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io/역할군

 



[clearfix]

1. 개요


Surviv.io이벤트별로 존재하는 역할군들을 정리한 문서.

1.1. 공통


•킬 리더
킬 리더는 킬을 가장 많이 한 플레이어에게 주어지는 역할로, 3킬 이상을 한 경우에만 지정된다. 현재 킬 리더보다 더 많은 킬을 땄을 때는 킬 리더가 새로 지정된다. 킬 리더가 죽으면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은 킬을 가진 사람에게 주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플레이어가 3킬 이상을 딸 때 주어진다.

1.2. 50 VS 50


대다수의 역할군이 이 이벤트에서 나온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
• 지휘관
레드팀 지휘관에게 주어지는 것: 장전된 super 90, 12 게이지 90발, 장전된 플레어건 또는 장전된 Deagle50, 마체테, 지휘관 헬멧, 3렙 조끼, 3렙 가방, 8배율 스코프
블루팀 지휘관에게 주어지는 것: 장전된 AN-94, 7.62mm 300발, 장전된 플레어건 또는 장전된 Deagle50, 쿠크리, 지휘관 헬멧, 3렙 조끼, 3렙 가방, 8배율 스코프
지휘관은 지휘관답게 팀원들을 통솔하자. 우선, 지휘관이 되자마자 바로 플레어건을 쏘고, 해당 위치에 핑을 찍는다[1].
절대로 플레어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쏘지는 않는 트롤이 되지 말자. 이렇게 되면 대다수의 아군이 보급을 기다리고 있으므로 중요한 싸움인 강변 싸움에서 수적으로 불리하고, 그리고 아이템의 질에서도 불리하게 되어 그 판은 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급을 얻으면 팀원들이 좋은 무기와 좋은 장비, 좋은 스코프를 얻어 좋아지는 데다가 이리 저리 돌아다니면서 다굴이를 하기에도 편리하다. 만약 팀원을 모으지 않고 혼자 가면 자신이 다굴이를 당하거나 자신의 팀원들이 따로따로 다니다가 다굴이를 당할 수 있다.
또한 지휘관은 아드레날린이 풀이다. 그러니 소다나 알약을 사용하는 것은 낭비일 뿐이며, 소다, 알약을 발견할 시 아이템 발견 핑을 찍어 팀원들이 가져가게 하자. 소다나 알약을 주워서 의무병에게 나누어 여러 팀원들의 아드레날린이 같이 채워지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부관
부관이 되었을 때 웬만하면 지휘관 쪽으로 가자. 부관답게 지휘관을 도와 팀원 통솔에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 좋다. 부관에게 주어지는 무기는 소음기가 달린 AR로[2], 둘다 좋은 성능을 가졌지만, 개인차가 있겠지만 총기의 성능 자체는 M4A1-S이 좋기 때문에 성능 면에서는 블루팀에게 약간 불리하다. 반대로, 탄약은 7.62mm가 조금 더 흔하기 때문에 탄약 면에서는 레드팀이 약간 불리하다[3]. 부관은 지휘관이 상대를 공격할 때 지휘관 곁에서 상대를 같이 공격하자. 소음기가 달린 무기는 총알이 잘 안 보일 뿐 아니라 소음도 적어서 상대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4]
• 의무병
의무병이 되었을 때 웬만하면 지휘관 쪽으로 가자. 지휘관과 의무병이 같이 있으면 당연스레 팀원들도 그곳으로 몰려든다. 지휘관이 팀원들을 모으고 의무병은 팀원들을 치유해 주면 좋다. 되도록이면 보급쪽으로 가서 아군들에게 알약이나 소다를 통해 아드레날린을 채워주고 초반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자. 거기에 부관까지 합세하면 최강의 스펙을 보여준다.
• 명사수
레드팀 명사수에게 주어지는 것: 장전된 L86A2, 5.56mm 300발, 쿠크리, 명사수 헬멧, 3렙 조끼, 3렙 가방, 8배율 스코프
블루팀 명사수에게 주어지는 것: 장전된 SVD-63, 7.62mm 300발, 쿠크리, 명사수 헬멧, 3렙 조끼, 3렙 가방, 8배율 스코프
• 나팔수
둘 다 2번 총기를 대체하는 나팔이 추가된다. 이 나팔을 불면 근처의 아군이 속도 증가를 받게 된다. 그러고 조금만 기다리면 다시 불 수 있게 된다. 강변 싸움에서 나팔을 불어 우리 아군의 속도를 올려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지휘관 옆에 계속 있어서 근처 아군들의 속도 증가를 주는 것이 좋다. 특별 역할이지만 2번 총기를 잃는다는 단점이 있어 많은 사람이 좋아하지는 않는다.
• 척탄병
척탄병이 되면 mp220을 주고 수류탄 12개와 카타나를 준다. 크게 좋은 점은 없으며 공습을 맞아도 많이 아프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조금 더 피지컬이 좋은 일반 병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 정찰병
정찰병이 되면 몸이 작아지는 퍽과 함께 더블 g18c와 빠루를 준다. 같이 주는 아이템은 그닥 좋은 편은 아니지만 주는 퍽이 좋다.
• 론 서바이버
론 서바이버는 아군에 기절하지 않은 상태인 팀원이 자신을 포함해 2명일 경우 론 서바이버가 된다. 론 서바이버는 PKP Pechneg 또는 M249 중 하나의 총기를 주고 4레벨 헬멧, 4레벨 갑옷, Cast Ironskin과 Splinter Rounds퍽, Windwalk와 Takedown 둘 중 하나를 가진다. 론 서바이버는 실력만 따라준다면 좋은 맷집과 좋은 총기를 바탕으로 상황을 뒤엎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 그러기는 어려운 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아무리 장갑이 좋아도 방심하면 순간 죽기 때문이다.

1.3. 숲의 왕 이벤트


• 숲의 왕
시시가미 노 카부토를 착용한 플레이어에게 주는 역할로, Windwalk와 Gift of the Woods 퍽이 제공된다. 윈드워크는 총알 또는 폭바에 피격당했을 때[5] 4초간 스피드 부스트를 얻게 된다. 기프트 오브 더 우즈는 크기가 커지고, 초당 1피(...)라는 말도 안 되는 회복력을 갖는다. 또한, 이 역할의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를 죽이면 죽은 위치가 공개된다.

1.4. 사바나 이벤트


• 사냥 대상
킬 리더에게 주는 역할로, 모든 플레이어의 지도 상에 킬 리더의 현재 위치가 공개된다. 존버탈 생각은 말것.

1.5. 코발트 이벤트


병과들의 구성이 팀포와 닮았다. 자세한 건 여기를 참고.
• 돌격병
모든총알의 데미지가 일정량으로 증가하는 hollow point퍽과 탄창 용량이 증가하는 firepower퍽을 가지게 된다.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나쁘지 않지만 다른 것에 밀려서 그닥 많이 쓰이는 편은 아니다. 이 직업을 가지고 g18c나 mac10, m1100(장탄수가 증가하고 데미지가 약한 단점을 커버하기 때문에)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게 된다. 직업 상자를 깨면 몇개의 자동소총과 그저 그런 야전삽을 주게 된다.
• 정찰병
몸이 작아지는 small arms퍽과 나무를 뚫을 수 있고 물속에서 속도가 빠른 one in nature퍽을 가지게 된다. 몸이 작아지는 것 빼고는 크게 좋은 것은 없지만 몸이 작아져 상대가 맞추기 까다롭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직업 상자는 가급적으로 안 여는 것이 좋다. 주는 총과 근접무기가 굉장히 안 좋다. 내가 4배 이상을 끼고 얘를 잡으려 하면 엄청 힘들다. 무빙 연습용으로 제격이다.
• 저격수
샷건과 폭발류 계열을 제외한 모든 총기의 첫발과 마지막 발의 데미지를 증가하는 one in the chamber퍽과 상대를 죽이면 붕대 수준의 피 증가, 소다 수준의 아드레날린 증가, 짧은 시간의 속도 증가를 주는 takedown퍽을 주게 된다. one in the chamber는 스나류 빼고는 쓰이는 일이 별로 없고 takedown퍽은 n대1에 유리하고 굉장히 좋은 1티어 퍽이다. 스나류와 궁합이 아주 좋다. 전체적으로도 나쁘지 않은 직업. 직업 상자를 깨면 BLR아니면 모신나강과 4배율 쿠크리를 준다. BLR은 좋은 편은 아니지만[6] 모신나강은 굉장히 좋은 총기이다. 자신이 퀵스위칭을 모른다면 이 직업은 추천하지 않는다.
• 의무병
'''고인물들 기준 제일 최강의 직업중 하나.''' 힐링 아이템을 먹을때 속도 너프가 없는 combat medic, 총알이나 폭발에 맞으면 4초동안 속도가 증가하는 windwalk퍽을 준다. 이 두개의 퍽은 둘다 1티어 퍽이다. 적들이 총을 쏠때 빠른 속도로 다가가 적을 죽이거나[7] 힐을 먹으면서 도망가는 플레이를 보일 수 있다. 이렇게 적을 순삭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보니 고인물들이 치킨을 먹고 싶으면 이것을 고르는 것이 태반이다. 직업 상자를 부수면 대인용으로는 최강의 근접무기인 뼈톱[8]과 함께 dmr을 준다. 근데 대부분 m39가 나온다... 이게 ak보다도 못한 평이 있다. 그래도 이걸 쓸지 말지는 당신이 판단해라.
• 폭탄병
폭탄병은 15초마다 가방 용량만큼 수류탄 용량을 채워주는 fabricate퍽과 폭발류 데미지를 줄여주는 flak jacket퍽을 가지고 있다. 애초에 surviv.io특성상 수류탄을 많이 쓰지도 않고 수류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보통은 수류탄이 자동으로 나오는 퍽을 이용해 벙커 등을 채우는 즐겜 용도로 쓰인다. 그리고 폭탄병을 죽일때 martydron이라는 후에 폭발하는 수류탄 같은게 나온다. 그래서 폭탄병을 죽이고 그 위에서 파밍을 하려다가 죽을 수도 있다. 항상 조심하자. 직업 상자에서는 m870과 카타나, 그리고 2레벨 가방을 꽉 채울 만큼의 mirv를 준다.
• 장갑병(탱커)
'''지금 플레이어중 많은 사람이 고르는 뉴비용이지만 몇몇 고인물들도 고르는 직업.''' 받는 데미지를 50%감소하고 총알을 튕기는 cast ironskin퍽, 총알을 무한으로 만들어주는 endless ammo퍽을 준다. 몸은 거대해서 어차피 무빙을 안하는 뉴비들이 피를 덜깍게 하고 총알 미스가 많이 나는 뉴비들을 위해 무한 총알을 준 뉴비용 직업이다. 자기가 탱크라면 이런 걱정을 안해도 되지만 적이 탱크면 기본 피가 200인 거여서 잡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총알 무한 퍽은 총알이 제한적인 AWM-S또는 M79와 좋은 궁합을 가지게 된다[9]. 그러나 아쉽게도 신호탄은 무한하지 않다... 직업 상자에서는 높은 데미지를 자랑하는 war hammer와 dp-28또는 qbb-97을 준다.

[1] 유리한 곳으로 이동해 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된다면 이동하는데 시간을 쓰기 때문에 초반싸움에 불리해지고 초반에 수가 줄어버려서 지기 쉽다[2] 레드팀은 M4A1-S, 블루팀은 Groza-S[3] 데이터상으로는 7.62mm와 5.56mm의 희귀도가 같지만 7.62mm는 흔한 무기인 OT-38을 발견할 시 20발을 얻을 수 있다.[4] 정확히는 기본으로 얻는 4배율 스코프로 적을 발견하고 잘 보이지 않는 총알을 이용해 3~4방을 먼저 꽂고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싸울 때 유리하다.[5] 자신이 쏜 총알과 자신이 터뜨린 아이템, 물품은 제외.[6] 그렇다고 쓰지 말라는건 아니다. 챔버드 BLR은 생각보다 위협적이다. 또한, 저격 연습이 필요하다면 절대 거르지 말자.[7] 적당히 총알을 맞으며 상대에 몸에 최대한 붙고 신들린 무빙과 함께 뼈톱으로 빠르게 갈겨주면 된다. 주로 뉴비 또는 초보에게 많이 쓴다.[8] '''어쩌면 워 해머보다 좋을 수도...?'''[9] 이 때문에 몇몇 고인물들은 이 직업을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