 종이자매들이 있다. 하지만 탐정사무소의 의뢰가 그다지 많지 않아 통역이나 관광 가이드 등으로 부업을 하는 미셸은 자신이 아주 좋아하는 일본 작가 '스미레가와 네네네'의 홍콩 방문에 맞춰 그녀의 보디 가드 겸 가이드를 맡게 된다. 이번에 스미레가와의 저서 중 <한밤중의 해방구(심야의 해방구)>가 홍콩에서 뒤늦게 베스트 셀러가 되고, 나아가 영화로까지 제작된다고 하자 원작자 스미레가와도 놀라는 눈치이다. 하지만 이 영화화 계획의 뒤에는 뭔가 음모가 도사리고 있었는데....
OVA로부터 5년 후 배경이다. 전작의 주인공 요미코 리드맨은 중반 이후에 등장하고 종이자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당시 원작과 OVA의 인기에 힘입어 제작된 듯하지만, 영화같이 빠른 템포로 굵직한 사건을 다뤘던 OVA와는 달리, 세 자매의 만담이나 우정, 막내 아니타의 성장 등 가정사 같은 일상물이 초중반의 주된 내용이라 실망한 사람이 많았다. '''오프닝에서 보여주는 화려한 액션과 속도감과는 괴리가 심했다'''. 그와 더불어 상당 부분 보이는 작화 붕괴도 저평가에 한 몫[3] . 이는 추후에 발매된 DVD, 블루레이 판에서조차 수정되지 않고 그대로 판매했다. 다만 한국 팬들이 작화붕괴라고 지적하는 건 대부분 치바 타카히로 담당 편으로 진짜 작화붕괴도 있지만 그림체가 마음에 안 드는 걸 작화붕괴라고 하는 등 과장된 측면도 있다.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심각하게 작화에 문제가 있는 애니메이션은 아니다.
초중반까지 전개됐던 일상물과는 다르게 중후반부터는 급작스럽게 음모 이야기가 전개되어 시청자들이 도무지 뭐가 뭔지 따라잡을 수가 없었다. 급기야 14화에서 아예 통째로 처음부터 끝까지 나레이션을 넣어 OVA 사건의 시점으로부터 5년 뒤인 TV판 전개를 정리한답시고 대놓고 국어책 읽기해버리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원작이나 배경지식이 없어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OVA와는 달리 무리하게 원작의 스토리를 끌어다가 쓴 데다가, 오리지날 종이자매 이야기까지 넣어버려 이도 저도 못한 채로 진행되다보니 원작을 알지못하는 시청자들이 매우 혼란스러워했다. 이를 정리해주고자 그런 듯하지만, 정작 TV 앞에서 국어책 읽기해주는 14화를 처음부터 끝까지 멍하니 보고 있었을 사람들은 어이가 없었다.
총 26화 중 절반은 종이자매의 가정사, 나머지 절반은 음모로 구성한 것이라 제대로 복선을 회수하고 전개할 만한 여유가 없었다. 후반에 들어서는 한꺼번에 설정해둔 복선을 무리하게 회수하면서 스토리의 흐름을 망가트렸다. 종이자매의 우애와 사랑, 막내 아니타가 학교에 다니면서 그려내는 학원물, 스미레가와 네네네의 사정, 독선사의 의뢰, 대영도서관의 음모, 낸시 이야기 등을 TV판에 모두 소화시키지 못했고 각각의 갈등 해결도 제대로 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버리는 식[4]이 되었다. 안 그래도 복잡하게 얽힌 설정과 복선들이 있어서 전개하기 힘든데, '''주인공들과 친한 사람들은 알고보니 전부 착한 사람'''이라고 하니 시청자들이 납득하기 힘들었다.
이렇게 내용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리는 작품이 되었으나 작화 측면에선 여전히 이시하마 마사시와 그의 지인들이 다수 투입되어 중간에 쉬어가는 에피소드에서 작화가 좀 떨어지는 경우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작화가 뛰어난 편. 사이 후미히데, 스즈키 히로후미, 치바 타카히로, 마츠타케 토쿠유키, 하세가와 신야, 우노 마코토, 타케우치 테츠야, 호소다 나오토, 니시고리 아츠시, 타카하시 아사오, 모리 히사시, 시게타 사토시, 스도 토모노리, 카네코 히라쿠, 우메츠 야스오미가 참여했다. 특히 마지막 화가 유명하다.
TV판의 DVD 판매량은 평균 6700장으로 집계되었다. R.O.D -THE COMPLETE- Blu-ray BOX라고 블루레이 박스로도 발매되었는데 판매량은 5천 장 정도.

3.2.1. 성우진


아니타 킹(アニタ・キング) : 사이토 치와(斎藤 千和)
마기 무이(マギー・ムイ) : 히라타 히로미(平田 宏美)
미쉘 창(ミシェール ・チャン) : 키쿠치 쇼코(菊地 祥子)
스미레가와 네네네(菫川ねねね) : 유키노 사츠키(雪野 五月)
요미코 리드맨(読子・リードマン) : 미우라 리에코(三浦 理恵子)
낸시 마쿠하리(ナンシー・幕張) : 네야 미치코(根谷 美智子)
조커(ジョーカー) : 고다 호즈미(郷田 ほづみ)
웬디 이어하트(ウェンディ・イアハート) : 사케노베 미카(鮭延 未可)
주니어((ジュニア) : 사이가 미츠키(斎賀 みつき)
드레이크 앤더슨(ドレイク・アンダーソン) : 이와사키 마사미(岩崎 征実)

3.2.2. 주제가




3.2.3. 회차 목록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TVA'''
제1화
紙は舞い降りた
종이가 춤추며 내려왔다
마스나리 코지
이시하마 마사시
2003.10.16.
제2화
ダメ人間ども集まれ
글러먹은 인간들끼리 모여
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치바 타카히로
2003.10.23.
제3화
神保町で逢いましょう
진보쵸에서 만나죠
호소다 나오토
2003.10.30.
제4화
中一コース
중1 코스
시마즈 히로유키
(しまづ聡行)
와타나베 켄이치로
(渡部健一郎)
타카하시 유이치
(高橋裕一)
2003.11.13.
제5화
やつらは騒いでいる
녀석들이 소동을 피우고 있다
스즈키 신고
(鈴木信吾)
코야마 요시타카
(湖山禎崇)
마루야마 코이치
(丸山宏一)
사이 후미히데
2003.11.20.
제6화
ライトスタッフ
라이트 스탭
모리와키 마코토
타치바나 히데키
2003.11.27.
제7화
藪の中
덤불 속
세키노 마사히로
(関野昌弘)
후쿠요 타카아키
(福世孝明)
타카하시 유이치
2003.12.04.
제8화
夜に惑わされて
밤에게 꾀어져
요시모토 타케시
오오가와라 하루오
(大河原晴男)
2003.12.18.
제9화
闇の奥
어둠 속
나카야마 카츠이치
(中山勝一)
와타나베 켄이치로
치바 타카히로
2003.12.25.
제10화
クリスマス・キャロル
크리스마스 캐럴
후쿠다 미치오
타키모토 오사무
(滝本 治)
이가라시 준
(五十嵐 淳)
2004.01.15.
제11화
さよならにっぽん
안녕 일본
深井蒼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아이사카 나오키
(相坂直紀)
2004.01.29.
제12화
紙々の黄昏
종이들의 황혼
스즈키 신고
코야마 요시타카
타치바나 히데키
야가미 코이치
(矢上孝一)
마스다 쿠니아키
(枡田邦彰)
시타야 토모유키
(下谷智之)
2004.02.05.
제13화
続・紙々の黄昏
속, 종이들의 황혼
후쿠다 미치오
에지마 야스오
(江島泰男)
타카하시 유이치
2004.02.12.
제14화
紙葉の森
지엽의 숲
마스나리 코지
치바 타카히로
제15화
仄暗き地の底で
어슴푸레한 땅바닥에서
마스나리 코지
타카시마 다이스케
츠즈키 유카코
(都築裕佳子)
토모오카 신페이
(友岡新平)
2004.02.19.
제16화
華氏四五一
화씨 451도
요시모토 타케시
마스다 쿠니아키
야가미 코이치
제17화
スイートホーム
스위트 홈
深井蒼
타치바나 히데키
스기모토 이사오
(杉本 功)
카네다 에이지
(金田英二)
2004.02.26.
제18화
告白
고백
후쿠다 미치오
타카시마 다이스케
아이사카 나오키
2004.03.04.
제19화
家族ゲーム
가족 게임
深井蒼
코야마 요시타카
츠즈키 유카코
치바 타카히로
2004.03.11.
제20화
悲しみよこんにちは
슬픔이여 안녕
타카다 코이치
(高田耕一)
요시다 타카히코
(吉田隆彦)
타카무라 카오리
(篁 馨)
아베 카즈히코
(阿部和彦)
2004.03.18.
'''미방영'''
제21화
D.O.D -DREAM OR DIE-
후쿠다 미치오
타카시마 다이스케
시타야 토모유키
나카야 마사키
(中矢雅樹)
2004.05.30.
제22화
奪取
탈취
스즈키 이쿠
(鈴木 行)
이시카와 히사카즈
(石川久一)
마스다 쿠니아키
야가미 코이치
제23화
嘘、そして沈黙
거짓, 그리고 침묵
카토 히로토
(加藤洋人)
타치바나 히데키
스기모토 이사오
제24화
君が僕を知ってる
넌 날 알고 있어
후쿠다 미치오
야마나 타카시
(山名隆史)
아키타야 노리아키
아이사카 나오키
야부노 코지
(薮野浩司)
제25화
たいした問題じゃない
그렇게 대단한 문제는 아냐
타카다 코이치
타카시마 다이스케
마루야마 코이치
스기모토 이사오
카토 히로토
제26화
それから
그로부터
마스나리 코지
이시하마 마사시
타치바나 히데키
치바 타카히로
츠즈키 유카코
호소다 나오토
타카하시 유이치
타케우치 테츠야
시타야 토모유키
나카야 마사키
야가미 코이치
마스다 쿠니아키
이지마 케이코
(井嶋けい子)
우메츠 야스오미
테츠라 토시아키
(鉄羅紀明)
야부노 코지
카네코 히라쿠

4. 코믹스


R.O.D -READ OR DIE-
요미코 리드맨을 주인공으로 한다. 4권 완결. 첫 만화책 버젼으로 거의 흑역사 취급.
R.O.D -READ OR DREAM-
종이자매가 주인공. TV판의 외전격 작품이지만 스토리는 역시 크게 다르다. 그냥 보통 일상물 4권 완결.
R.O.D -REHABILITATION-
2013년 발매된 신작. 이쪽은 현 세대를 반영하듯 전자 서적의 발달로 인한 종이 서적의 멸망이라는 배경으로 시작한다고 한다. 이쪽도 요미코라는 여성이 주인공이긴 하지만 이름의 한자와 외모가 다르며 무엇보다도 이 쪽의 요미코는 '''읽은 책을 불태운다'''.

5. 등장인물



5.1. 대영도서관 특수공작부



5.2. 독선사讀仙社


독선사소속 종이술사.
독선사 소속 종이술사 중 최강자로 능력은 상대를 책속에 가둘 수 있는 능력이다. 묘하게 요미코가 호감을 지니고 있는 남성.
독선사 소속 에이전트.
서예에 쓰이는 5가지 물품을 무기로 사용하는 자매들로 나름의 전투력은 있는편. 하지만 자매임에도 불구하고 묘하게 콤비네이션이 좋지않다.
그 이유의 반 이상은 언니들이 거유인 막내를 질투하기 때문...
장녀는 왕염을 사모하고 있다.

5.3. 종이자매



5.4. 일반인(작가?)




5.5. 종이술사



5.6. 작중 특수 용어



5.7. 도달자


  • 젠틀맨[5]
  • 차이나
  • 파우스트

[1] 첨부된 이미지에 쓰여있는 원고의 제목은 '나는 책을 사랑한다'이다.[2] 3화에서는 이펙트도 담당.[3] 작화 문제도 문제지만 입이 꾹 다물어져 있는데 말한다거나, 같은 장면을 재탕한다던가, 전혀 융화되지 않는 3D 장면을 쓴다던가, 말하는 사람 빼고 전부 밀랍인형처럼 굳어있다든가....[4] 세 자매가 힘을 합치면 뭐든지 무찌른다 같은 데우스 마키나 엑스 전개[5] 젠틀맨이나 차이나같은 오래살아 인류에게 적게든 크게든 영향을 준인물들을 도달자라고한다 그리고 파우스트는 차이나에 이은 3번째 도달자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