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r.io

 

'''Florr.io'''
'''장르'''
웹 게임
'''플랫폼'''

'''플레이'''
시작하기
'''오픈'''
2020년 1월 19일
1. 개요
2. 게임 정보
3. 속성
4. 게임 모드
5. 페탈
6. 지역
7. 몹 목록
8. 피해 메커니즘
9. 레벨
10. 업데이트 로그
11. 여담

[clearfix]

1. 개요


꽃을 조종하여 몹을 처치하며 상대와 싸우고 성장하는 멀티형 웹 게임.
몹을 처치하거나 상대 꽃을 죽이거나 아이템을 버려서 경험치를 얻고, 경험치를 통해 레벨업을 해 꽃을 레벨업 할 수 있으며, 15레벨, 30레벨, 45레벨에서 페탈 슬롯이 하나씩 추가된다. 접속할 시 닉네임을 묻는 창[1]과 함께 Enter 키로 시작할 수 있다는 멘트가 반겨줄 것이다. Diep.io의 제작자들이라 그런지 스타트가 비슷한 듯.


2. 게임 정보


조작법
키보드
이동
<colbgcolor=white> 마우스 (,WASD, 방향키)[2]
공격[3]
좌클릭
방어[4]
우클릭
페탈 선택
Q, E
페탈 교체
1~5(8)[5]
[1] 원문은 'This pretty little flower is called...'이다. 대략 해석하면 이 예쁜 꽃은 ~라고 불린다.[2] 설정으로 들어가 'Keyboard movement'을 키면 된다.[3] 페탈이 더 먼 거리에서 회전한다.[4] 페탈이 플레이어와 밀착하여 회전한다.[5] 레벨 45가 되면 페탈 슬롯이 8칸으로 늘어난다.
닉네임을 적고[6] 시작하면 기본 페탈 5개와 함께 Easy(쉬움) 지역에서 스폰된다.
페탈로 맵 전체에 뿌려져 있는 몹과 상대를 공격할 수 있으며, 없애면 경험치를 준다. 경험치가 일정량 쌓이면 레벨업을 한다. 레벨 15, 30, 45이 될 때마다 페탈 슬롯이 하나 더 생긴다.
Diep.io와는 달리 45레벨을 넘어설 수 있다.[7]
모든 물체는 체력(Max Health)과 몸체 피해량(Body Damage)을 가지고 있다.[8] 자신이 공격을 당하면 HP가 감소하며 자신의 꽃 밑에 '현재 체력'이 나타나며, HP가 다 채워져있을 때에는 감춰진다.
화면 밑에는 자신의 현재 페탈 세트, 보유하고 있는 페탈, 페탈을 삭제할 수 있는 칸[9]과 마우스를 갖다 대면 움직임을 멈추게 하는 영역이 표시된다.
좌측 하단에 자신의 레벨과 이름, 우측 상단에는 현재 플레이어 수와 1~10위까지 점수순으로 점수판(Leaderboard)이 표시되어 있으며, 킬 수에 상관없이 점수만 획득해도 점수판에 표시가 가능해서 한 명도 죽이지 않고 1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하단에 맵과 자신의 위치가 표시된다.[10]
죽으면 자신을 죽인 플레이어의 시점으로 고정되며, 그 사람의 닉네임과 죽기 전 자신의 레벨, 점수를 화면 상에 띄운다. 그 뒤 엔터를 누르면 경험치와 페탈이 일정량 깎인 채로 리스폰된다[11]

3. 속성


속성이 서로 다른 물체끼리 충돌하면 서로 체력이 깎인다. 무속성은 예외인 경우가 많다. 속성이 같더라도 꽃끼리 충돌하면 넉백을 받는다. 이를 이용하여 팀킬도 가능하다.
  • 무속성 1
모든 플레이어 꽃이 가지게 되는 속성으로, 완전히 독립적인 속성이라서 이 속성을 가진 꽃은 자신의 페탈과 중립 몹을 제외하면 모든 물체와 적대적 관계이다.
  • 무속성 2
맵 테두리에 위치하는 반투명한 검정색 공간에 해당하는 속성이다. Diep.io와는 달리 검정색 공간 테두리를 넘어가지 못한다. 참고로 이 검정색 공간의 크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2]
  • 무속성 3(배경)
바둑판 모양의 배경. 그냥 배경 역할 외의 아무 효과 없다.[13]
  • 중립
중립 몹들이 해당한다. 무속성 1과 비슷하지만, 자신과 동일한 유형의 개체에는 대미지를 입히지 않는다.
  • 적대적
플레이어가 다가가면 공격하는 적대적 몹들이 해당한다.

4. 게임 모드


출시된지 얼마 안 된 게임이라서 그런지 모드가 FFA(개인전)밖에 없다.
2020년 10월 29일 기준 접속해보면 BATTLEROYALE 모드로 플레이된다. 그리고 이후 다시 FFA모드로 바뀌었다. 개발자가 개발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어서 그런지 다양한 모드를 시도해 보고 있다.

5. 페탈


자세한 것은 Florr.io/페탈 목록에서 확인.
2020년 2월 11일에 시작 화면에 페탈 갤러리가 생겼다.
아래는 페탈 종류.
[image]

6. 지역


지역은 경계가 분명하며, 전체 맵을 기준으로 Easy(쉬움), Medium(중간), Hard(어려움), ?(Unknown)[14] 영역이 있다.
영역을 나눈 이유는 전작 Diep.io에서 자주 대두된 '''양학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초보와 고수들이 모두 동등하게 성장하고 경쟁할 수 있어 호평을 받는 시스템이다.
  • Easy(쉬움)
게임을 시작하면 스폰되는 지역으로, 녹색 배경을 갖고 있으며 맵의 가장 왼쪽에 위치해있다.
이 영역에서는 무당벌레, 꿀벌, 지네등 주로 중립 몹이 생성되며, 주로 여기서 Medium(중간) 지역으로 가기 전에 레벨업을 한다.
1레벨부터 14레벨까지 이 지역에서 공격을 할 수 있으며, 만약 15레벨이 됐을 경우 타이머가 나타나는데, 타이머가 끝나기 전 까지는 공격을 할 수 있지만 타이머가 끝나면 Medium(중간) 지역으로 이동해야 공격을 할 수 있다.
  • Medium(중간)
Easy(쉬움) 지역의 오른쪽에 위치해있으며, 노란색 배경을 갖고 있다.
1레벨부터 29레벨까지만의 플레이어가 여기서 공격을 할 수 있다. 만약 그러지 않을 경우 타이머가 나타나고 그 타이머가 끝나면 페탈이 그 지역에서 나가기[15] 전 까지는 사라진다.
여기서부터 보라색 지네나 딱정벌레, 독벌레[16]등 적대적 몹들이 출현하는데, 몹을 사냥하다가 죽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Hard(어려움)
Medium(중간) 지역의 오른쪽에 위치해있으며, 빨간색 배경을 갖고 있다.
1레벨부터 44레벨까지만의 플레이어가 여기서 공격을 할 수 있다.[17]
모든 몹들이 나타난다.
본격적으로 어려워지게 되며, 몹들의 반 정도가 적대적이다.
  • ?(Unknown)
Hard(어려움) 지역의 오른쪽에 위치해있으며[18], 회색 배경을 갖고 있다.
레벨에 상관없이 플레이어가 여기서 공격을 할 수 있다. 저레벨이 갈 수 있지만 대부분 얼마 못가 죽는다.
다른 지역들의 30% 사이즈이고[19] 약 70%정도의 몹이 적대적이다.
최소 10마리의 말벌은 달라붙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7. 몹 목록


자세한 것은 Florr.io/몹 목록에서 확인.

8. 피해 메커니즘



9. 레벨


레벨은 제한이 없는 걸로 추정되며, 레벨이 오르면 공격을 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된다.[20][21]
'''레벨 업에 필요한 경험치(누적)'''
레벨
경험치
레벨
경험치
레벨
경험치
LV 1
0 Exp
LV 21
507 Exp
LV 41
4379 Exp
LV 2
4 Exp
LV 22
577 Exp
LV 42
4803 Exp
LV 3
9 Exp
LV 23
654 Exp
LV 43
5263 Exp
LV 4
15 Exp
LV 24
739 Exp
LV 44
5762 Exp
LV 5
22 Exp
LV 25
833 Exp
LV 45
6304 Exp
LV 6
31 Exp
LV 26
937 Exp
LV 46
6891 Exp
LV 7
42 Exp
LV 27
1051 Exp
LV 47
7527 Exp
LV 8
54 Exp
LV 28
1176 Exp
LV 48
8215 Exp
LV 9
69 Exp
LV 29
1314 Exp
LV 49
8960 Exp
LV 10
86 Exp
LV 30
1465 Exp
LV 50
9766 Exp
LV 11
105 Exp
LV 31
1630 Exp
LV 51
10637 Exp
LV 12
127 Exp
LV 32
1811 Exp
LV 52
11579 Exp
LV 13
152 Exp
LV 33
2008 Exp
LV 53
12597 Exp
LV 14
181 Exp
LV 34
2223 Exp
LV 54
13696 Exp
LV 15
213 Exp
LV 35
2458 Exp
LV 55
14883 Exp
LV 16
249 Exp
LV 36
2714 Exp
LV 56
16165 Exp
LV 17
290 Exp
LV 37
2993 Exp
LV 57
17548 Exp
LV 18
336 Exp
LV 38
3297 Exp
LV 58
19040 Exp
LV 19
387 Exp
LV 39
3628 Exp
LV 59
20649 Exp
LV 20
444 Exp
LV 40
3988 Exp
LV 60
22384 Exp
[6] 한글은 불가능하며 영문, 숫자 13자 닉네임을 안 적으면 사망 시 'Unnamed Flower'(이름이 없는 꽃)로 표시된다.[7] '''Diep.io와는 비교도 안되게 45레벨 찍기가 힘들다!''' 레벨업이 더 힘들고 사람들이 건드리지 않아도 말벌 등 인공지능이 건드니...[8] 부딪힐 시 부딪힌 물체에게 주는 피해량이다.[9] 페탈을 삭제하면 경험치를 얻는다.[10] 자신의 위치는 맵에서의 좌우만 표시되며, 위아래는 알 수 없다.[11] 초창기에는 죽으면 경험치가 '''모두 없어졌다!''' 다만 2월 27일 패치로 수정되었다.[12] 아마 플레이어가 보지 못할 정도로 매우 밖에 끝이 있거나 무한으로 추정.[13] 1칸은 꽃 하나의 지름이다.[14] 인게임에서는 그냥 ?라고 표기한다.[15] 당연히 이전 단계 맵에서도 공격이 안 된다.[16] 실제로 독을 쏘지는 않지만 확률적으로 떨구는 아이템이 독 페탈이다.[17] 이것도 역시 타이머가 있다.[18] 맵의 오른쪽 끝[19] 2월 21일 패치 전에는 사이즈가 다른 지역들과 같았고, 이름도 ?가 아닌 ???였다.[20] 상술한 '지역' 참고.[21] 레벨이 올라가면 기본적인 체력이 높아진다.

10. 업데이트 로그


업데이트 날짜는 Florr.io 공식 업데이트 로그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2월 1일 전 업데이트 내역은 이용할 수 없어 Florr.io 팬덤을 참고하였다.)
  • 2020년 1월 19일
    • 게임 출시
  • 2020년 1월 20일
    • Hornet(말벌) 몹 너프.
    • Hornet(말벌)이 Missile(미사일 페탈)을 드롭한다.
  • 2020년 1월 21일
    • 시작 화면이 더 깔끔해짐.
    • 플레이어가 죽으면 페탈을 최대 3개까지 드롭한다.
    • 제작진이 까먹은 기타 몇몇개
  • 2020년 1월 22일
    • Q, E, 숫자 키를 통해 인벤토리 수정 가능.
    • 가끔씩 물리 엔진이 흔들거리는 것 수정.
  • 2020년 1월 23일
    • 플레이어가 더이상 조그만 맵 테두리 밖의 공간(어두운 부분)을 갈 수 없음.
    • 미사일 쿨타임 증가.
    • 페탈을 삭제하면 경험치를 줌.
  • 2020년 1월 25일
    • Centipede(지네) 추가.
    • Peas(콩알) 페탈 추가. (지네한테서 드롭)
  • 2020년 1월 26일
    • 죽음 화면 추가.
  • 2020년 2월 1일
    • 맵 배경 교체
    • 저레벨 꽃의 이동속도 소폭 감소.
    • Medium(중간) 지역에 선인장 추가.
    • Massive Beetle (거대 딱정벌레) 추가.
    • massive Centipede (거대 지네) 추가.
    • Iris(아이리스) 페탈 버프.
    • Peas(콩알) 페탈 버프.
    • Rose(장미) 페탈 너프.
  • 2020년 2월 3일
    • Ants(개미) 몹 추가.
    • 밸런스 패치.
  • 2020년 2월 6일
    • 페탈 갤러리 추가.
    • 신비함을 위해 새로운 페탈을 예고할 때 이름을 언급하지 않음.
    • Cactus(선인장) 페탈 추가.
  • 2020년 2월 7일
    • 잠금해제하지 않은 페탈은 더이상 시작 화면에 나타나지 않음.
    • 마우스를 쉽게 찾을 수 있게 이동 화살표 추가(설정을 통해 킬 수 있음).
    • Faster(더 빠르게) 페탈 추가.
  • 2020년 2월 8일
    • 3개의 새로운 페탈 추가.(Twin(트윈), Rose(Epic)(로즈(에픽)), Triplet(트리플렛))
  • 2020년 2월 9일
    • Bubble(버블) 페탈 추가.
  • 2020년 2월 10일
    • Pollen(꽃가루) 페탈 추가.
  • 2020년 2월 11일
    • Dandelion(민들레) 페탈 추가.
    • Cactus(Epic)(선인장(에픽)) 페탈 추가.
    • 몹 갤러리 추가. 사진은 없지만 후에 추가 될 수도있음.
    • 두 저레벨 플레이어 간의 몸체 피해량 감소. (초보자들이 서로 쫓아다니는 걸 방지하기 위함)
  • 2020년 2월 13일
    • 몹 갤러리 개선.
    • 업데이트 로그 UI 개선.
    • 디스코드 버튼 추가.
    • 레딧 버튼 곧 추가.
  • 2020년 2월 14일
    • Egg(알) 페탈 추가.
  • 2020년 2월 15일
    • 키보드 조종 추가(설정에서 'Keyboard Controls'를 통해 킬 수 있음).
  • 2020년 2월 16일
    • 페탈 드롭률이 자동생성됨.(이를 통해 더 공평한 페탈 배분이 가능할 것.(예를 들어, 모든 에픽 페탈은 희귀도가 똑같음.))
    • 몹들이 죽을 때 하나 이상의 페탈을 드롭할 수 있음.
  • 2020년 2월 17일
    • Ladybug(무당벌레) 변종을 ???에 추가.
    • 며칠 전에 Hornet(말벌)이 갑자기 흔해진 버그 수정.
    • Rose(Rare)(장미(레어)) 페탈 추가.
  • 2020년 2월 18일
    • Rare Rose(로즈(레어)) 너프(힐량 30% 감소).
    • Dandelion(민들레) 등급 Rare(레어)로 변경.(더 자주 드롭)
  • 2020년 2월 19일
    • Legend(전설) 페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수정. Square(네모)를 독립적인 카테고리로 분리.
    • Rare Rose(장미(레어))가 서로 붙음.
    • Antennae(안테나) 페탈 추가.
    • 맵 공간 변경 (총 넓이는 같고 가로 길이 증가).
    • 레벨에 상관없이 모든 플레이어의 이동 속도 동일. 몹이 따라오는 속도 조정.
  • 2020년 2월 20일
    • Spider(거미) 몹 추가.
    • 3개의 새로운 페탈 추가.(Heaviest(가장 무거움), Stinger(스팅어), Yin Yang(음양))
  • 2020년 2월 21일
    • Unknown 지역[22] 넓이 감소.
    • 다른 모든 지역은 넓이 변화 없음.
  • 2020년 2월 23일
    • Web(거미줄) 페탈 추가.
  • 2020년 2월 24일 (첫번째와 두번째)
    • Hornet(말벌) AI 하향. 소수의 말벌만이 똑똑하게 행동함.
    • Web(거미줄) 속도 디버프 증가.
    • Hornet(말벌) AI 상향. 더이상 무리지어 다니지 않음.
    • Hornet(말벌) Missile(미사일) 대미지 너프.
  • 2020년 2월 25일
    • Web(Legendary)(거미줄(전설)) 페탈 추가.
    • Web(거미줄)이 몹들에게도 효과 적용.
  • 2016년 2월 27일
    • 꽃 체력 변경(100~200에서 100~150 (레벨 1~45))
    • 더 희귀한 드롭일수록 디스폰하는 시간 소폭 증가.
    • Egg(Legendary)(알(전설)) 부화 시간 증가.
    • 죽고 다시 스폰할 때 죽기 전 레벨의 반과 갖고 있던 몇몇 아이템을 소지한다.
  • 2020년 3월 3일
    • 죽고 다시 스폰할 때 갖고 있던 아이템 중 최대 10개의 아이템을 소지한다.
    • 죽고 다시 스폰할 때 죽기 전 레벨의 반이 아닌 3/4으로 스폰한다.
  • 2020년 3월 4일
    • Honey(꿀) 페탈 추가.
  • 2020년 3월 5일
    • Honey(꿀) 페탈에 소폭 이동 속도 감소 효과 추가.
  • 2020년 5월 14일
    • Leaf(잎) 페탈 추가.

11. 여담


  • 익숙한 폰트와 UI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발자는 Agar.ioDiep.io를 만든 Matheus Valadares 라는 브라질 사람이다.
  • 웬만한 게임들처럼 누군가에게 죽으면 그 사람의 이름과 시야를 볼 수 있는 킬캠 기능이 있다.
  • 이름이 없는 꽃에게 죽으면, "Unnamed Flower"라는 이름이 표기된다.
  • 현재 1년 넘게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는 Diep.io에 가보면 제작자가 만든 새로운 게임인 Florr.io를 소개하는 내용이 있다. 아마 추후 업데이트는 없을 듯.
  • 플레이어들의 닉네임 중 Flowey가 간간히 보인다. 캐릭터가 비슷하게 생겨서인 듯.

[22] ?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