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조네스(유희왕)

 

유희왕/OCG의 카드군.
한국판 명칭
'''아마조네스'''
일본판 명칭
'''アマゾネス'''
영어판 명칭
'''Amazoness'''
속성

종족
전사족, 야수족
1. 개요
2. 상세
3.1. 금제
4. 효과 몬스터
4.4. 아마조네스의 격투전사
4.5. 아마조네스의 취관병
4.6. 아마조네스의 성전사
4.7.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
4.8. 아마조네스의 현자
4.9. 아마조네스 훈련생
4.10. 아마조네스 여왕
4.11. 아마조네스 스카우트
4.12. 아마조네스 프린세스
4.13. 아마조네스의 애완아기호랑이
4.14. 아마조네스의 척후
5. 융합 몬스터
5.1. 아마조네스 임프레스
5.2.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
6. 마법 카드
6.1. 아마조네스의 주술사
6.2. 아마조네스의 투지
6.3. 아마조네스의 보물
6.4. 아마조네스의 마을
6.5. 아마조네스 콜
7. 함정 카드
7.1. 아마조네스의 궁수대
7.2. 아마조네스 전생술
7.3. 아마조네스의 의지
7.4. 아마조네스의 급습
8. 관련 함정 카드
8.1. 구출극
8.2. 여왕의 선택
9. 미 OCG화 카드
9.1. 일반 마법
9.1.1. 아마조네스의 공수사
9.1.2. 아마조네스의 매료
9.2. 지속 마법
9.2.1. 아마조네스의 마경
9.3. 속공 마법
9.3.1. 아마조네스의 조련사
9.4. 필드 마법
9.4.1. 아마조네스의 사투장
9.5. 일반 함정
9.5.1. 아마조네스의 대역
9.6. 지속 함정
9.6.1. 아마조네스의 비탕
9.6.2. 아마조네스 알현실
9.6.3. 아마조네스의 주경


1. 개요


원작 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부터 쿠자크 마이가 사용하며 처음 등장한 카드군. 이후 유희왕 GX에서 타니아, 유희왕 ARC-V에서 타일러 자매 등을 통해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꾸준히 출현 중이다. 특히 초대 사용자인 쿠자크 마이가 배틀 시티 본선에서 사슬전사로 '''라의 익신룡'''을 빼앗아 와 사용한 것이 팬들에게 인상적으로 남게 되었고, 다른 애니 테마들처럼 이후에 지원을 받았다.

2. 상세


히로인 카드군답게 전원이 여성캐릭터인 카드군. 컨셉은 아마존의 여전사로 추정된다.
애니 방영 당시에도 성능이 좋다고는 할 수 없었고[1], 등장 당시에는 카드파괴, 번, 패털이, 전개, 전투내성 등 대체적으로 효과 컨셉이 따로 노는 편이었던데다가, 이후로도 계속 서포트 카드가 등장하지 않으면서 서서히 나락으로 빠져들었다. 그러다 갑자기 듀얼리스트 레볼루션에서 추가 카드가 대량으로 등장했다.
추가된 서포트 카드는 그 당시 실전레벨도 가능했다. 게다가 땅속성/전사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얼마 안되는 황야의 여전사로 리쿠르트가 가능[2]한 종족인지라, 애완 호랑이를 버리면 아마조네스 만으로 속성과 종족을 모두 일치시킬수 있는 대단한 일치감을 지녔다. 심지어 현자라는 마법사 스러운 카드도 전사족이라는 아이러니.
이런지라 관련 속성과 종족으로 덱을 짜면 서포트 카드의 구성 난이도도 한결 낮아지는데다가 효과도 보기 쉬워지기에 하급 몬스터들 공격력이 2000은 가뿐히 넘어간다. 가이아 파워, 일족의 결속, 강자의 고통, 연합군 등등… 그 외에도 전사의 생환이나 증원등 서포트 카드 또한 풍부하고, 덱의 특성상 엑스트라 덱은 쓰는 게 거의 없다. 때문에 범용적인 몬스터를 주로 채용하게 된다.
일단 싱크로 소환을 병용할 경우엔 전사족에 땅속성인 튜너만 해도 X-세이버 파시울이나 주테 나이트, 어택 게이너 등 훌륭한 튜너가 많고, 싱크로 몬스터도 불퇴의 황무자X-세이버 웨인, 고요우 가디언등 쓸만한 게 많다. 속성을 따지지 않는다면 쓸 카드는 더더욱 많아진다.
대부분의 하급이 레벨 4라서 엑시즈 소환도 쉽다. 당장 No.39 유토피아도 전사족이라 덱에 넣기에 충분. 그 외 No.10 일루미 나이트포톤 버터플라이 어쌔신 등도 전사족 랭크 4 몬스터라서 사용하기 쉽다. 다만 아마조네스 자체의 전개력은 옛날 카드군이라 형편없기에 고블린드버그의 보조는 반 필수. 이후 3레벨 지원카드가 풀렸기에 선봉 대장등을 곁들여 3랭크 엑시즈도 수월하게 가능해 졌다.
유저들에게 한참 잊혀져 갈 때쯤, 뜬금없이 유희왕 ARC-V에서 아카데미아타일러 자매가 새로운 아마조네스를 들고 나왔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즉각 OCG화되지 않았던지라 다시금 잊혀지고 있었는데 2017년 3월경에 아마조네스 임프레스가 추가되기 시작하면서 관련 카드들이 OCG화될 가능성이 열렸다. 그리고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 듀얼리스트의 발매로 또 지원카드가 풀리고, 동년 5월에 애완라이거가 컬렉터즈 팩에 수록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추가지원을 팍팍 받고있다.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와 애완라이거가 나오면서 융합 테마가 추가되었다. 임프레스는 아마조네스 몬스터만으로도 소환할 수 있지만 아쉽게도 융합 소환은 소재 제한이 비교적 까다로운 카드가 많아 융합 마법 카드로 소환 할 수 있는 다른 융합 몬스터를 고를 수 있는 선택지는 거의 없다. 있어봐야 범용 속성 융합 몬스터를 가지고 있는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정도. 일단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을 투입하면 속성과 종족도 맞으면서 융합의 서치/샐비지에 도움도 된다. 거기에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도 부를수 있는 만큼 엑덱에 한장정도는 투입할 여지가 있긴 하다.
덕분에 기존에는 황야의 여전사나 마을, 여왕의 선택등으로 기본적인 리쿠르트를 굴리며 하급 몬스터의 튼튼한 전투력을 통한 비트로 상대를 압박하던 아마조네스 덱은 급습이나 콜, 왕녀나 척후등으로 전개력을 보강하고 강력한 효과의 추가 지원카드들로 점점 시대에 맞는 테마로 발맞추어 나가는 중이다.
링크 소환에 의한 영향력이 거의 없는 테마중 하나로 손꼽힌다. 아마조네스 테마에는 임프레스와 라이거 외에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전무하기 때문. 아니 되려 미세스 레디언트쯤 되면 ↙↘라는 훌륭한 링크 마커도 마커지만 '''땅속성 테마'''라는 성질이 잘 어울려 훌륭한 전투력 보조 효과와 샐비지 효과가 맞아 떨어져 멋들어진 시너지를 자랑한다.
이전과 비교해서 상당히 강력하게 재탄생하긴 했지만, 환주 카드군처럼 융합 몬스터가 어딘가 겉돌고 있다는게 아쉬운 부분. 융합은 사용하지 않고 4 랭크 엑시즈 몬스터와 링크 몬스터로만 엑스트라 덱을 구축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는 아마조네스 전사스트럭처 덱 배틀을 해서 승리하면 아마조네스 카드를 한장씩 준다.
듀얼 링크스에서는 마이가 레벨 30~40 덱으로 들고나온다. 링크스 환경에선 굉장히 위협적인 공격력을 가진 성전사와 애완호랑이에 더해 유저들에겐 풀리지 않은 마을을 3장 풀투입 하고 투지까지 쓰기 때문에 기본적인 타점이 높은 편이고, 1마리를 제거해도 계속 덱에서 몬스터가 튀어나오기에 많은 초심자들이 마이 상대하는 걸 꺼린다.
별 상관 없지만, 비교적 나중에 나온 아마조네스 여왕과 스카우트를 제외하고는 탄압을 받지 않은 카드군이다. 단, 일본 및 한국판을 제외한 애니 판본에서는 카드 일러스트와는 상관없이 얄짤없이 전부 탄압당했다.

3. 유희왕 듀얼링크스


역대 티어덱 중 가장 오랜 기간동안 티어권에서 내려오지 않은 장수 테마로, 다른 티어덱들의 점령 기간이 길어봤자 5개월정도뿐인 데 반해 두번의 금제를 먹었음에도 나온지 1년이 지난 이후 여러가지 파생덱으로 목숨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생명력 하나만큼은 이 게임 최고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슷한 포지션이라면 마스크드 히어로가 있지만 이쪽은 티어권 바깥으로 잠시 벗어난 적이 있는데 반해 이쪽은 한번도 티어권 밖으로 벗어난 적이 없었다.
카드군 자체는 듀링이 처음 출시될 때부터 있었다. 다만 카드풀이 너무나 적었고 '아마조네스의 검사'외에는 쓸만한 카드도 없었다.[3] 그리고 메이하면 '''해피 레이디''' 시리즈가 S랭크 1티어를 잡고 있어서 오히려 파밍하다가 나오면 상술한 검사말고는 똥 밟았다는 느낌이었다.
그러다가 조금씩 카드들이 나오더니 11번째 메인 상자인 VALIANT SOULS의 강력한 지원과 '경이로운 메이' 이벤트 보상, 최종적으로 당시 해금된 메이 45레벨 보상카드까지 나오는 등 한번에 3가지 지원을 다 받고 그에 힘입어 '''1티어권'''으로 갑자기 올라왔다. 핵심은 단연 '''아마조네스 프린세스'''의 전개/서치 능력. 특히 '''아마조네스의 급습'''이 필드에 깔리면 아마조네스 몬스터와 전투한 상대 몬스터는 필드에서 '''제외'''된다. 효과 파괴 내성을 가진 덱들이나 삼라같이 묘지 자원을 열심히 활용하는 덱들의 허를 찌른 셈. 이 때문에 삼라에게도 꿀리지 않던 강함을 보여주었던 기계천사가 약해진 원인이 되기도 했다.
사실 게테의 마도서 이전 듀링에 본격적으로 '''제외'''컨셉을 들여온 덱이기도 하다. 결국 제외형 저돌맹진을 패시브로 부여하는 급습때문에[4] 왠만한 노말 비트덱은 거의 전멸했고 똑같이 제외로 밀어붙이는 마도, 직접공격 패시브인 원턴 암귀, 한번의 리버스로 필드 클린하는 삼라와 함께 '''4대 승률덱'''으로 불리며 악명을 떨쳤다.

3.1. 금제


그렇게 1티어로 군림한지 얼마안되어 06/26 금제에서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아마조네스의 급습이 '''준제한'''이 되면서 너프되었다. 다만 급습 자체는 두 장으로도 크게 부족하진 않고 사실상 다른 준제한 카드들을 못 사용하게 만드는 너프. 그래도 일단 정석 아마조네스에서는 급습 외의 다른 준제카드들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암귀덱과 함께 큰 너프 없이 무난하게 1티어를 지켰다. 암귀는 낮은 수비력으로 인해 표시 형식 변경 카드에 취약하다는 약점이 있고, 결국 비트이므로 분단의 벽 등으로 어렵지 않게 카운터를 칠 수 있다. 그러나 아마조네스는 그런 리스크가 적어 더 문제가 크다. 결국 추후 너프로 애완 아기 호랑이가 준제한을 먹게 되었다.
그러나 애완 아기호랑이는 단순 비트요원이었던 만큼 너프의 체감은 크지 않았고, 끝내 2018/10/22일자 패치에서 프린세스를 준제한 및 급습을 제한으로 파워가 확 떨어졌다. 확실히 다른 제한/준제한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큰 너프고 급습이 제거된다면 필드싸움이 크게 밀리게 되었지만 아예 덱의 구성 자체를 비전투형 번덱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어김없이 살아남았다. 오히려 유저들의 혐오도는 더 증가(...)
이후 애완 아기호랑이가 금제에서 풀렸지만 금제 당시에도 뜬금없는 금제라는 소리를 들었던 카드인만큼 다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
너무 오랫동안 해먹은 탓인지 반년이 넘는 시간동안 지원이 하나도 없었고, 그 후 진 여섯무사부터 시작된 급격한 인플레에 점점 덱 파워가 부족해지던 와중에 다른덱에서 꾸준히 쓰이던 아마조네스 검사와 기생충 습격이 코나미의 눈에 띄어 '''아마조네스의 검사 준제한'''+'''기생충 습격 발동조건 추가'''라는 이중 너프로 순수 아마조네스 덱은 완전히 망했다. 프린세스와 검사 모두 빠질래야 빠질 수 없는 강력한 카드인데 어떤 조합으로 짜던 현재 환경엔 전혀 상대가 되지 않는다.
덱 파워가 하도 약해지고 시대에 뒤처진 탓에, 프린세스의 제한을 풀어 풀투입이 가능해졌지만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랭킹에 모습을 드러내는 일 없이 완벽하게 도태된 테마임을 입증하는 꼴이 되고 말았다.

4. 효과 몬스터



4.1. 아마조네스의 명사수



4.2. 아마조네스의 사슬 전사



4.3. 아마조네스의 검사



4.4. 아마조네스의 격투전사


[image]
[5]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격투전사'''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格闘戦士'''
영어판 명칭
'''Amazoness Fighte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500
1300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받는 컨트롤러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아마조네스의 검사의 실질적인 하위 호환. 전투 데미지를 무효로 하는 지속 효과를 보유했지만, 이 효과 자체가 다른 카드와의 연계가 없으면 너무 소소해서 활용하기엔 애매한 효과인데다, 같은 카드군 내에 데미지를 아예 반사해버리는 검사나 있다보니 쓸 이유가 전혀 없다시피 하다.
쿠자크 마이가 사용했던 원작 코믹스 및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일반 몬스터로 등장. 아마조네스의 주술사와의 협공을 통해 처형인-마큐라와 공격력을 맞바꾸어 쓰러뜨렸지만, 마큐라의 효과로 마리크의 패에서 고문 바퀴가 발동하여 꼼짝도 못하는 신세가 된다. 하지만 마이가 발동한 구출극으로 인해 패로 되돌아가 패에 있던 해피 레이디와 교체된다.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발매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등에서는 일반 몬스터로 등장하며, '맨손으로 싸우는 것을 자랑으로 삼는 여전사. 축살(蹴殺)의 춤으로 상대를 발로 차 날린다.'라는 오리지널 플레이버 텍스트가 존재한다.
한글판에서는 공격력이 '''1300'''으로 나오는 엄청난 실수를 저질렀다. 지금은 대원이 실수를 인정하고 에라타 처리했지만 썩 인기 있는 카드도 아니고, 에라타된 시기엔 아마조네스 덱이 잊혀지던 중이라서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게다가 복각도, 교환도 안 해줬다.

4.5. 아마조네스의 취관병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취관병'''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吹き矢兵'''
영어판 명칭
'''Amazoness Blowpipe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전사족
800
1500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를 1장 선택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포인트 내린다.
상대의 공격력을 내리는 효과는 좋긴 하지만 워낙 공격력이 낮아서 잘 쓰이지 않는다. 일족의 결속과 마을을 깔아놓이면 공격력 1800은 되긴 하지만… 아마조네스덱을 짤때 정말로 넣을 카드가 없을 때나 1장 넣는 수준이었는데, 새로운 테마 관련 카드들이 등장하고 듀얼의 판도가 바뀐 지금은 차라리 가이아 파워같은 속성 필드 마법이나 다른 공격력 상승 카드를 넣는 편이 훨씬 좋아 거의 버려진다.

4.6. 아마조네스의 성전사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성전사'''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聖戦士'''
영어판 명칭
'''Amazoness Paladin'''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700
300
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의 수 × 100 올린다.
'''에라타 (한글판)
(2018.06.01)'''
'''誤 : [카드명]''' 아마조네스의 성기사
'''正 : [카드명]''' 아마조네스의 성전사
아마조네스의 주력 어태커. 자기 자신도 아마조네스이므로 실질적으로 공격력 1800. 좋은 공격력으로 여왕의 선택을 발동하기도 쉽다. 일족의 결속이나 아마조네스의 투지등의 공격력 증가 혜택까지 얻으면 대부분의 상급 몬스터, 일부 최상급 몬스터도 눌러버릴 수 있다.
원문은 성'''전'''사인데 한국에서 성'''기'''사로 번역했다. 여태까진 별 문제 없었지만 Noble Knight 카드군의 OCG판 이름이 "성기사"가 되면서 백룡의 성기사신성기사 파샤스 등과 함께 한국 한정으로 괜한 번역 미스로 문제의 소지를 갖춘 카드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유희왕 듀얼 링크스에서는 '성전사'라는 명칭으로 수정되었고, 이후 OCG에서도 에라타로 수정되었다.
NDS게임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는 은혜의 세계에 있는 콜로세움에서 스트럭쳐 듀얼 상대로 등장한다. 각 스트럭쳐로 한번씩 승리하면 아마조네스 몬스터 카드를 하나씩 얻을 수 있고 월드 챔피언십 모드에서 한태인이 추가된다.
여담이지만 머리스타일이 쿠자크 마이와 닮았다.

4.7.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ペット(タイガー'''
영어판 명칭
'''Amazoness Tige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야수족
1100
1500
①: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의 수 × 400 올린다.
③: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송곳니를 드러낸 밀림의 야수'''(그레이스 타일러)
자기자신도 아마조네스이니 공격력은 1500부터 시작. 하지만 다른 아마조네스들은 전사족인데 이놈만 야수족인데다가 효과도 썩 좋은 편은 아니라 보통 버림받는다. 이 카드를 투입한다면 자칫 이놈이 묘지로 갔다가 일족의 결속이 고장나버리는 대형사고가 벌어지기 때문.
다만 임프레스가 나온 시점에서 일족의 결속을 채용하지 않는다면 사용해줄 여지는 있다. 임프레스의 약점은 본인에겐 전무한 내성인데 이놈이 필드에 나와있으면 임프레스를 공격대상으로 지정해 줄 수 없기 때문. 물론 당연히 호랑이는 임프레스의 효과를 받아 전투, 효과 파괴에 내성이 붙으므로 버티기 쉬워지는 것은 덤. 만약 임프레스를 효과파괴로 보내버려도 유발효과로 인해 여왕을 필드에 꺼내줄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놈이 필드에서 버틸수 있게된다.
원래는 필드에 단 1장밖에 존재할 수 없어 2장을 꺼내놓고 락을 형성하는 건 할 수 없었으나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가 발매됨에 따라 라이거와 함께 내놓으면 락을 형성하는 게 가능해졌다. 소재로 쓴후 묘지에서 되살려 필드에 둘을 두거나, 소재로 베이비 타이거를 써 라이거를 부른 다음 호랑이를 소환해주거나 하면 OK.
여담으로 이 카드는 원어에서는 아마조네스 펫 타이거라는 이름으로 '~의'가 안 들어가 있었으나 번역되는 과정에서 들어갔다.
텍스트에서는 "파괴하지 않는 한"이라고 되어 있지만, 파괴 이외의 방법으로 필드를 벗어나도 전투 락은 풀린다. 에라타나 재판이 되지 않았을 뿐. 즉 현재 룰에 맞춘 제대로 된 텍스트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다."가 정도가 된다.
유희왕 GX에서는 타니아가 아마조네스 덱의 메인 어태커로 사용. 미사와 다이치,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전부 활약했으며, 아마조네스의 조교사라는 전용 서포트 마법 카드까지 등장했다. 공격명은 '밀림의 왕아(密林の王牙)'. 여담으로 타니아가 반려동물로 데리고있는 호랑이 '바스(バース)'와 모습이 유사하며, 타니아 본인의 본래 모습 또한 백호다.
유희왕 ARC-V에서는 그레이스 타일러가 사용. 아마조네스의 척후와 함께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메이가 사용하는 아마조네스 덱에서 '''툭하면 불러내는''' 무서운 몬스터다. 마을때문에 몬스터들의 유지력이 높다보니 공격력이 보통 2100~2500선에서 놀기 때문, 효과같은 걸로 파괴해도 마을의 효과나 전생술로 다시 기어나와 플레이어를 압박한다.

4.8. 아마조네스의 현자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현자'''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賢者'''
영어판 명칭
'''Amazoness Sage'''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400
700
이 카드가 공격을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마/함 파괴는 '''강제효과'''이니만큼 상대 필드위에 기어 타운이나 유옥의 시계탑, 아티팩트(유희왕)등 파괴를 트리거로 어드밴티지를 버는 카드가 상대측에 있을때는 조심해야 한다.
이름은 현자고 일러스트도 지팡이 같은 것을 들고 있지만 엄연히 전사족이다.

4.9. 아마조네스 훈련생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훈련생'''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訓練生'''
영어판 명칭
'''Amazoness Trainee'''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500
1300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한 몬스터는 묘지에 보내지 않고 소유자의 덱의 가장 밑으로 되돌린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200포인트 올라간다.
효과자체는 실로 우수. 파괴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지 않고 덱으로 보내버리므로 묘지에서 발동하는 유언계 효과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으로 잠들어 어드밴티지를 벌 준비를 하는 펜듈럼 카드들을 역관광 시켜줄수 있다.
아마조네스의 사슬 전사와 차림새가 꽤 비슷한데, 동생 혹은 본인의 과거 모습인 것으로 추정된다.

4.10. 아마조네스 여왕


[image]
[image]
내수판
수출판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여왕'''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女王(クィーン'''
영어판 명칭
'''Amazoness Queen'''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전사족
2400
1800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밀림의 여왕'''

전투 파괴 내성 효과를 지닌 최강의 아마조네스. "아마조네스" 이기에 자신도 포함된다. 참고로 전사족 상급 몬스터이면서 원래 공격력이 2400에 '''아무런 디메리트가 없는 최초의 몬스터'''이다. 어찌된게 전사족 상급 몬스터는 지금까지 원래 공격력이 2400도 안되거나, 디메리트가 있었다.
어째 아마조네스의 사슬 전사나 마을 등등과는 시너지가 나쁘다. 그러나 없는 것보다는 나은 효과. 특히 마을의 경우에는 어차피 공격력도 올려주는데다 효과 파괴시에 리쿠르트라는 보험을 해주기에 조합이 꼭 그리 나쁘지만은 않다.
유희왕 ARC-V에서는 글로리아 타일러가 사용. 아마조네스의 에이스로서 활약하며 사사야마 사야카코즈키 알렌을 압도했다. 이후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의 융합 소재가 된다.

4.11. 아마조네스 스카우트


[image]
[image]
내수판
수출판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스카우트'''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スカウト'''
영어판 명칭
'''Amazoness Scouts'''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전사족
500
1100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그 턴 동안 앞면표시로 자기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아마조네스"라 이름 붙은 몬스터는 효과 몬스터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고 마법, 함정, 효과몬스터의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듀얼리스트 레볼루션의 북미판 추가 카드. 비록 필드 위에서 릴리스해야 하고 그 턴 한정이긴 하지만 자신 필드 위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전체에게 몬스터의 대상 지정 내성과 효과 파괴 내성이라는 상당히 강력한 저항력을 부여한다. 공격력도, 레벨도 낮으므로 소환 방법도 많아 쓰려고 하면 쉽다.
하지만 워낙 수비적인 효과에 결정력을 잡기 힘들어서 많이 쓰긴 힘들고, 1장 정도 투입해서 이번만 버티고 나면 승리를 굳힐만 하다 싶을 때 사용하면 좋다. 다행히 아마조네스 덱은 리쿠르트가 아주 쉬운 테마중 하나다.

4.12. 아마조네스 프린세스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프린세스'''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王女(プリンセス'''
영어판 명칭
'''Amazoness Princess'''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전사족
1200
900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아마조네스 여왕"으로 취급한다.
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한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아마조네스"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아마조네스 프린세스" 이외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에서 등장한 새로운 아마조네스 몬스터.
1번 효과는 필드와 묘지에 존재하면 아마조네스 여왕으로 취급할 수 있는 명칭 보조 효과, 이 카드 보다 전 분기에 발매되는 아마조네스의 여제를 부르기 위해 소재 조건이 될 무거운 여왕을 투입하는 대신, 이 카드를 필드 위에 놓는 것 만으로도 융합 소재로 충당할 수 있다, 물론 융합 주축의 아마조네스라면 카드명이 기제된 여왕을 융합 징병, 융합 준비 등으로 가져오는 방법도 있는데다, 여왕을 선택함으로써 고를수 있는 전술도 있는만큼 어느쪽을 택할지는 플레이어의 선택.
2번 효과는 일반/특수 소환 성공시에 아마조네스 마법/함정을 가져오는 서치 효과다. 전개 효과를 가진 필드 마법 아마조네스의 마을이나, 같은 팩에 등장하는 서치 카드 아마조네스 콜을 응용하면 서치 카드로 서치 카드를 서치하는 덱순환도 가능하다.
3번 효과는 전투 선언시 패나 필드의 카드 1장을 다른 아마조네스 몬스터로 치환하는 리쿠르트 효과. 배틀 페이즈에, 그것도 덱에서 특소하는 고성능 카드지만 수비표시로 부르기에 추가 공격을 막는 밸런스 조정이 가해져있다. 배틀을 실행해야 하는 이 카드 자체의 공격력이 뛰어나다곤 못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아마조네스 덱 특유의 전투 보조효과를 최대한 발휘해줄 필요가 있다. 예컨대 여왕이나 보물을 통해 전투내성을 주거나 주술사나 투지등의 카드로 공격력을 보완하는 등. 이때 소환되는 아마조네스 몬스터에는 아무 제한이 없기 때문에 상급 몬스터인 여왕을 불러와 전투 내성을 주는것도 가능하며, 같은 3레벨 몬스터인 척후를 불러와 엑시즈 소환으로 잇는것도 유용하게 쓸수있다.
일러스트에선 창을 들고 나무위에 올라탄 아마조네스 소녀를 그리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진지한 아마조네스 전사들과는 달리 활기차고 발랄한 인상이다. 레벨과 공격력, 수비력이 여왕에서 딱 절반 나눈 수치인데다 명칭 보조 효과등까지 고려해보면 아마조네스 여왕의 어린 시절인듯도.

4.13. 아마조네스의 애완아기호랑이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애완아기호랑이'''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ペット仔虎(ベビータイガー'''
영어판 명칭
'''Amazoness Baby Tige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야수족
500
500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로 취급한다.
②: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③: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아마조네스" 카드의 수 × 100 올린다.
애완호랑이의 어릴적 모습으로 추정되는 몬스터. 경계심이 전혀 없는 옥색 눈동자나 헐렁한 목걸이 등이 귀여움을 강조하고 있다.
①의 효과는 왕녀에도 있는 명칭 보조 효과.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가 OCG화되면서 애완라이거의 융합에 쓸 수 있게 됐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나올때 패나 묘지에서 따라 나오는 효과. 레벨이 레벨이라 엑시즈로 잇기는 힘들지만 융합 소환이나 링크 소환의 소재로 써먹기에는 충분하며, 매턴마다 묘지에서 부활하며 필드 어드밴티지를 늘려주는 역할을 하는 고성능 효과다. 하지만 대미지 스탭에 발동 할 수 없어 마을과는 궁합이 나쁘다.
③의 효과는 묘지의 아마조네스 카드 숫자만큼 공격력이 오르는 효과. 몬스터 뿐만이 아니라 마함도 카운트 되므로 의외로 빨리 오르긴 하지만, 열장이나 쌓여야 간신히 1500이 되는 수준으로 썩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듀얼이 장기전으로 갈수록 빛을 발하는 효과다.
참고로 애완호랑이의 필드에 1장밖에 있을 수 없는 디메리트 때문에 이 카드가 있으면 애완호랑이를 소환 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원본을 소환하면 이 카드의 애완호랑이로 취급하는 효과 때문에 애완 아기호랑이를 소환 할 수 없게 된다.
여담이지만 프린세스도, 베이비 타이거도 명칭 보조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기묘하게도 이 효과 범위가 필드 뿐만이 아니라 묘지도 포함하고 있다. 2017년 10월 기준 현존하는 아마조네스 카드중엔 묘지에서 특정 명칭 효과를 지정하는 하는 카드가 없으므로, 이것이 아마조네스용 묘지 융합카드의 발매 전조가 아닐까 하는 의혹이 있다. 허나 2020년이 다되도록 관련 카드가 안나오는걸 봐서는, 그냥 네크로 퓨전쓰라고 만들어준 효과로 보인다(...).

4.14. 아마조네스의 척후


[image]
[image]
내수판
수출판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척후'''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斥候'''
영어판 명칭
'''Amazoness Spy'''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전사족
800
1200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 이외의 패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 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 한다.
②: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아마조네스의 척후"이외의 자신 묘지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 또는 덱으로 되돌린다.
'''먹잇감을 노리는 전사의 눈'''
컬렉터즈 팩 2017에서 임프레스, 애완라이거와 함께 수록되어 OCG화.
패에 아무 아마조네스 몬스터만 있으면 바로 특소해줄수 있는 고성능 카드.
그러나 3레벨로 나온탓에 4레벨이 대부분인 아마조네스들이랑 같이 4랭크 소재로 쓸 수 없단게 아쉽다. 아마조네스 몬스터 중에서 3레벨 몬스터는 이 카드와 취관병, 그리고 나중에 추가된 프린세스 3종류 뿐이라서 이 카드를 통해서 3랭크 띄우기도 애매하고.
애니에서는 릴리스 요원이 되며 여왕을 한턴만에 어드밴스 소환 하는 활약을 했고, 실제로도 충분히 그렇게 쓸 수 있다.
OCG화 되며 ①효과에 1턴에 1번 제한이 생겼지만, ②효과가 추가 되었다. 전투로 파괴 된다면 묘지에서 자신을 제외한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패나 덱으로 샐비지 할수있다. 이쪽에서 자폭성 특공으로 들이대서 파괴되어 능동적으로 효과를 발휘시켜 주는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다만 자체특소 효과를 가진 아마조네스에 비해 발동조건이 다소 수동적이라는게...

5. 융합 몬스터



5.1. 아마조네스 임프레스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임프레스'''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女帝(エンプレス'''
영어판 명칭
'''Amazoness Empress'''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전사족
2800
2400
"아마조네스 여왕" + "아마조네스" 몬스터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카드는 전투/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②: 자신의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③: 융합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또는 상대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덱/묘지에서 "아마조네스 여왕"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원작 효과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②: 자신 필드에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할 경우, 공격력이 수비력을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밀림의 여왕이여! 용맹한 검사의 힘을 거두어, 모든 것을 다스릴 제국을 건설하라!! 융합 소환!! 나타나라! 레벨8, 아마조네스 임프레스!!'''
107화에서 아마조네스 퀸과 검사로 융합해서 소환된 글로리아의 융합 몬스터로 컬렉터즈 팩에서 OCG화가 확정되었다. 아마조네스 퀸의 외형과 효과를 강화하여 이어받은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1번 효과는 아마조네스 여왕의 파괴 내성을 강화한 효과. 전투 뿐만 아니라 효과 파괴로부터도 적용된다. 그리고 ocg화 되면서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아니라 아마조네스 "카드"로 대상이 확장되어서 투지나 마을등의 마함카드도 지켜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 반동으로 자기 자신은 효과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어 버렸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줄 방도를 찾아야 한다. 애완 호랑이와 함께 쓰거나 아마조네스의 보물을 장착해주거나. 여유가 되면 그냥 임프레스 2체를 띄워버리면 서로 락이 성립한다. 마스터즈 룰 4의 초창기때는 링크를 따로 확보해줘야 했지만, 개정되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2번 효과는 ‘아마조네스’ 몬스터들에게 관통효과를 부여하는 효과.
3번 효과가 ocg화되면서 새로 추가되었는데 전투 파괴 및 상대 효과로 필드를 벗어났을 때 패/덱/묘지에서 ‘아마조네스 여왕’ 1장을 특수 소환하는 유언계 효과. 파괴 뿐만아니라 제외효과 에도 발동하지만 릴리스에는 무력하므로 주의. 또한 정규 융합 소환한 경우에만 적용되는 효과인것도 알아둬야 한다. 자기 자신에겐 1번 내성이 적용되지 않는 약점을 그나마 경감시켜주는 효과. 단, 2020년 4월 1일 룰 개정으로 인해 바운스 되면 효과가 발동되지 않게 개정되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만약 국내 정발시 퀸을 여왕으로 번역한 전례가 있는만큼 이 카드도 국내에 정발된다면 임프레스가 아니라 '아마조네스 여제(女帝)'라고 번역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예상 외로 국내에 정발되면서 아마조네스 임프레스로 확정되었다.

5.2.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ペット虎獅子(ライガー'''
영어판 명칭
'''Amazoness Pet Liger'''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7

야수족
2500
2400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 + "아마조네스" 몬스터
① : 이 카드가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데미지 계산시에만 500 올린다.
② :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공격한 데미지 계산 후에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내린다.
③ :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다.
원작 효과
①: 이 카드가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 이외에의 공격을 무효로 할 수 있다.
③: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공격한 데미지 계산후,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내린다.
'''송곳니를 드러낸 밀림의 야수여. 먹잇감을 노리는 전사의 눈을 얻어, 새로운 맹수가 되어 나타나라!! 융합 소환!! 출현하라! 레벨 7,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
그레이스의 융합 몬스터로 사야카와 알렌의 듀얼에서 아마조네스 여왕과의 콤보로 두 사람을 고전시킨다. 2번 효과를 사용할때는 에꾸인 왼눈을 떠서 저주를 거는 연출이다.
듀얼리스트 팩에서 먼저 공개된 베이비 타이거에 굳이 명칭 보조 효과가 붙은걸로 봐선 멀지않은 시기에 OCG화 될것으로 보였고 결국 컬렉터즈 팩 2017로 OCG화되었다. 효과는 원작과 다를바없이 나왔다.
1번 효과는 공격하는 대미지 계산시 공격력을 500 올리는 효과. 자신 턴에는 공격력이 3000이 되지만 정작 공격받을때는 사용할 수 없는게 흠.
2번 효과는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공격한 대미지 계산 후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800 내리는 효과. 아마조네스로 자폭특공하거나 영왕을 포함한 전투 내성을 가진 아마조네스로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번 효과는 다른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공격 대상을 선택할 수 없는 효과. 임프레스랑 연계할 수 있고 융합 소재인 애완호랑이와 함께 나와있으면 상대가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공격할 수 없는 락이 형성된다.
융합 소재는 낡고도 낡은 옛날 카드인 애완호랑이를 지정하고 있지만 필드에서 애완호랑이로 취급되는 애완 아기호랑이가 커버할 수 있게 되었다.
정발명은 루비를 따라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가 되었다.

6. 마법 카드


재미있게도 의식 마법을 제외하면 현존하는 다섯 종류의 마법 카드를 전부 1장씩 가지고 있다.

6.1. 아마조네스의 주술사


[image]
[image]
내수판
수출판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주술사'''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呪詛師'''
영어판 명칭
'''Amazoness Spellcaster'''
일반 마법
턴 종료시까지, 자신 필드 위의 "아마조네스" 라는 이름이 붙은 앞면 표시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 위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의 원래 공격력을 맞바꾼다.
투지가 나오면서 묻힐 위기에 처한 카드. 엔드 페이즈 까지만 유지되고, 아마조네스들은 보통 1500이라는 애매하게 높은 원래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서 상대에게 그리 큰 타격도 주기 힘들다.
아마조네스의 베이비 타이거가 500이라는 아주 낮은 원래 공격력을 들고 나온 덕분에 후반부에 상대방의 공격력 높은 카드를 대상으로 써주면 베이비 타이거 자신의 효과와 더불어 의외의 한방을 날려줄 요소가 된다.

6.2. 아마조네스의 투지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투지'''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闘志'''
영어판 명칭
'''Amazoness Fighting Spirit'''
지속 마법
"아마조네스"라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그 공격력보다 높은 공격력을 지닌 몬스터를 공격하는 경우, 데미지 계산시만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포인트 올라간다.
아마조네스 한정의 지속 마법 버전 마천루. 마천루와는 달리 지속 마법이기에 테라포밍같은 서포트는 못 받지만 반대로 이쪽은 한번에 2~3장을 깔아놓을 수도 있어 타점을 어마어마하게 끌어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최대 데미지 5800)


6.3. 아마조네스의 보물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보물'''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秘宝'''
영어판 명칭
'''Amazoness Heirloom'''
장비 마법
"아마조네스"라 이름 붙은 몬스터에게만 장비 가능. 장비 몬스터는 1턴에 1번,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다. 장비 몬스터가 공격한 몬스터를 데미지 계산 종료시 파괴한다.
듀얼리스트 레볼루션의 북미판 추가 카드. Heirloom은 가보, 즉 집안에 전해내려오는 물건 정도로 해석된다. 전투 파괴 방지는 1번 뿐이지만 여왕이 나와있으면 어차피 전투에는 무적이 되니 크게 신경 쓸만한 요소는 아니다. 허나 여왕을 소환할 여건이 못되는데 마을도 준비 하지 못했다면 보험용도로 쓰일 정도의 가치는 충분히 있다.
가장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건 뒤의 효과로, 공격 대상을 효과 파괴 시키는 효과를 주로 쓰게 된다. 이를테면 상대가 아마조네스의 검사에 이 카드를 장착하고 자신의 상급 몬스터를 공격할경우, 몬스터의 공격력을 불문하고 반드시 전투 데미지를 입으며 반드시 폭사하는 꼴을 보게 된다(...)

6.4. 아마조네스의 마을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마을'''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里'''
영어판 명칭
'''Amazoness Village'''
필드 마법
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의 공격력은 200 올린다.
②: 1턴에 1번,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그 "아마조네스" 몬스터의 원래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진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아마조네스의 핵.''' 공격력 상승에 리쿠르트까지 겸하고 있는 희대의 필드 마법. 효과 파괴에도 대응된다.
아마조네스의 새로운 에이스 몬스터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와는 일견 궁합이 좋지 않아 보인다. 마을의 특소효과 발동 트리거가 아군 아마조네스 몬스터의 파괴인데 임프레스는 아마조네스 카드에 파괴 내성을 부여해버리기 때문. 때문에 이 카드는 임프레스와 함께 있으면 고작 공격력 200만 오르고 마는 필드 마법 카드가 된다.
허나 임프레스가 파괴되는 경우에는 살짝 사정이 달라진다. 임프레스 자신의 3번 효과와 마을의 효과로 여왕 + 아무 아마조네스 1체를 단숨에 특소 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여왕 2체를 소환할수도 있으며 이 경우 6랭크 엑시즈도 바라볼 수가 있게된다.

6.5. 아마조네스 콜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콜'''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叫声(アマゾネスコール'''
영어판 명칭
'''Amazoness Call'''
속공 마법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덱에서 "아마조네스 콜" 이외의 "아마조네스" 카드 1장을 패에 넣거나 묘지로 보낸다.
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그 몬스터 이외의 자신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대상 몬스터는 상대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아마조네스 덱에 부족했던 프리체인 서치카드. 수많은 테마의 여러 서치카드 중에서도 특출난 수준으로, 아마조네스 카드기만 하면 콜 빼고 뭐든지 패에 잡을수 있으며 내키면 묘지로 덤핑도 할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이다.
뿐만 아니라 유행에 맞게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도 갖추고 있다. 이 카드를 제외하여 필드의 아마조네스 1체에게 광역 공격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로 왕녀를 대상으로 써주면 연속 공격을 하면서 필드를 아마조네스로 가득 채울수 있다. 물론 바꿔먹을 카드가 충분하다는 가정하에. 만약 이때 보물이나 급습과 함께 써주면 상대편 필드를 싹 클린해버리면서 이쪽은 몬스터가 드글거리는 충공깽의 장관도 연출할 수 있다.
이전 문서에 이 카드에 명칭제약이 붙어있다고 1,2번 효과를 동시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이는 옳은 서술이 아니다. 명칭제약은 오직 카드의 '발동'에 한정되어 있다. 이 카드의 '효과 발동'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 카드의 1번 효과는 카드를 '발동'했을 때 적용되는 효과이고, 2번 효과는 이 카드를 제외하고 '효과 발동'을 하는 것이다. 2번 효과 발동 시에 신의 심판으로 막을 수 없는 이유가 이것이다. 따라서 1턴에 1,2번 효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일러스트에서는 명사수가 나무위에 올라가 고함을 외치고 있다.

7. 함정 카드



7.1. 아마조네스의 궁수대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궁수대'''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弩弓隊'''
영어판 명칭
'''Amazoness Archers'''
일반 함정
상대가 공격 선언시, 자신 필드 위에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모든 몬스터는 앞면 공격 표시가 되어(리버스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공격력은 500 포인트 내린다. 상대는 모든 몬스터로 공격해야 한다.
애니에서 쿠자크 마이가 사용했을 때는 500포인트, 타니아가 사용했을 때는 600 포인트를 내렸었다.
그냥 쓰기에 500 포인트는 약간 모자라니 다른 공격력 관련 카드들로 최대한 공격력 차를 벌려서 상대가 강제로 공격을 선언하게 하는점에 초점을 맞추고 사용해주는게 좋다.

7.2. 아마조네스 전생술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 전생술'''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転生術'''
영어판 명칭
'''Amazoness Shamanism'''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파괴한 수와 같은 매수까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벨 4 이하의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앞면 수비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듀얼리스트 레볼루션의 북미판 추가 카드. 새롭게 나오는 몬스터의 조건은 레벨 4 이하이기 때문에 여왕을 제외한 모든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수 있다. 정 급할 때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하는 용도로 쓰라고 나온 듯 하나 선택도 아니고 전부 파괴라 여왕이 이미 소환되어 있었다면 거의 손해. 웬만하면 구출극을 쓰자. 한국에는 엑스트라 팩 4로 상륙.
임프레스가 필드에 나와있다면 파괴가 안돼서 쓸모가 없어지므로 주의.

7.3. 아마조네스의 의지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의지'''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意地'''
영어판 명칭
'''Amazoness Willpower'''
지속 함정
자신의 묘지에서 "아마조네스"라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고, 공격 표시일 경우 공격해야 한다. 이 카드가 필드위에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때,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그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다.
아마조네스 버전의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거기에 표시 형식 변경 불가에, 강제 공격 조건이 더 붙었으므로 그냥 하위호환이다.
만약 아마조네스의 이름이 붙은 마함을 서치하는 카드 같은게 있었다면 차별화가 되었겠지만, 그런 카드가 없었으므로 크게 의미는 없었는데...
아마조네스 임프레스가 ocg화 되며 아마조네스 '''카드'''에 파괴내성을 부여하는 카드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차별화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나중에 아마조네스 프린세스와 아마조네스 콜이 추가되면서 이카드를 서치하는것도 가능해 지면서 아마조네스 덱이라면 리빙 데드보다 우선적으로 선택할 가치가 생겼다.

7.4. 아마조네스의 급습


[image]
[image]
내수판
수출판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급습'''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急襲'''
영어판 명칭
'''Amazoness Onslaught'''
지속 함정
①: 1턴에 1번,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 까지 500 올린다.
②: 자신의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제외한다.
③: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의 묘지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OCG 금지제한
무제한 카드
유희왕/TCG 금지제한
무제한 카드
듀얼링크스/금지제한
'''제한 1->제한 3'''[6]
여러가지 우수한 효과가 다수 있음에도 디메리트는 전혀없는 고성능 지속 함정.
1번 효과는 배틀 페이즈에 패에서 아무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공격력을 500이나 올려 툭하고 꺼내는 효과. 자신 상대턴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내턴에 몬스터를 꺼내 추가 공격을 가하는것도 가능하고 상대턴에 몬스터를 꺼내 급한대로 벽을 만들수도 있다.
2번 효과는 흉악하게도 데미지 스텝에 발동하는 제외 효과. 턴당 발동수 제한이 없으므로 그냥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배틀만 했다하면 제외되어버린다.
위협적인 1, 2번 효과를 경계하여 이 카드를 파괴하면, 3번 효과가 발동한다. 묘지에 있는 아마조네스를 부활시키는 심플한 효과지만 보험으로는 충분한 효과. 소환된 아마조네스에게는 어떤 디메리트도 가해지지 않고 완전 소생한다. 당연히 바운스 되거나 제외될 경우엔 불발.
듀얼링크스에선 오버파워라며 욕을 먹는 카드. 마함파괴가 별로 없는 마당에 오프에서도 대처하기 힘든 제외효과를 들고나와서 처리하기가 힘들다. 게다가 프린세스의 등장으로 서치까지 가능하기에 과연 밸런스를 생각하고 내놓은건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랭크게임 환경을 혼돈의 도가니로 몰아버렸다. 이후 검사, 프린세스의 준제한, 이 카드 제한을 먹고 갤럭시 ,코즈믹 싸이크론등의 마함파괴 카드들의 대두로 완전히 자리를 잃어 티어권에서 사라졌다
일러스트에서는 스카우트 콤비가 어떤 짐승을 습격하고 있다.

8. 관련 함정 카드



8.1. 구출극


[image]
[image]
내수판
수출판
한글판 명칭
'''구출극'''
일어판 명칭
'''救出劇'''
영어판 명칭
'''Dramatic Rescue'''
일반 함정
필드 위의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대상으로 한 카드가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이 된 몬스터 카드를 패로 되돌리고, 다른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소환 한다.
이 구출극의 경우 일본판 OCG의 카드의 일러스트에선 '''길로틴에 팔이 잘리기 직전'''인 여성을 구하러 달려나가는 모습이었다. 다소 잔혹했기 때문인지 해외판에서는 단순히 나무에 묶여있는 여성을 구하러 가는 식으로 일러스트가 완전히 바뀌었다. 둘 다 카드 이름에 어울리는 일러스트라 상관없긴하다.
훌륭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카드. 캐틀 뮤틸레이션과는 달리 레벨 제한도 없어서 단순히 아마조네스 안에서 생각하면 하급 아마조네스를 바치고 제물 없이 여왕을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왕이 파괴되려 할 때 발동해서 되돌린 여왕을 다시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착각하기 쉬운 요소이지만, 되돌리는 몬스터는 아마조네스일 지언정, '''소환하는 몬스터는 제한이 없다.''' 즉 아마조네스 이외의 몬스터를 꺼내도 상관 없으며, 레벨이 높은 상급 몬스터도 아무 문제 없다는 것. 원작에서도 쿠자크 마이는 아마조네스를 바운스 하고 해피 레이디를 꺼낸 다음 만화경으로 분신시켜 제물 3체를 만족, 신을 소환시키는 속공성과 위엄을 보여주었다만, 이는 코믹스에서의 상황이고, OCG에서의 해피 세자매는 한마리 취급이라 원작 재현은 불가능.
단, 아마조네스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카드를 발동해야 한다는 조건이 달려있는데, 이것은 피아를 구별하지 않는다. 덕분에 자신이 카드를 발동해서 거기에 구출극을 체인해 발동해 줄수는 있지만, 이러면 발동 조건은 충족될지언정 어드가 -1되는 셈. 따라서 발동 타이밍을 상대에게 의존 하기 쉬워진다는게 최대의 단점인 셈이다.

8.2. 여왕의 선택


[image]
한글판 명칭
'''여왕의 선택'''
일어판 명칭
'''女王の選択'''
영어판 명칭
'''Queen's Pawn'''
일반 함정
자신 필드위에 존재하는 "아마조네스"라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해 묘지에 보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아마조네스"라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상당히 강력한 소환 보조 카드. 아마조네스는 여왕을 제외하면 전부다 하급이라 소환 범위도 엄청나게 넓으며, 덱에서 리쿠르트 하는거라 패손실을 통한 어드밴티지 걱정따위 조금도 할 필요없다. 아마조네스의 마을과 함께 전개력을 보충하는 필수적인 카드.
다만 전투력이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진행된 작금의 유희왕에 있어서, 아마조네스의 몬스터로 상대방을 전투 파괴 하는건 상상 이상의 고행일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옵션만 보면 3장 꽉꽉 넣어 둬야할 필수카드지만, 전투 파괴하기위해 다른 보조카드들도 상당히 채용해야 되는 아마조네스 덱의 특성상 조금 고민이 되기도 하는 카드.
2017년 들어서는 아마조네스 덱도 추가 지원을 많이 받아 전투력이 강력해져서 효과를 발동하기 쉬워졌다. 때문에 3장 풀투입 하면 전개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같은 맥락으로 추가 지원 카드들이 전개를 도와주는 카드들이 많아져서 굳이 이 카드를 넣지 않아도 리쿠르트와 필드 전개가 가능해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했다(...)
일러스트는 옥쇄지령의 구도를 차용한 듯. 하지만 죽음을 두려워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출격하는 옥쇄지령과 달리, 이쪽은 상호간의 신뢰와 충성심 면에서 차원이 다른 분위기를 보여준다.

9. '''미 OCG화''' 카드



9.1. 일반 마법



9.1.1. 아마조네스의 공수사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공수사'''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口寄せ'''
영어판 명칭
'''Amazoness Call'''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에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융합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 그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융합 소재가 된 몬스터 1 세트를 앞면 공격 표시로 묘지에서 특수소환한다.
애니에서 타니아가 설명하진 않았지만 필드 위에 "아마조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에 관한 조건이나 코스트가 붙어 있다. 상대에게 거는 융합 해제.
여담으로 영미판 번역명이 아마조네스 콜과 같다(Amazoness Call).

9.1.2. 아마조네스의 매료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매료'''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魅了(アマゾネスチャーム'''
영어판 명칭
'''Amazoness Charm'''
일반 마법
상대 필드 위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변경하고, 공격력을 200 포인트 올린다.
애니에서 타니아가 사용한 카드. 단순히 수비봉인에 공격력 증가 효과를 부여한 카드.


9.2. 지속 마법



9.2.1. 아마조네스의 마경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마경'''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魔鏡'''
영어판 명칭
'''Amazoness Magical Mirror'''
지속 마법
① : 자신 필드에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 ② : 상대의 효과로 자신이 데미지를 받을 경우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 데미지는 대신 상대가 받는다.
알렌의 바트레인의 번 뎀을 막기 위해 발동한 카드.

9.3. 속공 마법



9.3.1. 아마조네스의 조련사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조련사'''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調教師'''
영어판 명칭
'''Amazoness Trainer'''
속공 마법
자신 필드 위의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를 선택하고 발동. 이번 턴 선택한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는 공격력이 400 포인트 올라가고, 한번 더 공격선언을 할 수 있다. 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의 공격력이 상대 수비 표시 몬스터의 수비력을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전투 데미지를 준다.
타니아가 사용한 카드. 사용하기 편한 '속공 마법'인데다가 '공격력 400상승 효과' 때문에 '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함은 물론, 거기에다 '더블 어택', '관통 데미지'라는 엄청난 보너스를 걸어주는 그야말로 완전체 카드지만... 저 호랑이 전용이라는 점이 못내 아쉽다. 물론 사용처가 제한되었기에 저런 강력한 옵션인 것이겠지만 그래도 아쉽다.
먼 훗날 아크 파이브에서 호랑이의 진화체로 라이거가 등장했는데, ocg각을 잴 경우 이 효과의 대상이 될 수 있을지가 미스테리. 만약 라이거도 효과의 대상이 되게 처리하려면 조건이 "아마조네스"몬스터면서 원래 종족이 "야수족"인 몬스터 정도로 변경될것이다.

9.4. 필드 마법



9.4.1. 아마조네스의 사투장


[image]
[image]
카드 일러스트
유희왕 듀얼링크스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사투장'''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死闘場'''
영어판 명칭
'''Amazoness Arena'''
필드 마법
이 카드의 발동시에 양쪽 플레이어는 600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공격 선언을 한 플레이어는 몬스터로 전투를 실행할 때마다,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1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상대 라이프에 1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유희왕 GX 세븐 스타즈 편에서 타니아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용기의 덱의 필드 마법. 그 효과는 희대의 '''현피 카드'''로, 저 뒷쪽의 효과를 발동하면 사용자의 '''영혼'''같은 것이 튀어나와 '''상대를 공격한다.''' 물론 상대도 발동하면 똑같이 영혼이 튀어나와서 영혼끼리 치고받는다. 영혼끼리 싸우면서 한 대 씩 제대로 때리며 상대에게 데미지가 들어가는 괴랄한 카드. 작중에서 쥬다이와 타니아는 계속 발동을 선택해서, 전투가 벌어질 때마다 200점씩 라이프를 깎아갔다.
타니아 왈 "몬스터들만 전투를 하면 미안하잖아." 결국 타니아의 라이프는 100, 쥬다이는 200이 남은 상태에서 아마조네스의 검사와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이 같은 공격력으로 둘다 터진 뒤 효과를 발동, 아름다운 '''크로스 카운터'''를 보여주며 타니아가 패배했다. 물론 룰적으로 봤을땐 타니아는 코스트를 지불하지 못해 발동 못했고 쥬다이만 발동한 것이지만...

9.5. 일반 함정



9.5.1. 아마조네스의 대역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대역'''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身代わり'''
영어판 명칭
'''Amazoness Substitution'''
일반 함정
① : 자신 필드의 "아마조네스"몬스터가 공격대상으로 선택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아마조네스"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공격 대상을 그 몬스터로 변경한다.
세트해 두었다가 발동해서 아마조네스의 검사를 특수 소환하는데 사용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에 있는 아마조네스의 격투전사의 배색이 OCG가 아닌 OCG 이전 듀얼몬스터즈에서 나왔을 때의 배색으로 되어있다.

9.6. 지속 함정



9.6.1. 아마조네스의 비탕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비탕'''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秘湯'''
영어판 명칭
'''Amazoness Hot Spring'''
지속 함정
①: 자신 필드에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
②: 1턴에 1번, 엔드 페이즈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이 받은 전투 데미지 1번의 수치만큼, 자신은 LP를 회복한다.
글로리아가 발동한 함정 카드.

발동 시 배경으로 아마조네스들이 탕에 들어가있는 풍경이 잠깐동안 연출되는데, 이게 서비스신으로 봐도 좋을 정도로 ARC-V에서 가장 노출도가 높다.

9.6.2. 아마조네스 알현실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알현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拝謁の間'''
영어판 명칭
'''Amazoness Hall'''
지속 함정
①: 자신 필드에 "아마조네스"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
②: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된 경우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자신은 라이프를 회복한다.

9.6.3. 아마조네스의 주경


[image]
한글판 명칭
'''아마조네스의 주경'''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アマゾネスの呪鏡'''
영어판 명칭
'''Amazoness Curse Mirror''' (비공식 번역명)
지속 함정
① : 자신이 전투 데미지를 받은 턴에 엔드 페이즈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가 마법&함정존에 존재하는 한, 1턴에 1번만, 자신이 받은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할 수 있다.
그레이스가 발동한 함정 카드. 위에서부터 비탕, 알현실, 주경의 3종 지속 함정과 지속 마법 마경은 모두 라이프 수치 조절에 관련된 카드다. OCG화 되지는 않았지만, 비트에 상당히 강력한 아마조네스 덱에 날개를 달아 줄 수 있는 카드들.

[1] 원작 및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사슬전사를 제외하면 전부 일반 몬스터로만 등장했으며, 그마저도 원작에서는 1번, 애니에서는 2번 정도의 듀얼에서 나온 것이 3장 뿐이다. 결국 마이는 4기부터는 아예 아마조네스를 갖다버리고 해피로만 싸웠다.[2] 2017년 4월 기준 성기사와 여왕, 호랑이 빼고 전부 리쿠르트 가능.[3] 그나마도 검사는 주로 번덱에서 하급용으로 부리던 게 전부였다.[4] 그와중에 '''R'''레어다(...)[5] [image]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5권의 133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6] 2021/3/9부터 적용