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dycraft
와일디 크래프트 공식 위키
1. 개요
마인크래프트의 모드다.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1] 하지만 한국에서만 인지도가 별로 없지, 외국에서는 활발한 편.
1.7.10 버전으로 모드를 실행하면 충돌하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에 관한 해결문제는 아래에 후술.
2. 차원
와일디 크래프트 차원을 가는 방법은 네더를 가는 방법과 유사한데
Dense Cobblestone이라는 블럭을 네더 포탈 모형으로 설치하고 Portal Activator이라는 아이템을 마치 네더 포탈에 라이터로 불을
붙이듯이 포탈 모형에 우클릭을 하면 포탈이 완성된다
포탈
[image]
Dense cobblestone 조합법
[image]
Portal Activator 조합법
[image]
참고로 평지에서 와일디 차원으로 이동하면 조금 변형되있는 평지로 이동되기에 주의
2.1. 바이옴
사막
Desert wolf 같은 몹들이 나오는 바이옴이다, 특별히 주의해야할것은 없다.
등장 몹
Desert Wolf
scorpion
Ugthanki camel
scarab swarm
Desert lizard
Mummy
3. 아이템
Wildycraft/아이템 참조
4. 몹
와일디크래프트의 몹들이다. 몹들의 공격력은 Custom NPCs의 커스텀 몹으로 측정했고[2] 체력은 대미지 인디케이터 모드를 사용했다.
5. 몹의 난이도
5.1. 쉬운 난이도
다이아몬드 세트로 잡을수는 있을것이다, '''당신이 컨트롤이 좋다면 말이다.'''
그레이터 데몬 다음으로 약한 악마다, 그만큼 자주 등장한다.
공략법은 그레이터 데몬, 블랙 데몬과 똑같다.
유일하게 이 모드에서 가장 정상적인 스텟을 가지고 있는 몬스터다.
공략방법은 그냥 좀비를 때리듯이 때리면 된다.
체력은 낮지만 공격력은 높다, 다이아세트라면 꽤나 조심해야할 상대
하지만 거의 개미 돌아다니듯이 돌아다녀서 이 녀석들에게서 피할려면 그냥 다른 지형으로 가는 수 밖에 없다. (참고로 오버월드 지형이 아닌 와일디 차원 지형을 말하는거다.)
위에 서술한 데저트 울프보다 더 강한 상대이다, 다이아세트로 잡을수는 있지만 '''본인 무빙이 따라줘야한다는거'''
웬만하면 강한 무기, 좋은 방어구로 상대하는게 좋을것이다.
Orespawn 모드의 scorpion과 이름이 겹치기에 wildy scorpion이라고 서술했다.
아주 약한 몹이다, 그냥 공략법도 필요없다.
'''좀비급 몬스터'''라서 적당히 칼로 때려주면 된다, 근데 독을 걸어서 좀 성가시긴 하다.
이 몹은 인간형과 늑대형이 존재하는데 인간형을 한대 때리면 늑대형으로 변신한다.[3] 인간형만 보고 만만한 몹으로 알고 다이아셋으로 때린다면 당신은 아마 늑대형한테 소리소문없이 죽을 것이다. 웨어울프는 충분한 장비가 돼야 잡을수 있는 몹이다, 다이아셋으로 잡을 생각은 하지말자.
5.2. 어려운 난이도
일단 이 몹은 절대 다이아셋으로 잡는게 불가능하다. 크릴 추사로스 검을 가지고 있으면 아마 순삭 가능할거다. 이 몹은 절대 다른 평범한 잡몹이 아니다, 화살도 뭉터기로 날려서 대미지가 상당하다. 이 몹의 공략법을 화살을 피하는 걸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것 같은데 화살은 '''피할수 없다.'''[4] 화살을 피할 생각은 하지말고 그냥 좋은 방어구와 좋은 무기로 머리를 따면된다.
데몬 몹들중에 최강이다, 일단 이 친구랑 근접전 할 생각은 하지도 말자.
다크 아처처럼 못 피하는것도 아니니 원거리로 적당히 때리면서 피를 깎으면 된다.
만약 근접전을 할 생각이라면 다이아세트는 버리는게 좋을것이다.
하지만 무빙으로 블랙 데몬의 공격을 피할수도 있으니 무빙이 좋으면 근접전을 하는것도 추천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해보는것도 좋다.
위에 있는 블랙 데몬 바로 아래의 몹이다, 서열로 치면 서열 2위정도 된다.
일단 다이아셋으로 잡는건 가능할것이다.
순삭을 내고 싶으면 좋은 방어구와 좋은 무기를 맞추고 가는게 가장 좋을것이다.
공략법은 블랙 데몬과 똑같다.
최종보스가 소환하는 몹인 만큼 체력, 공격력 빠짐없이 강력하다.
공략법은 에어 스테프로 잡는것이다.
이 놈도 다이아셋으로 잡기는 불가능이다.
데가노스 마더와 함깨 몰려오면 증말로 빡치는 몹이다.
대미지도 높고 체력도 높아서 굉장히 귀찮고 까다로운 몹이다.
공략법은 원거리로 머리를 따주면 된다.
6. 보스의 난이도
보스의 난이도다, 이 벨런스가 미쳐버린 모드에도 쉬운 난이도를 가진 보스는 있다.
보스 구분은 체력바가 있느냐 없느냐로 구분했다. 또는 보스 능력치를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로 구분했다.
6.1. 쉬운 난이도
참고로 쉬운 난이도도 다이아셋으로는 잡기 어렵다.
그리고 쉬운 보스는 '''어려운 몹보다 더 어렵다.'''
일단 회복력, 말이 필요 없다 몇초인지도 새기 힘든 속도로 1피씩 회복하며 이 녀석의 회복속도를 보면 입을 다물지 못할것이다.[5]
그리고 공격도 다양하다.
불, 공기, 땅, 기타 등등 여러가지 공격으로 상대방을 빡돌게 한다.
이 친구를 잡을려면 공격력 강한 무기는 필수다.
그리고 이 친구 칼도 사용해서 근접전 유리하다, 원거리전 유리하다 그런 거 없다
그니깐 한마디로 '''엄청난 보스다.'''
멕시드 플레이어는 스테프 별로 대미지가 나누어져있다.
파이어 스테프 : 70 + 불
어스 스테프 : 70 + 폭팔
에어 스테프 : 65 + 띄우기
아이스 스테프 : 66 + 속박
칼 : 114
활 : 95
스텟이나 설명만으로 강함을 예상하기가 어렵다면, '''맥시드 플레이어가 옆동네의 모비드 하비스터와 호각지세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지도...'''
위에 있는 맥시드 플레이어에 비하면 쉬운 난이도지만 그래도 주의는 해야한다.
일단 대미지도 무시는 못하며 체력도 높은 편이다. '''확실한건 강하긴 강하다.'''
공략법은 약한 버전이랑 똑같다.
이 녀석은 거의 보스급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 그 이유는 엄청난 공격력 때문이다.
체력은 그럭저럭 하지만 196이라는 엄청난 공격력은 다이아셋을 그야말로 그냥 쓸모없는 방어구로 만들어준다.
이 친구랑 근접전? 절대 안되는 말이다. 해도 원거리를 추천한다
하지만 이런 막대한 공격력을 가진 녀석도 크릴 추사로스 앞에서는 상대가 안된다.
6.2. 어려운 난이도
이 모드에서 가장 강력한 보스중 한놈이다.
일단 이 보스는 근접전은 피하는게 좋다, 일반 공격은 400대미지를 넘게 줄수 있으며 광역딜도 무시해서는 안된다.
멀리 떨어져서 활로 싸우면 별로 어렵지 않은 보스, 하지만 그라도어도 빠른 속도로 달려오기 때문에 거리를 벌리면서
싸우는게 좋을것이다.
자신의 장비가 좋은 장비라면 근접전도 도전은 가능하다.
이 등급 몹들은 드래곤 방어구는 필수다.
이 모드에서 가장 강력한 보스중 한놈이다.
일단 이 녀석이랑 근접전? 절대 안된다.
아무리 자기가 방어구가 좋아도 근접전을 절대 추천할수 없다.
그리고 무조건 원거리전으로 상대를 해야하는 이유가 크릴 추사로스는 속도가 느리다.
그리고 제네럴보다 공격력이 낮지만 공격 속도가 좀 빨라서 어떻게 보면 제네럴보다 강한 보스다.
크릴 추사로스는 불 퍼트리기 스킬도 있다고 공식 위키에 서술되어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스킬을 쓰지를 않아서 제외했다.
참고로 이 몹은 슈퍼 포이즌이라는 효과를 거는데 일반 독과는 다르게 이 독은
'''사람을 죽일수 있다'''
진짜 왠만하면 원거리전을 추천한다.
일단 이 놈은 대미지 10000이 들어가든 100000이 들어가든 무조건 고정대미지 1로 받아쳐버린다.
그렇기에 이 녀석을 잡을려면 '''1000대를 때려야한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처음 녀석의 척추는 아마 하얀색일 것이다, 그렇다
룬 얻어서 제작한 스테프를 여기에다 쓰는것이다 녀석의 척추는 색이 변한다.
그 색에 맞는 스테프를 써서 데가노스 마더의 목을 따버리면 된다.
하얀색 : 에어 스테프
빨간색 : 파이어 스테프
파란색 : 아이스 스테프
주황색 : 근접 공격
초록색 : 원거리 공격
갈색 : 어스 스테프
한마디로 그냥 스테프 없으면 잡지말라는 거다.
근데 스테프가 없어도 희망은 있는데, 주황색과 초록색이 나오면 정상적인 무기로도 정상적인 대미지를
입힐수 있는 것이다, '''근데 문제는 그게 언제 나오냐는거다.'''
그리고 이런 데가노스 마더의 공략방법을 다 쓸모없게 만들어버리는 무기가 있는데 발뭉이라고 하는 도끼무기다.
이 무기는 데가노스 마더를 잡으면 나오는 무기인데 데가노스 마더의 특성을 다 무시하고 대미지를 줘버리는 그냥
데가노스 마더 전용무기다, 근데 문제는 이 무기는 데가노스 마더를 최소 1번 이상은 잡아야 얻을수 있다는....
확실하게 말할수 있는건 그냥 잡지 않는게 정신건강에 좋다.
7. 최종보스
최종보스를 설명하는 문단이다, 최종보스인 만큼 총 4페이즈가 존재한다.
7.1. 1페이즈
인어더퀸시의 1페이즈 모습이다, 이 상태에서는 별 다른 특징이 없다.
어 다웃을 지속적으로 소환하며 멀리 떨어지면 원거리 공격을, 가까이 있으면 근거리 공격을 하는게 전부다.
워낙 이 다음 페이지가 빡치는 페이지이기에 사실상 쉬운 페이즈다, 하지만 그렇다고 녀석의 공격력을
무시할수는 없기에 무빙을 치면서 스테프, 또는 활로 싸우는것을 추천한다.
7.2. 2페이즈
더 인어더퀸시의 2페이즈다, 인어더퀸시 1페이즈를 죽일경우 툭 튀어나오며 플레이어에게 달려든다.
에버레스팅이 나올때 문장이 뜨는데 how long can you lost라고 한다.
이 보스가 왜 어려운 보스냐면 이 보스를 3분만에 클리어 하지 못하면 보스는 '''모든 체력을 회복한다.'''
한 마디로 자기의 방어구나 무기가 따라주지 않는다면 이 보스는 영원히 깰수 없는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2페이즈에서 막힐것이다.
7.3. 3페이즈
wildycraft의 보스들중에서 가장 강하다.[6] '''근데 최종보스 3페이즈다.'''
바로 그 전 단계인 에버레스팅을 처치하면 튀어나오는 녀석이다, 튀어 나오면서 이런 매세지를 출력시키는데
can you overcome the challenge?...이라는 매세지가 출력된다.
일단 이 친구랑 근접전은 절대 안된다, 250이라는 엄청난 딜을 연속으로 넣어버리기때문에...
그리고 저 3500이라는 거대한 체력을 순삭시킨다는것은 말이 안된다.
장담하는데 인어더퀸시의 페이즈 몹들중에서 가장 강할것이다.
공략법은 스테프나 활로 목을 따주면 되는건데 방어력도 '''엄청 높아서''' 노가다를 해야할것이다.
뭐 이 다음 페이즈 몹이 호구이기 때문에 이 페이즈 까지만 고생하면 된다.
그니깐 한마디로 이 몹은 '''가장 강하면서도 가장 까다로운 보스다.'''
7.4. 4페이즈
최종보스의 마지막 페이즈다, 언터쳐블을 처치하면 툭 튀어나오는 몹이다. 매세지도 같이 출력된다, 그 내용은
can you finish the fight?...이다
원거리 공격을 사용하며[7] 공격력도 다른 몹들에 비해서는
그렇게 높지 않다, 그리고 그냥 순간이동만 재끼면서 공격만 하는 말그대로 호구라서 좀 때려주면
'''마지막 페이즈가 허무하게 끝난다.'''
이 녀석을 죽이면 인어더퀸시의 조각상을 얻을수 있을것이다.
황혼의 숲 트로피랑 함께 전시해놓자.
8. 실행 충돌
기본적으로 모드의 .jar 파일을 mods파일에다 넣고 실행하면 실행이 실패하며 충돌현상이 번번하게 일어나는 골때리는 버그를 갖고 있다. '''이는 절대로 포지나 런처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엔티티의 값을 파일이 잘못 측정해서 일어나는 버그인데, 게임을 제대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여담으로 이 버그를 해결하여도 오어스폰 모드와는 절대로 통합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같이 설치하여 실행하는 순간 바로 튕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